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 新字体[1]
개요
신자체란 일본의 당용한자(当用漢字, 1946년) 제정 이후, 현재까지 일본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자 자형(字形)을 말하며 한국에서 일본식 약자라 불리는 것이 신자체에 해당한다. 문자 그대로 새로운(新) 글자(字) 형태(體)라는 의미이다.
그렇다고 약자에 해당하는 간편한 문자를 그때 다 새로 만든 것은 아니고, 민간에서 한국에서도 널리 통용되던 약자를 정식으로 받아 들인 것들도 꽤 있다. 배울 學 같은 경우는 필기할 때 한국에서도 学 이렇게 줄여서 쓰는 경우가 꽤나 있는 데 이걸 정식으로 받아들 인것. 중국의 간체자도 이렇게 원래 통용되는 걸 수용한 게 꽤 있는편. 정자체(대륙에서는 번체자)가 민간에서 필기로는 이렇게 써도 이걸 정식문자에는 채용하지 않은 것이다. 어떻게 보면 보수적이라 할 수도 있고, 전통을 중요시한다고 볼 수도 있다.
신자체 개정 이전에 쓰인 정자(正字)는 구자체라 한다. 구자체라고 아예 안쓰는 건 아니고, 인명 등에는 본인 의사에 따라 구자체도 허용하고 있다. 높을고 같은 경우도 한국은 高로 통일했지만 일본은 인명에 髙자도 허용하고 있을 정도.
옛 느낌을 살리기 위해 로고 등에도 구자체가 쓰이기도 한다. 예를 들어 삼국지 같은 경우도 신자체로는 국자가 三'国'志 인데 삼국지 시리즈에서는 로고로 三'國'志 자를 쓴다.
신자체 목록
다음은 신자체 목록이다.출처
유니코드에서 분리된 것
구자체 | 신자체 | 훈음 | 비고 |
---|---|---|---|
乘 | 乗 | 탈 승 | |
亂 | 乱 | 어지러울 란 | |
亞 | 亜 | 버금 아 | |
佛 | 仏 | 부처 불, 일어날 발, 도울 필 | |
來 | 来 | 올 래 | |
倂 | 併 | 아우를 병 | |
假 | 仮 | 거짓 가 | 원래는 돌이킬 반(反)의 이체자. |
傳 | 伝 | 전할 전 | |
僞 | 偽 | 거짓 위,잘못될 와 | |
價 | 価 | 값 가 | |
儉 | 倹 | 검소할 검 | |
兒 | 児 | 아이 아, 다시 난 이 예 | |
內 | 内 | 안 내 | |
兩 輛 |
両 | 두 량, 수레 량 | 옛날부터 兩자는 '수레'라는 뜻으로도 사용했었으며, 당당히 옥편에도 실려 있다. 輛은 兩에서 의미 분화를 하기 위해 만들어진 글자이므로 당연히 '수레 량'으로만 읽고 쓴다. 일본 신자체는 兩과 輛 모두両으로 통일하였다. |
冰 | 氷 | 얼음 빙 | 한국에서도 속자인 氷이 널리 쓰이며 정자인 冰이 도태되어 버렸다. 마찬가지로 완성형에는 冰이 아닌 氷이 등재되어 있다. 반면 중국에서는 冰이 널리 쓰인다. |
剩 | 剰 | 남을 잉 | |
劍 | 剣 | 칼 검 | 劍보다 더 정체자인 劒도 쓰인다. |
劑 | 剤 | 약 제,엄쪽 자 | |
勞 | 労 | 일할 로 | |
勳 | 勲 | 공 훈 | |
勵 | 励 | 힘쓸 려 | |
勸 | 勧 | 권할 권 | |
區 | 区 | 구분할 구 | |
卷 | 巻 | 책 권,말 권 | 신자체로 변하면서 획이 늘어남. |
卽 | 即 | 곧 즉 | |
