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광훈(安光勳, ? ~ ?)은 동북항일연군(東北抗日聯軍) 제1군 참모장겸 정치위원이었으나 1938년 2월 체포된 후 일제에 투항하여 항일연군 토벌에 협력하였다.
그는 안중근(安重根, 1879~1910)의 4촌 동생 안봉근(安鳳根)의 장남 안호생(安鎬生)[1]과 동일인물인 것이 확실해 보인다.
주요 행적
- 한국에서 勳으로 쓰는 글자는 중국에서는 勛(勋)으로 쓰므로[2] 중국 문헌에는 그의 이름이 安光勛(安光勋)으로 나온다.
- 반석유격대(磐石游击队)는 이홍광(李紅光)이 주도해서 만들었으며 동북인민혁명군 제1군 제1사(師)의 모태가 된다.
- 1934년 현재 중국공산당 만주성위(滿洲省委) 반석현위(磐石縣委) 간부로 길림성 반석현 합마하자(吉林省 磐石縣 哈螞河子)[7]에 주소를 둔 안광훈(安光訓)이 있다.[8] [勛이 訓으로 잘못 적힌 것으로 보임.]
- 근현대인물자료 안광훈 (安光訓)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용의조선인 명부 [國外ニ於ケル容疑朝鮮人名簿] : 昭和九年(1934년) 六月 / 朝鮮總督府警務局 [編] p.4
제1군 산하에 2개師를 두었는데 제1사장(第1師長) 겸 정치위원은 정빈(程斌)이고 정치부주임은 한국신(韓國臣)이며 참모장은 이민환(李敏煥)이다. 第1師 산하에는 제3, 4, 5, 6 團이 있었다. 제1군(第1軍) 제2사장(第2師長)은 조국안(曹國安)이고 정치부주임은 전광(全光)이며 第8團을 산하에 두었다. 제1군(第1軍)의 총병력은 전성기에 약 6천여 명에 달하였다. 1936년 5월 요녕성 신빈(遼寧省 新賓(舊興京)) 일대에서 제1군 제3사(第3師)를 편성했는데 사장(師長)은 왕인재(王仁斋)이고 정치위원은 주건화(周建華)이다. 예하에 第5, 7團을 두었다.註 080
- 1936년 7월 동북항일연군은 1군(1, 2, 3사)과 2군(4, 5, 6사)을 통합 지휘하는 제1로군(第一路軍)을 편성하며, 양정우(楊靖宇)가 1로군 총사령이 된다. 2군의 6사장 김일성이 1937년 6월 보천보 사건을 주도하며, 북한 김일성과는 다른 사람이다.
- 1938년 2월 13일에 안광훈은 일제에 체포되어 투항한다.[10][11]
- 투항한 안광훈은 일제의 항일연군 토벌에 적극 협력하여 제1군의 제1사장이었던 정빈(程斌)[12][13]이 1938년 6월 29일 투항하는데 큰 공을 세운다.[10][11] 안광훈과 정빈은 1로군 총사령 양정우가 가장 신임하던 최측근 인물들이었다.
- 안광훈과 정빈은 쿠로사키 사다아키(黒崎貞明, 1912~1987) 중위가 이끄는 동북항일연군을 토벌하는 결사대였던 「쿠로사키유격대(黒崎遊撃隊)」에 소속된다.[14][15]
- 투항한 안광훈과 정빈은 일제의 앞잡이가 되어 왕년의 상관이었던 항일연군 제1로군 총사령 양정우(楊靖宇)를 추격하는데 앞장섰고, 양정우는 1940년 2월 23일 사살 당한다.[16]
- 안광훈은 1941년 1월 30일 1로군 사령부(司令部) 비서처장(祕書處長) 전광(全光) 즉 오성륜(吳成崙, 1898~1947)이 귀순하는데도 공을 세웠다.
