(새 문서: <pre> {{지역년}}년 {{지역월}}월 {{지역일}}일 {{안전풀기:지역년}}년 {{안전풀기:지역월}}월 {{안전풀기:지역일}}일 </pre>)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아래과 같이 하면 지역년, 지역월, 지역일이란 틀을 불러와서 문서에 보여준다.


<pre>
<pre>
{{지역년}}년 {{지역월}}월 {{지역일}}일  
{{지역년}}년 {{지역월}}월 {{지역일}}일  
</pre>


그런데 아래과 같이 하면 지역년, 지역월, 지역일이란 틀 앞에 안전풀기를 녛으면 현재에 해당하는 수치를 불러와서 문서에 저장한다. 다시 문서를 편집모드로 열면 숫자로 바껴있는 것을 알수 있다.


<pre>
{{안전풀기:지역년}}년 {{안전풀기:지역월}}월 {{안전풀기:지역일}}일  
{{안전풀기:지역년}}년 {{안전풀기:지역월}}월 {{안전풀기:지역일}}일  
</pre>
==틀을 만들 때의 고려사항==
풀어넣기를 이용해 틀을 쓰면 틀 안에 포함된 다른 틀이나 {{위키|위키백과:특수 명령문|특수 명령문}}의 코드가 그대로 문서에 쓰여진다. 코드 대신 실행 결과가 문서에 쓰이게 하려면 틀을 만들 때 <code>풀기:</code>를 사용하면 됩니다. 단, 틀을 편집하면서 <code>풀기:</code>를 그대로 쓰면 편집과 동시에 목적 틀이 풀려버리기 때문에 곤란하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code>풀기:</code>를 includeonly 위키태그로 감싸서 <code>&lt;includeonly&gt;풀기:&lt;/includeonly&gt;</code>와 같이 쓰는 방법이 있고, 매개변수 형식을 이용해서 <code><nowiki>{{{|풀기:}}}</nowiki></code>처럼 쓰는 방법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A틀을 불러오는 틀을 만들고 이 틀을 다른 문서에서 풀어 쓰면 A틀의 결과가 문서에 쓰여진다.
:<code><nowiki>{{{{{|풀기:}}}A}}</nowiki></code>
이렇게 실행 결과가 풀어지도록 만든 틀은 풀어 쓰지 않고 끼워넣어 썼을 때는 해당 부분이 실행되지 않고 <code><nowiki>{{풀기:A}}</nowiki></code>처럼 문자열 그대로 출력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려면 <code>풀기:</code> 대신 <code>안전풀기:</code>를 쓰면 됩니다. <code>안전풀기:</code>를 위와 같은 방식으로 쓰면, 끼워넣어 썼을 때는 실행되고 풀어서 썼을 때는 실행 결과가 풀어진다.
틀 안에 또다른 틀·기본 틀·특수함수를 넣는 방식, 그리고 그 틀을 불러오는 방식에 따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class="wikitable" style="margin: 0em 1em;"
!틀 내부에 쓰인 방식!!틀을 끼워넣었을 때의 결과!!틀을 풀어넣었을 때의 결과
|-
|끼워넣기||실행됨||코드가 풀림
|-
|<code><nowiki>{{{|풀기:}}}</nowiki></code>, <code>&lt;includeonly&gt;풀기:&lt;/includeonly&gt;</code>||문자열 그대로 출력||결과가 풀림
|-
|<code><nowiki>{{{|안전풀기:}}}</nowiki></code>, <code>&lt;includeonly&gt;안전풀기:&lt;/includeonly&gt;</code>||실행됨||결과가 풀림
|}


</pre>
 
 
 
{{ ㅂ|위키문법||}}

2024년 5월 30일 (목) 22:36 기준 최신판

아래과 같이 하면 지역년, 지역월, 지역일이란 틀을 불러와서 문서에 보여준다.

{{지역년}}년 {{지역월}}월 {{지역일}}일 


그런데 아래과 같이 하면 지역년, 지역월, 지역일이란 틀 앞에 안전풀기를 녛으면 현재에 해당하는 수치를 불러와서 문서에 저장한다. 다시 문서를 편집모드로 열면 숫자로 바껴있는 것을 알수 있다.

{{안전풀기:지역년}}년 {{안전풀기:지역월}}월 {{안전풀기:지역일}}일 



틀을 만들 때의 고려사항

풀어넣기를 이용해 틀을 쓰면 틀 안에 포함된 다른 틀이나 특수 명령문[위키백과 아이콘.png][*]의 코드가 그대로 문서에 쓰여진다. 코드 대신 실행 결과가 문서에 쓰이게 하려면 틀을 만들 때 풀기:를 사용하면 됩니다. 단, 틀을 편집하면서 풀기:를 그대로 쓰면 편집과 동시에 목적 틀이 풀려버리기 때문에 곤란하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풀기:를 includeonly 위키태그로 감싸서 <includeonly>풀기:</includeonly>와 같이 쓰는 방법이 있고, 매개변수 형식을 이용해서 {{{|풀기:}}}처럼 쓰는 방법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A틀을 불러오는 틀을 만들고 이 틀을 다른 문서에서 풀어 쓰면 A틀의 결과가 문서에 쓰여진다.

{{{{{|풀기:}}}A}}

이렇게 실행 결과가 풀어지도록 만든 틀은 풀어 쓰지 않고 끼워넣어 썼을 때는 해당 부분이 실행되지 않고 {{풀기:A}}처럼 문자열 그대로 출력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려면 풀기: 대신 안전풀기:를 쓰면 됩니다. 안전풀기:를 위와 같은 방식으로 쓰면, 끼워넣어 썼을 때는 실행되고 풀어서 썼을 때는 실행 결과가 풀어진다.

틀 안에 또다른 틀·기본 틀·특수함수를 넣는 방식, 그리고 그 틀을 불러오는 방식에 따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틀 내부에 쓰인 방식 틀을 끼워넣었을 때의 결과 틀을 풀어넣었을 때의 결과
끼워넣기 실행됨 코드가 풀림
{{{|풀기:}}}, <includeonly>풀기:</includeonly> 문자열 그대로 출력 결과가 풀림
{{{|안전풀기:}}}, <includeonly>안전풀기:</includeonly> 실행됨 결과가 풀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