參 | 参 | 참여할 참,석 삼 | |
吳 | 呉 | 오나라 오 | |
單 | 単 | 홑 단 | |
嚴 | 厳 | 엄할 엄 | |
囑 | 嘱 | 부탁할 촉 | |
圈 | 圏 | 우리 권,술잔 권 | 신자체로 변하면서 획이 늘어남. |
國 | 国 | 나라 국 | |
圍 | 囲 | 둘레 위 | |
圓 | 円 | 둥글 원 | 저 신자체를 한국어에서는 '화폐 단위 엔'이라고도 한다. 즉, 한국어에서는 円이 화폐단위로 쓰이는 경우 엔으로 읽는 것을 인정하고 있다. |
圖 | 図 | 그림 도 | |
團 | 団 | 둥글 단 | |
增 | 増 | 더할 증,겹칠 층 | |
墮 | 堕 | 떨어질 타,무너뜨릴 휴 | |
壓 | 圧 | 누를 압 | |
壘 | 塁 | 보루 루,씩씩할 뢰,귀신 이름 률 | |
壞 | 壊 | 무너질 괴,앓을 회 | |
壤 | 壌 | 흙덩이 양 | |
壯 | 壮 | 장할 장 | |
壹 | 壱 | 한 일,혼돈 인 | |
壽 | 寿 | 목숨 수 | [2]중국 간체자에서는 맨 아래 寸(마디 촌)의 가로획이 삐침획을 관통하지 않지만 일본 신자체에서는 관통한다. |
奧 | 奥 | 깊을 오,따뜻할 욱 | |
奬 | 奨 | 장려할 장 | |
尙 | 尚 | 높일 상 | |
姬 | 姫 | 계집 희 | 본래 姫는 '삼갈 진'이다. 본래 옥편에는 姬와 姫은 모두 女部 6획으로 계산했다. 일본에서는 臣을 7획으로 계산했기 때문에 姫는 女部 7획이 된다. 번체자를 쓰는 대만에서 姬는 女部 7획으로 계산한다. |
娛 | 娯 | 즐거워할 오 | |
孃 | 嬢 | 아가씨 양 | |
學 | 学 | 배울 학 | |
寢 | 寝 | 잘 침 | |
實 | 実 | 열매 실,이를 지 | |
寫 | 写 | 베낄 사 | [2]간체자에서는 아래 하나 일(一)부분을 관통하지 않으나 신자체에서는 하나 일(一)부분을 관통한다. |
寬 | 寛 | 너그러울 관 | 겉으로는 차이가 없어 보이나, 확대해서 보면 차이가 난다. 갓머리 아래에 각각 萈(뿔이 가는 산양 환)과 莧(비름 현)이다. |
寶 | 宝 | 보배 보 | |
將 | 将 | 장수 장,장차 장 | [2]신자체는 오른쪽 윗부분이 爫이고 간체자는 夕이다. |
專 | 専 | 오로지 전 | |
對 | 対 | 대할 대 | |
屆 | 届 | 이를 계 | |
屬 | 属 | 무리 속,이을 촉 | |
峽 | 峡 | 골짜기 협 | |
嶽 | 岳 | 큰 산 악 | 일본 외에서도 정자보다 약자 형태의 글자가 널리 활용된다는 점에서는 '바위 암'과 같다. 완성형에는 두 글자 모두 있다. |
巖 | 巌 岩 |
바위 암 | 완성형에는 정체자 巖과 약자 岩이 등록되어 있다. 이체자로 嵓과 嵒도 있다. 癌의 방이 다름아닌 巖의 이체자 嵒이다. 巌도 쓰이기는 하나, 인명용으로만 쓰이고 일상 생활에서는 岩이 압도적이다. |
巢 | 巣 | 새집 소 | |
帶 | 帯 | 띠 대 | |
幷 | 并 | 아우를 병 | |
廢 | 廃 | 폐할 폐 | |
廣 | 広 | 넓을 광 | |
廳 | 庁 | 관청 청 | |
彈 | 弾 | 탄알 탄 | |
彌 | 弥 | 미륵 미,두루 미 | |
徑 | 径 | 지름길 경 | [2]신자체는 방이 圣이지만 간체자는 ㅈ+工이다. |