- 1938년~1941년간 항일연군 인물들에 대한 귀순 공작을 지휘하던 만주국 독찰관 김창영(金昌永, 1890~1967)에 대한 1949년 반민특위 조사기록에 당시 안광훈(安光勛), 정빈(程斌) 등이 한 역할에 대한 증언이 나온다.[17]
답: 귀순공작에 있어서 吉林省 공작반 총지휘자는 日人 도변[渡邊](경비과장)이었고, 同省 내 樺旬縣 공작반장은 滿人 호국신[胡國臣](省警佐)[11][18], 同省 내 敦化縣 及 鱎河縣 공작반장은 日人 강본[岡本](省警佐) 등이었으며, 通化省 공작반 총 지휘자는 日人 안곡융일랑[岸谷隆一郞](省 경무청장)이었고, 同省 내 輝南縣 及 濛江縣 공작반장은 조선인 안광훈[安光勳](독립군으로 귀순한 후 당시 省 경좌)이었으며, 間島省 공작반 총지휘자는 조선인 유홍순[劉鴻洵](간도성 차장)이었고, 同省 延吉縣 공작반장은 조선인 김송렬[金松烈](정보 제공에 종사한 자), 同省 汪淸縣 공작반장은 조선인 계난수[桂蘭秀](前 간도성 사무관), 同省 安圖縣 공작반장은 日人 편전[片田](省경좌) 등이었으며, 各 省 移動 헌병 공작반장은 日人 장도[長島](헌병 曹長)이었습니다.
토벌공작에 있어서는 총사령부를 길림에 두고 총사령관에 日人 야부[野副] 소장, 참모 북부[北部] 중좌(日人) 밑에 각 지구 사령관을 두었는데, 통화지구에는 日人 길천[吉川] 중좌, 길림지구에는 日人 소림[小林] 대좌, 간도지구에는 日人 포본[布本] 중좌, 牧丹江지구에는 日人 小林 대좌 등이었고, 각 지구 사령관은 관하 일본군, 만주국군 及 경찰대를 통할 지휘하였었습니다.- 장도[長島](헌병 曹長)는 나가시마 공작대(長島工作隊)를 이끌던 나가시마 다마지로(長島玉次郞) 헌병 조장(憲兵 曹長)이다. 야부[野副] 소장은 노조에(野副) 토벌대 사령관 노조에 마사노리(野副昌德, 1881~1981) 소장이고, 참모 북부[北部] 중좌는 키타베 구니오(北部邦雄) 중좌이다. (한국에서는 野副昌德를 노조에 쇼도쿠, 北部邦雄를 후쿠베 구니오 등으로 잘 못 읽고 있다. 北部는 성씨일 때는 키타베로 읽는다.)
동북항일연군의 제1로군은 제2로군 및 제3로군과 달리 최고 지휘부 구성원들이 모두 전사하거나 변절 투항하여 철저히 궤멸되는데, 그 단초가 된 것이 1군의 참모장 안광훈과 1사장 정빈의 투항이다. 1로군의 제2방면군장이었던 북한 김일성은 상관들의 허락도 없이 부하 몇 명을 데리고 소련으로 도주하여 살아 남아, 제1로군의 최고위 생존자가 된다. 김일성은 소련군 88여단에서 1로군을 대표하는 인물이 되어 제1대대장을 맡게 된다. 이것이 일제 패망 후 김일성이 스탈린에 의해 북한 지도자로 발탁되는 행운으로 이어진다.
안중근(安重根)의 5촌 조카 안호생(安鎬生)으로 판명
2017년에 안광훈이 안중근(安重根)의 5촌 조카 안호생(安鎬生)이라는 주장이 처음 나왔는데, 사실로 보인다.
- 안중근 의사 가계도 : 안중근 의사 기념관
- 정운현, 정창현 공저, 『안중근家 사람들』, (역사인, 2017년 3월)
- 제5장 격랑에 휩싸인 안중근의 후예들
- 사촌동생 안봉근 _독일에서 ‘손기정 우승 축하연’ 열어주다
- 20대에 독일 유학 가 베를린 정착
- 안봉근의 장남 안호생 _‘항일투사’에서 친일파로 전향
- 안광훈은 안호생의 가명이었다│체포되어 전향 후 과거 동지들을 잡으러 다니다
- 안중근 일가의 명암 “삼대가 옥고… 차남·딸·조카는 친일 변절” 미디어오늘 2017.04.06
- [서평] 정운현·정창현 ‘안중근가 사람들’ 출간 ‘조카 안민생의 편지’에서 발굴…“독립유공 포상 15명”
- 반석현(磐石縣)이 중국 발음으로 판스 현이다
그러나 이 ‘안광훈’이라는 이름은 1930년대 중반이후 만주에서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했던 동북항일연군 1로군 참모장으로 활동하다 변절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안호생과 안광훈이 이명동인 즉, 동일인이라는 것이다.
