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과 곡물의 신이다. 사가 땅의 신이고 직이 곡물의 신이다.

전 근대 왕조 중국 한국 등은 기본적으로 농업 국가였고, 유교의 질서와 예를 따랐기에

왕이나 황제가 사직 신에서 제사를 들여 풍년을 기원하였다. 사직단이라는 것은 사직에게 제사를 들이는 성스러운 장소다.


엄밀히 말해서 제후왕은 사직에게는 제사를 들일 수 있지만, 황제가 아닌 제후왕은 사직신이 아닌 천 그러니까 하늘과는 일대일로 소통을 할수 없다. 그건 중국황제인 천자만 가능하다.

봉선 하늘에 제사를 들이는 것인 엄밀한 중국 세계관에서는 천자인 황제만 가능하다.

(봉선도 개나 소나 모든 황제가 한 것이 아니라 굉장히 공적이 있다고 자처하는 황제들만 했다.

진시황제나 한무제와 같은. 특정황제는 봉선의식을 한다고 하니까 신하가 당신은 그 정도 공적이 없다며 반대하기도 했다. 중국에서 신성한 산으로 여기는 중국의 태산(타이산)에서 봉선의식을 했다.

사기를 쓴 사마천의 아버지는 평생 한번 볼까 말까한 봉선의식에 참여해서 직접 그것을 볼 것이라고 기대했는데 산 밑에 대기하라는 명령을 받고 실망해서 그 이후 시름 시름 앓다가 얼마 있다 죽었다.)



그래서 세종 같은 경우는 비와 오지 않으니 왕이 하늘에 대고 기후제 비슷한 비를 오게 해 달라고 비는 것을 제후왕으로서 참람하다고 하지 않겠다고 한다. 신하들은 종전 왕들도 해 왔던 거니 괜찮다고 했음에도.


대한제국으로 소중화 황제를 자처하고 나서 하늘과 제사를 들이는 환구단을 지었다.


하여간 사직단은 제후왕인 조선왕도 제사를 들일 수 있었기에 있었다.


역대 선조 왕들을 기리는 종묘(조상신에게 제사)와 사직은 세트로 관용적으로 한 왕조 그 자체를 말하기도 한다.

도읍 수도에는 왕조로서 반드시 있어야 하는 성스러운 장소로 이성계가 한양으로 천도하고 궁궐보다도 더 먼저 만든 게 종묘와 사직단이다. 유교의 경전인 주례에서는 궁궐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종묘 오른쪽에는 사직단을 설치하라고 쓰여있다. 유교국가인 조선도 이에 따라서 경복궁 정전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종묘 오른쪽에는 사직단을 설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