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정치학적 오류 수정.)
1번째 줄: 1번째 줄:
  이를 기초로한 나치당의 이념은 [[나치즘]]으로
  동음이의의 극우 이념은 [[국민사회주의]]([[나치즘]])으로
國家社會主義<br>
國家社會主義<br>
[[독일어]]: Staatssozialismus<br>  
[[독일어]]: Staatssozialismus<br>  
5번째 줄: 5번째 줄:


=개요=
=개요=
국가사회주의는 국가의 개입으로 사회주의를 실현하려고 하는 사상과 운동을 말한다. 또한 국가사회주의에서 [[파시즘]]나타났으며 현재도 사회주의 국가에서는 민족 파시즘 성향이 나타난다.
국가가 경제를 간섭하고 주도하여 사회주의를 실현하려는 사상을 말한다. 흔히 학계에서 말하는 국가사회주의(State Socialism)가 이것이고, 흔히 단어로 오역되지만 실제로는 나치즘을 의미하는 국민사회주의(National socialism)와는 전혀 다른 개념이다.
 
이 State Socialism은 실제로는 국가주의가 아닌 사회주의를 최종 목적으로 하는 좌파 사상이기 때문에, 이 State Socialism을 한국(ROK) 정치학계와 위키계들에서 국가사회주의로 번역한 것은 실책이며 당국사회주의 정도로 번역했어야 했다. 국가주의가 아닌 사회주의를 최종 목적으로 하는 좌파 사상인 State Socialism을 국가사회주의로 번역해버리고 국민, 민족, 국가를 최우선시하는 우파 사상인 국민사회주의(National socialism)를 국가사회주의로 번역해버린 무능한 한국 정치학계와 이를 그대로 받아써버린 한국 위키계의 오역이 겹쳐버려 한국 국민들의 정치학 입문에 극심한 혼란을 매우 자주 야기하고 있다.


1862년 독일의 사회주의자 페르디난트 라살레의 저서 《노동자 강령》에서 처음으로 그 용어가 등장했고 로드베르투스 등이 1875년 독일 사회민주노동당에서 고타강령을 채택할 이후부터 주장되었다.
1862년 독일의 사회주의자 페르디난트 라살레의 저서 《노동자 강령》에서 처음으로 그 용어가 등장했고 로드베르투스 등이 1875년 독일 사회민주노동당에서 고타강령을 채택할 이후부터 주장되었다.


국가 사회주의는 생산수단의 국유화를 옹호하거나 자본주의에서 사회주의로의 전환기로서 국가를 옹호하는 사회주의 혹은 이러한 통제를 사회주의 자체의 특징으로 규정하는 여러 사회주의들을 일컫는 용어다. [[맑스-레닌주의]] 국가가 국가 주도의 경제정책을 강조했기 때문에 이 용어는 국가자본주의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와 달리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자들과 민주사회주의자들은 국가는 사회주의의 특징을 제한한다고 비판한다. 국가 사회주의는 현존하는 기관과 정부를 이용하여 사회주의를 건설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와는 반대된다.
국가 사회주의는 생산수단의 국유화를 옹호하거나 자본주의에서 사회주의로의 전환기로서 국가를 옹호하는 사회주의 혹은 이러한 통제를 사회주의 자체의 특징으로 규정하는 여러 사회주의들을 일컫는 용어다. [[맑스-레닌주의]] 국가가 국가 주도의 경제정책을 강조했기 때문에 이 용어는 국가자본주의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와 달리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자들과 민주사회주의자들은 국가는 사회주의의 특징을 제한한다고 비판한다. 국가 사회주의는 현존하는 기관과 정부를 이용하여 사회주의를 건설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와는 반대된다.

2024년 5월 12일 (일) 16:22 판

동음이의의 극우 이념은 국민사회주의(나치즘)으로

國家社會主義
독일어: Staatssozialismus
영어: State Socialism

개요

국가가 경제를 간섭하고 주도하여 사회주의를 실현하려는 사상을 말한다. 흔히 학계에서 말하는 국가사회주의(State Socialism)가 이것이고, 흔히 이 단어로 오역되지만 실제로는 나치즘을 의미하는 국민사회주의(National socialism)와는 전혀 다른 개념이다.

이 State Socialism은 실제로는 국가주의가 아닌 사회주의를 최종 목적으로 하는 좌파 사상이기 때문에, 이 State Socialism을 한국(ROK) 정치학계와 위키계들에서 국가사회주의로 번역한 것은 실책이며 당국사회주의 정도로 번역했어야 했다. 국가주의가 아닌 사회주의를 최종 목적으로 하는 좌파 사상인 State Socialism을 국가사회주의로 번역해버리고 국민, 민족, 국가를 최우선시하는 우파 사상인 국민사회주의(National socialism)를 국가사회주의로 번역해버린 무능한 한국 정치학계와 이를 그대로 받아써버린 한국 위키계의 오역이 겹쳐버려 한국 국민들의 정치학 입문에 극심한 혼란을 매우 자주 야기하고 있다.

1862년 독일의 사회주의자 페르디난트 라살레의 저서 《노동자 강령》에서 처음으로 그 용어가 등장했고 로드베르투스 등이 1875년 독일 사회민주노동당에서 고타강령을 채택할 이후부터 주장되었다.

국가 사회주의는 생산수단의 국유화를 옹호하거나 자본주의에서 사회주의로의 전환기로서 국가를 옹호하는 사회주의 혹은 이러한 통제를 사회주의 자체의 특징으로 규정하는 여러 사회주의들을 일컫는 용어다. 맑스-레닌주의 국가가 국가 주도의 경제정책을 강조했기 때문에 이 용어는 국가자본주의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와 달리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자들과 민주사회주의자들은 국가는 사회주의의 특징을 제한한다고 비판한다. 국가 사회주의는 현존하는 기관과 정부를 이용하여 사회주의를 건설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와는 반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