- 중국측 기록에 안광훈(安光勛)이 1930년 중공당 만주성위(滿洲省委) 산하 판스현위(磐石縣委)[5][6] 집행위원으로 선출되었다고 나오는데, 이는 안민생이 말한 형 안호생의 행적을 뒷받침한다.
안호생(安鎬生)의 행적
이 이전에도 안호생은 상해나 북만주 등지에서 공산주의 활동을 한 것으로 보인다.
- 上海에 잇는 우리동포의 네단체 강연회, (모임란) 동아일보 1925년 12월 18일 2면
- 少年과 社會(安鎬生), 避할수업는 우리의 使命(鄭遠), 中國의 思想衝突(趙德津)
- 안호생(安鎬生)은 상해 조선인 학생(上海朝鮮人學生) 조직 留滬韓人學友會의 기관지(機關紙) 「학군(學軍)」 제2호(1926년 2월 15일)에 「戀愛問題ノ如是我觀」 이란 제목의 글을 실었다.
- 한국독립운동사자료 해외언론운동편 제Ⅱ장 중국관내지역 不穩雜誌「學軍」ノ記事ニ關スル件
- 不穩雜誌 『學軍』의 記事에 關한 件 高警 제1006호, 朝鮮總督府 警務局長, 1926년 03월 25일
- 北滿兩靑總(북만양청총) 合同决議(합동결의) 1927.05.18 조선일보 1면
- 合同準備委員(합동준비위원)=姜純(강순) 金勳(김훈) 朴勳(박훈) 安鎬生(안호생) 金雨植(김우식) 具榮艮(구영간) 崔希慶(최희경)
- 安鎬生의 被逮 : 上海 中央日報 1928-03-24
- 공산주의 활동 혐의로 체포된 목릉(穆稜)[24][25] 원동한인학교(遠東韓人學校) 교장 안호생이 안중근의 조카라 하였다. (安重根侄 安鎬生) 그는 하얼빈(哈爾濱) 근교 감옥에 상당기간 수감되어 있었다.
- 極東朝鮮人學校(극동조선인학교) 敎員全部逮捕(교원전부체포) 1928.03.20 동아일보 2면
- 哈爾賓朝鮮學校(합이빈조선학교) 梭長(사장)과 全職員逮捕(전직원체포) 1928.03.20 조선일보 2면
- 暗黑鐵窓(암흑철창)에 不法監禁(불법감금)된 朝鮮靑年 十二人(조선청년 십이인) 1928.04.04 동아일보 2면
- 鬼神(귀신) 모를 深深鐵窓裡(심심철창리) 風前燈火(풍전등화)가튼 十餘同胞(십여동포) 1928.04.04 조선일보 2면
- 救命運動(구명운동) 1928.04.26 조선일보 1면
- 鬼神(귀신)도 모를 깁고 깁흔 鐵窓(철창) 風前(풍전)의 燈火(등화)와 가티 貴(귀)한 목슴이 까무락거리는 韓之光(한지광) 金世芳(김세방) 安浩生等(안호생등) 十人(십인)의 同胞(동포) 哈爾賓(합이빈)의 도외십사도가(道外十四道街) 제삼감옥(第三監獄)에 신음하는 소식에 대하여....
- 이들은 1928년 말까지 풀려나지 못했다.
