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인진(朴寅鎭, 1887.09.02[1]~1939.03.16[2])은 함경남도 풍산 지역에서 천도교 도정(天道敎 道正)[3]으로 활동했다. 호는 문암(文菴)이다. 풍산의 3.1운동 시위를 주도했으며, 혜산사건(惠山事件)에 연루된 재만한인조국광복회(在滿韓人祖國光復會)에 참여하였다. 김일성 회고록 《세기와 더불어》에는 그가 북한 김일성을 적극 도운 것처럼 조작해 놓았으나[4], 실제로 그가 관련되었던 사람은 보천보사건의 주역으로 1937년 11월 전사한 동북항일연군 2군 6사장 김일성이다.
평양 대성산 혁명렬사릉에 그의 묘와 흉상이 건립되어 있다.[2][5]
- 北, 김일성과 천도교 간부 인연 소개 DailyNK -2005.05.24
생애
- 성주현, 《문암(文菴) 박인진의 천도교 활동과 민족운동》 『한국민족운동사연구』 제75집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3. 6) pp.219 ~ 250.[6]
- 성주현, 문암 박인진의 천도교 활동과 민족운동 (hwp 파일) : 한중수교 20주년 기념식 및 학술회의 논문집(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2. 11. 24)
약력
- 1919년 3월 14일 함남 풍산 이인면(咸南 豊山 里仁面) 시위 삼일운동 DB - 국사편찬위원회
- 독립운동사자료집 5 : 삼일운동 재판기록 - 맹시정(孟始楨) 43세 판결 대정 8년 형공(刑控) 제986호 공훈전자사료관
- 독립운동사 제2권 : 삼일운동사(상) 제8절 풍산군(豊山郡) 공훈전자사료관
- 주진표 등 판결문 : 대정8년형상제957, 958호 고등법원 1919-10-23 : 공훈전자사료관 - 박인진 등의 상고 기각
- 박인진(朴寅鎭) 상고 기각 판결문 고등법원 1919.10.23 : 국가기록원 독립운동판결문
- 풍산천도교청년회(豐山天道敎靑年會)에서 강연 동아일보 1920-09-13 4면
- 청년(靑年)의 자유정신(自由精神) - 박인진(朴寅鎭), 종교(宗敎)와 정치(政治)의 관계(關係) - 박영섭(朴榮燮)
- 천도교 청우당(天道敎 靑友黨) 관북도련 개최(關北道聯 開催) 1931.04.05 동아일보 3면
- 풍산 산촌(豐山 山村)에 양학원 설치(兩學院 設置) 1931.06.13 동아일보 3면
- 천도 북청 포덕(天道 北靑 布德) 1931.11.06 조선일보 6면
- 천남(天南)서 삼씨(三氏)가 빈민구제 노력(貧民救濟 努力) 1932.04.14 동아일보 4면
- 천도교역자회(天道敎役者會) 1933.09.24 동아일보 3면
- 함남 후치령(咸南 厚峙嶺) 이북 풍산(豐山) 삼수(三水) 갑산(甲山) 헤산(惠山) 장백현(長白縣) 각군 천도교에서는 지난 十六(십육)...
- 풍산군하(豊山郡下)의 궁민(窮民) 수확개무(收穫皆無)로 유리(流離) 1935.10.31 동아일보 4면
- 풍산군 읍내에 거주하든 천도교도정(天道敎道正) 박인진(朴寅鎭)씨는 교회용무로 삼수(三水), 갑산(甲山), 풍산(豊山), 삼군(三郡)을 약 一(일)개월간 순회하고 인사차로 지난 26일 헤산 본지국을 내방하였는데 씨의 담에 의하면 삼군중에 조상조냉(早霜早冷)으로 특히 풍산군이 우심하다는 바.......
- 벽지(僻地)의 화전 냉해민(火田 冷害民) 울리는 예매(豫賣)와 장리제(長利制)의 폐해(弊害) 1935.12.01 동아일보 5면
재만한인조국광복회(在滿韓人祖國光復會)에 참여
일제의 기록에 그가 1936년말 동북항일연군 산하의 재만한인조국광복회(在滿韓人祖國光復會)[7][8]에 참여한 것으로 나온다. 이 조직은 1937년 6월 4일의 보천보사건 이후 적발되어 대대적인 검거 선풍이 일어난 소위 혜산사건으로 와해된다.