從 | 従 | 좇을 종 | |
徵 | 徴 | 부를 징,음률 이름 치 | |
德 | 徳 | 큰 덕,덕 덕 | |
恆 | 恒 | 항상 항,반달 긍 | 완성형에는 恆이 아닌 恒이 등록되어 있으며, '항'으로 입력해야 나온다. '긍'에는 없다. |
惠 | 恵 | 은혜 혜 | |
惡 | 悪 | 악할 악 | |
惱 | 悩 | 번뇌할 뇌 | |
悅 | 悦 | 기쁠 열 | |
愼 | 慎 | 삼갈 신,땅이름 진 | |
慘 | 惨 | 참혹할 참,우울해질 조 | |
應 | 応 | 응할 응 | |
懷 | 懐 | 품을 회 | |
戀 | 恋 | 그리워할 련 | |
戰 | 戦 | 싸움 전 | |
戲 | 戯 | 놀 희,탄식할 호 | 완성형에는 戲가 아닌 속자인 戱가 등록되어 있다. |
戾 | 戻 | 어그러질 태,어그러질 려,돌릴 렬 | |
拂 | 払 | 떨칠 불,도울 필 | |
拔 | 抜 | 뽑을 발,무성할 패 | |
拜 | 拝 | 절 배,뺄 배 | |
挾 | 挟 | 낄 협 | |
插 | 挿 | 꽂을 삽 | |
揭 | 掲 | 걸 게,질 갈,세울 걸 | |
搖 | 揺 | 흔들 요 | 중국 간체자는 摇로 미묘하게 다르다. 차이점은 缶(장군 부)의 첫 획의 유무. |
搜 | 捜 | 찾을 수,어지러울 소 | |
擇 | 択 | 가릴 택 | |
擊 | 撃 | 칠 격 | 구자체는 𨊥(車 밑에 凵), 신자체는 그냥 車이다. |
擔 | 担 | 멜 담 | |
據 | 拠 | 근거 거 | |
擧 | 挙 | 들 거 | |
擴 | 拡 | 넓힐 확,북칠 황 | |
攝 | 摂 | 다스릴 섭,편안할 녑,깃꾸미개 삽 | |
收 | 収 | 거둘 수 | |
效 | 効 | 본받을 효 | |
敍 | 叙 | 펼 서,차례 서 | |
敕 | 勅 | 칙서 칙 | 완성형에는 敕대신 勅이 등록되어 있다. |
敎 | 教 | 가르칠 교 | |
數 | 数 | 셈 수,자주 삭,촘촘할 촉 | |
斷 | 断 | 끊을 단 | |
旣 | 既 | 이미 기 | 일본 상용한자표에는 실려 있지 않다. |
晚 | 晩 | 늦을 만 | [3]겉보기에는 차이가 없는 것 같으나, 우측이 7획이냐 8획이냐의 차이가 있다. |
晝 | 昼 | 낮 주 | |
曆 | 暦 | 책력 력 | |
曉 | 暁 | 새벽 효 | |
曾 | 曽 | 일찍 증 | |
會 | 会 | 모일 회 | |
條 | 条 | 가지 조 | |
棧 | 桟 | 사다리 잔 | |
榮 | 栄 | 꽃 영 | |
槪 | 概 | 대개 개 | |
樂 | 楽 | 즐거울 락,노래 악,좋아할 요 | |
樓 | 楼 | 다락 루 | |
樞 | 枢 | 돌쩌귀 추,나무이름 우 | |
樣 | 様 | 모양 양 | 과거 안드로이드 웹에서는 방이 羊+水 모양이었다. |
橫 | 横 | 가로 횡,빛 광 | |
檢 | 検 | 검사할 검 | |
櫻 | 桜 | 앵두나무 앵 | |
權 | 権 | 권세 권 | |
歐 | 欧 | 유럽 구, 칠 구 | |
歡 | 歓 | 기쁠 환 | |
步 | 歩 | 걸음 보 | 신자체로 변하면서 획이 늘어남. |
歷 | 歴 | 지날 력,책력 력 | 비공식 약자로 厂이 있으나 쓰지 않는 편이 좋다. |
歲 | 歳 | 해 세 | 비공식 약자로 才가 있으나 나이를 나타낼 때를 제외하면 쓰지 않는 편이 좋다. |