- 暗黑鐵窓(암흑철창)에 拘禁後(구금후) 二個星霜(이개성상)을 放置(방치) 1928.11.27 동아일보 2면
- 危急(위급)한 十一同胞(십일동포) 故國(고국)에 救命訴狀(구명소상) 1928.11.27 조선일보 2면
구금되었던 안호생은 아마도 1928년 말이나 1929년 초쯤 석방되어 판스현(磐石縣)으로 가서 교사를 하다 안광훈의 이름으로 중국공산당 만주성위 판스현위와 동북항일연군 등에 참여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 자료
- 안민생(安民生, 1911~ 1995) 대구역사문화대전 : 안호생(安鎬生)의 동생이며, 몰년은 1995년.[4]
- 黒崎貞明 著, 『 恋闕:最期の二・二六事件 』 ( 日本工業新聞社、昭和55.2.26)
- [역사] 안중근의 조카 안광훈은 어떻게 일본군에 귀순했는가? 논픽션작가,역사소설가 유순호 유튜브 2020. 11. 13.
- 제3부 해방정국(16) –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1) [연재] 임영태의 ‘다시 보는 해방 전후사 이야기’(48) : 통일뉴스 2021.04.12
- 반민특위조사기록 : 김창영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자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각주
- ↑ 안중근 의사 가계도 : 안중근 의사 기념관
- ↑ 勳 / 勛 : 《異體字字典》 中華民國教育部 국가교육연구원
- ↑ 3.0 3.1 안민생(安民生, 1911~ ? ) 대구역사문화대전
- ↑ 4.0 4.1 4.2 4.3 안중근과 그 일가들의 ‘인간적 면모’ 한겨레 2019-10-19
- ↑ 5.0 5.1 판스 시(磐石市)- 維基百科
- ↑ 6.0 6.1 판스 시(磐石市)- 구글지도
- ↑ 반석현 합마하자(磐石縣 哈螞河子)에서 이홍광 등 조선인들이 1932년 폭동을 일으켰다 : 哈螞河子暴動 百度百科
- ↑ 근현대인물자료 안광훈 (安光訓)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 滿洲 抗日聯軍 硏究(金昌順) Ⅵ. 東北抗日聯軍의 各軍 沿革 國史館論叢 第11輯 1990년 07월 15일
- ↑ 10.0 10.1 支那及満州ニ於ケル共産運動 昭和 13年(1938년)12月 1日 /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Ref.B02130120000、執務報告 昭和十三年度東亜局第二課(東亜-4)(外務省外交史料館)」 : p.48에 "1938년 여름 제1군 참모장겸 정치위원 안광훈(安光勳), 제1사장 정빈(程斌) 체포 또는 귀순"
- ↑ 11.0 11.1 11.2 共产党在抗战时降日的高级将领或中央委员 百度文库 : 安光勋,东北抗日联军第1军参谋长,1938年2月13日 率部投日。 / 胡国臣,东北抗日联军第1军军需部长,1937年12月21日 率部投日。 / 程斌,东北抗日联军第1军第1师师长,1938年6月29日 率部集体投日。
- ↑ 정빈(程斌, 1911~1951) 百度百科
- ↑ 정빈(程斌, 1911~1951)
- ↑ 黒崎貞明 著, 『 恋闕:最期の二・二六事件 』 ( 日本工業新聞社、昭和55.2.26)
- ↑ 226の残党→廉応沢→金日成
- ↑ 동북항일연군#항일연군 인물들의 전사와 귀순 관련 기사와 기록
- ↑ 반민특위조사기록 : 김창영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자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 抗联叛将:胡国臣 玄菟明月网 2018-03-22
- ↑ 安重根(안중근)의사 堂姪(당질) 安民生(안민생)씨 1982.08.09 경향신문 2면
- ↑ [義烈 독립투쟁](5) 안중근 의사 서울신문 1999-09-10
- ↑ 고려공산청년회 (高麗共産靑年會) : 1926년 5월, 조선공산당 만주총국 결성과 때를 같이 하여 고려공산청년회 만주총국을 설치했다.
- ↑ 1920年代 滿洲에서의 韓人靑年運動 硏究 [金周溶 ] Ⅳ. 滿洲總局의 성립과 청년운동의 확산 1. 청년운동의 통합·발전 國史館論叢 第84輯 (국사편찬위, 1999년 06월 30일)
- ↑ 姜德相, 『現代史資料』 29(東京: みすず書房, 1972), p.520~521.
- ↑ 穆稜市- 維基百科
- ↑ 무링 시(穆稜市) : 중국 헤이룽장 성 무단장 시 구글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