兩層言語
diglossia
개요
주로 양층언어로 번역하는 디글로시아는 사회에서 통용되는 언어가 둘 이상이 있는데 이 때 계층, 집단 간의 언어가 서로 차이 나는 현상을 의미한다. 조선시대 선비의 한문(중국어)과 백성의 언문(한국어), 노르만 왕조 시기 영국의 프랑스어와 영어가 대표적이다.
diglossia 자체는 그리스어로 di(두) + glossa(언어)에서 유래된 것이나 그 의미는 이중언어를 의미하는 bilingual과는 사뭇 다르다. 그리스어에서 일반적인 의미의 언어는 dialectos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