歸 | 帰 | 돌아갈 귀 | 불 화'변이 아님에 유의한다. 歸는 止부, 帰는 巾부. |
殘 | 残 | 잔인할 잔,남을 잔 | [2]신자체는 가로획이 3개이지만 간체자는 2개이다. |
殼 | 殻 | 껍데기 각,내려칠 각 | |
毆 | 殴 | 때릴 구 | |
每 | 毎 | 항상 매 | |
氣 | 気 | 기운 기 | |
涉 | 渉 | 건널 섭 | 신자체로 변하면서 歩 ← 步와 마찬가지로 한 획이 더 늘어났다. |
淚 | 涙 | 눈물 루 | |
淨 | 浄 | 깨끗할 정 | |
淸 | 清 | 맑을 청 | 일본 상용한자표에는 실려 있지 않다. |
淺 | 浅 | 얕을 천,물 끼얹을 전 | [2]신자체는 가로획이 3개이지만 간체자는 2개이다. |
渴 | 渇 | 목마를 갈,물 잦을 걸,물 거슬러 오를 할 | |
溪 | 渓 | 시내 계 | 원래는 '부'라고 읽는다. |
溫 | 温 | 따뜻할 온 | 중국 번체자에서도 이 형태가 표준이다. |
滯 | 滞 | 막힐 체 | [2]간체자는 방이 带, 신자체는 帯. |
滿 | 満 | 찰 만 | |
潛 | 潜 | 잠길 잠 | |
澁 | 渋 | 떫을 삽 | 널리 알려진 시부야의 지명에서 '시부'가 渋의 훈독. 참고로 중국 번체자로는 澀이 표준이며, 간체자로는 涩으로 쓴다. |
澤 | 沢 | 못 택,풀 석,전국술 역,별이름 탁 | |
濕 | 湿 | 젖을 습,나라 이름 합,물이름 답 | |
濟 | 済 | 건널 제 | |
濱 | 浜 | 물가 빈 | 원래는 '배를 매어 놓는 곳'이라는 뜻으로 '병'이라고 읽는다. 옥편에는 '선거 병'이라고 실려 있는데, 여기서의 선거는 選擧가 아니며 船渠라고 쓴다. 요코하마에서 '하마'부분이 이 한자의 훈독 |
瀧 | 滝 | 비 올 롱,여울 랑,물이름 상 | 대표음은 롱이지만 한국에서는 龍이 붙어서인지 십중팔구 룡 또는 용으로 읽고 인명 표기도 이렇게 한다. 대표적으로 방송인 이상용. |
瀨 | 瀬 | 여울 뢰 | |
灣 | 湾 | 물굽이 만, 물에 적셨다 말릴 탄 | |
燈 | 灯 | 등잔 등 | 원래 음은 '정'이며, 뜻은 같다. |
燒 | 焼 | 불사를 소 | |
營 | 営 | 경영할 영 | |
爐 | 炉 | 화로 로 | |
爭 | 争 | 다툴 쟁 | |
爲 | 為 | 할 위 | |
犧 | 犠 | 희생할 희 | |
狀 | 状 | 형상 상,문서 장 | |
狹 | 狭 | 좁을 협 | |
獨 | 独 | 홀로 독 | |
獵 | 猟 | 사냥 렵 | |
獸 | 獣 | 짐승 수 | |
獻 | 献 | 드릴 헌, 술두루미 사, 위의 있을 의 | |
甁 | 瓶 | 병 병 | |
畵 劃 |
画 | 그림 화,새길 획 | [2]신자체는 가운데 부분이 말미암을 유(由)이고 간체자는 밭 전(田)으로 되어 있다. 일본어에서는 같은 한자를 쓰지만 그림의 뜻일 때는 が(화), 기획의 뜻일 때는 かく(획)로 읽는다. 일본 상용한자표는 구자체로 畵도 劃도 아닌 畫만을 인정하고 있다. 참고로 완성형에는 畵가 등록되어 있다. |
當 | 当 | 마땅 당,방울 당 | |
疊 | 畳 | 거듭 첩 | |
瘦 | 痩 | 여윌 수 | |
癡 | 痴 | 어리석을 치 | 완성형에는 두 글자 모두 등재되어 있다. |