- 昭和十二年度に於ける鮮內思想運動の狀況 사상휘보 제14호 1938-03-01
- p.13 四. 東北抗日聯軍第六師と天道敎との提携抗日人民戰線の結成
- ...李昌善(天道敎徒), 李銓化(天道敎長白縣宗理院長), 朴寅鎭(道正), 李景雲(天道敎靑年黨豐山郡代表),
- 中國共産黨の朝鮮內抗日人民戰線結成おすび日支事變後方攪亂事件 조선총독부함경남도경찰부 편(朝鮮總督府咸鏡南道警察部 編) (京城 1940 소화 15년) :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
- 강덕상(姜徳相) 편, 『現代史資料 (30) 朝鮮 (6) 共産主義 運動 (2)』 (東京 みすず書房, 1976) pp.257-306 수록.
당시의 이러한 기록들로 보아 박인진이 조국광복회에 연루된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나, 이 사건으로 그가 체포되어 고문을 받다 옥사했다는 주장이 있을 뿐, 검거되거나 재판을 받은 명확한 기록은 없다.
보천보 사건을 주도한 동북항일연군 2군 6사장 김일성은 1937년 11월 13일 전사했으므로 북한 김일성과는 명백히 다른 사람이나, 북한에서는 그가 김일성에 협력했다고 주장한다. 김일성 회고록의 조국광복회(祖國光復會)를 자신이 만들었다는 주장이나[9] 박인진이 자신을 도왔다는 주장은 모두 거짓이다.[4] 박인진은 1894년생인 북한 김일성의 부친 김형직보다도 7년 가량 연상이므로 그가 북한 김일성을 도왔다는 주장은 어불성설이다. 6사장 김일성은 1901년경 갑산군 회린면 출생으로 그 일대에 연고가 있기 때문에 지역 사람들을 많이 포섭하여 연대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참고 자료
- 김병제(金秉濟), 《통곡(痛哭) 박문암(朴文菴)》, 『신인간(新人間)』 135, 1939년 6월, p.167
- 김일성 회고록 《세기와 더불어》 제5권 (항일 혁명 5편, 1994년 출간) 제15 장 지하 전선의 확대 4. 박인진도정
- 이명영(李命英, 1928 ~ 2000), 《권력(權力)의 역사(歷史) : 조선노동당과 근대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85)
- 김일성, 오성륜 '조국광복회'를 자신 작품 거짓말 자유일보 2019.02.18
함께 보기
각주
- ↑ 주진표 등 판결문 : 대정8년형상제957, 958호 고등법원 1919-10-23 (공훈전자사료관) : 咸鏡南道 豊山郡 天南面 東坮里 六十一番地 農 / 被告人 朴寅鎭 / 九月二日生 三十三年 : 나이 셈법의 애매성 때문에 생년은 1886, 1887 둘 다 가능하다.
- ↑ 2.0 2.1 北, 김일성과 천도교 간부 인연 소개 DailyNK -2005.05.24
- ↑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종교·철학/한국의 종교/동학-천도교/천도교의 조직
- ↑ 4.0 4.1 김일성 회고록 《세기와 더불어》 제5권 (항일 혁명 5편, 1994년 출간) 제15 장 지하 전선의 확대 4. 박인진도정
- ↑ [연재] 최재영 목사의 남북사회통합운동 방북기(86회) 평양 만수대언덕을 가다③/만수대의사당(萬壽臺議事堂) 하편 통일뉴스 2018.01.29
- ↑ 문암 박인진의 천도교 활동과 민족운동 KCI 검색
- ↑ 재만한인조국광복회(在滿韓人祖國光復會)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조국광복회 - 위키백과
- ↑ 김일성 회고록 『세기와 더불어 4권 / 제12장 광복의 새 봄을 앞당겨 (1936년 3월 ~ 1936년 5월) / 5. 조국광복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