發 | 発 | 필 발 | |
盜 | 盗 | 도둑 도 | |
盡 | 尽 | 다할 진 | |
眞 | 真 | 참 진 | [2]신자체는 目과 一이 분리되어 있지만, 간체자는 붙어 있다. |
硏 | 研 | 갈 연,벼루 연,관문 이름 형 | |
碎 | 砕 | 부술 쇄 | |
祕 | 秘 | 숨길 비,심오할 필 | 완성형에는 祕가 아닌 秘가 등재되어 있다. |
禪 | 禅 | 선 선 | |
禮 | 礼 | 예도 례 | |
稅 | 税 | 세금 세 | |
稱 | 称 | 일컬을 칭,저울 칭 | |
稻 | 稲 | 벼 도 | |
穗 | 穂 | 이삭 수 | |
穩 | 穏 | 편안할 은,편안할 온 | |
竊 | 窃 | 훔칠 절 | |
竝 | 並 | 아우를 병 | |
粹 | 粋 | 순수할 수,부술 쇄 | |
絲 | 糸 | 실 사 | 糸은 본래는 '가는 실'이라는 뜻을 가지는 한자로 '멱'이라 읽는다. |
經 | 経 | 지날 경,글 경 | |
綠 | 緑 | 푸를 록 | |
緖 | 緒 | 실마리 서, 나머지 사 | |
緣 | 縁 | 인연 연 | |
縣 | 県 | 고을 현 | |
縱 | 縦 | 세로 종,바쁠 총 | |
總 | 総 | 모두 총 | |
繩 | 縄 | 노끈 승 | |
繪 | 絵 | 그림 회 | |
繼 | 継 | 이을 계 | |
續 | 続 | 이을 속 | |
纖 | 繊 | 가늘 섬 | |
缺 | 欠 | 이지러질 결 | 欠은 본래는 '하품 흠'이라는 한자이다. 그러나 법률 용어에 흠결(欠缺, けんけつ)이라는 단어가 있다! 이걸 欠欠이라고 쓸 순 없기에… 이것만큼은 일본어에서도 어쩔 수 없이 구자체를 사용해 欠缺. |
罐 | 缶 | 두레박 관 | 缶은 원래 '장군 부'라는 글자이다. 여기서의 장군은 將軍이 아니고 물통을 의미한다. |
聲 | 声 | 소리 성 | |
聰 | 聡 | 귀밝을 총 | |
聽 | 聴 | 들을 청 | |
肅 | 粛 | 엄숙할 숙 | |
腦 | 脳 | 골 뇌 | |
脫 | 脱 | 벗을 탈 | |
膽 | 胆 | 쓸개 담 | 胆은 원래 '어깨 벗을 단' 불건전함!, '살찔 달'이라는 한자다. |
臟 | 臓 | 오장 장 | |
臺 颱 |
台 | 대 대,태풍 태 | 구자체의 전자는 대만의 '대' 자인데, 이 경우에는 대만에서도 속자로서 인정하고 있다. 후자의 '태풍 태'나 전자의 '대 대'나 모두 일본어로는 たい라고 읽는다. 일본 상용한자표는 구자체로 臺만을 인정하고 있다. 옥편에 따라서는 이 관계를 부정하기도 한다. |
與 | 与 | 더불 여 | [2]写와 마찬가지로 간체자에서는 아래 하나 일(一)부분을 관통하지 않으나 신자체는 하나 일(一)부분을 관통한다. |
舊 | 旧 | 예 구 | |
艷 | 艶 | 고울 염 | 완성형에는 艷이 아닌 艶으로 등재되어 있다. |
莊 | 荘 | 씩씩할 장,전장 장 | |
莖 | 茎 | 줄기 경 | [2]신자체는 아랫부분이 圣이다. |
萊 | 莱 | 명아주 래 | |
萬 | 万 | 일만 만 | 완성형에는 두 글자 모두 등재되어 있다. |
薰 | 薫 | 향풀 훈 | |
蘆 | 芦 | 갈대 로 | 기존 글자 芦(지황 호)와 충돌한다. |
藏 | 蔵 | 감출 장 | |
藝 | 芸 | 재주 예 | 芸은 본래는 식물 이름인 '평지'를 나타내는 한자로 '운'이라고 읽는 한자인데, 이로 인하여 고전 문헌 해석 과정에서 극심한 혼란이 발생하자 중국에서 간화자를 제정할 때 芸을 버리고 艺로 지정한 일화도 있다. |
藥 | 薬 | 약 약 | |
處 | 処 | 곳 처 | |
虛 | 虚 | 빌 허 | |
號 | 号 | 이름 호,부르짖을 호 | |
螢 | 蛍 | 반딧불 형 | |
蟲 | 虫 | 벌레 충 | 虫은 본래 '벌레 훼' 혹은 '그을릴 동'이었다. |
蠶 | 蚕 | 누에 잠 | 蚕는 원래 '지렁이 전/천'이라고 읽는다. |
蠻 | 蛮 | 오랑캐 만 | |
衞 | 衛 | 지킬 위 | 한중일을 막론하고 예나 지금이나 가운데의 것을 韋로 쓰는 경우가 더 많다. 완성형에도 衞가 아닌 衛가 등록되어 있다. |
裝 | 装 | 꾸밀 장 | |
襃 | 褒 | 기릴 포,모을 부 | 완성형에는 襃가 아닌 褒가 등록되어 있다. |
覺 | 覚 | 깨달을 각,깰 교 | |
覽 | 覧 | 볼 람 | |
觀 | 観 | 볼 관 | |
觸 | 触 | 닿을 촉 | |
說 | 説 | 말씀 설,달랠 세,기쁠 열 | |
謠 | 謡 | 노래 요 | [2]신자체는 揺처럼 缶의 첫 획이 없다. |
證 | 証 | 증거 증 | 証은 원래 '간할 정'이라는 글자이다. '간(諫)하다'라는 말은 '웃어른의 잘못을 지적하다'라는 뜻이다. |
譯 | 訳 | 번역할 역 | |
譽 | 誉 | 기릴 예 | |
讀 | 読 | 읽을 독 | |
變 | 変 | 변할 변 | |
讓 | 譲 | 사양할 양 | |
豐 | 豊 | 풍년 풍,부들 풍 | 원래는 '예도 례', '굽 높은 그릇 례'라는 훈음의 한자다. 禮로 독립한지는 꽤 오래되었으나, 큰 옥편에는 이 훈음이 지금도 남아 있다. 완성형에는 豐이 아닌 豊이 등재되어 있다. |
豫 | 予 | 미리 예 | 본래 1인칭 주어 '나'라는 뜻을 가지는 한자로 '여'라고 읽는다. 지금도 더러 이 뜻으로 쓰인다. 혹은 줄 여(與)자의 대용으로 쓰기도 한다. |
貳 | 弐 | 두 이 | |
賣 | 売 | 팔 매 | |
賴 | 頼 | 의뢰할 뢰 | |
贊 | 賛 | 도울 찬 | |
踐 | 践 | 밟을 천 | [2]신자체는 가로획이 3개이지만 간체자는 2개이다. |
輕 | 軽 | 가벼울 경 | |
轉 | 転 | 구를 전 | |
辨 瓣 辯 |
弁 | 분별할 변,
갖출 판,두루 편,깎아내릴 폄 | |
辭 | 辞 | 말씀 사 | |
遙 | 遥 | 멀 요 | 일본 상용한자표에는 실려 있지 않다. |
遞 | 逓 | 갈릴 체,두를 대 | |
遲 | 遅 | 더딜 지 | |
邊 | 辺 | 가 변 | 사람에 따라 인명에 쓰는 구자체로는 邊 말고 邉으로도 쓴다. |
郞 | 郎 | 사내 랑 | |
鄕 | 郷 | 시골 향 | |
醉 | 酔 | 취할 취 |
|
유니코드에서 통합된 것
侮 僧 免 勉 勤 卑 喝 嘆 器 塀 塚 墨 層 廊 悔 慨 憎 懲 敏 暑 朗 梅 欄 殺 海 漢 煮 碑 社 祈 祉 祖 祝 神 祥 禍 福 穀 突 節 練 繁 署 者 臭 著 虜 褐 視 諸 謁 謹 賓 贈 逸 都 隆 難 響 頻 類
함께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