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범기(戰犯旗)는 전범국, 전범기업 과 같이 전세계에서 한국에서만 쓰는 정체 불명의 용어이다.
2010년 쯤 한국의 모언론에서 욱일기(旭日旗)[1]를 지칭하여 처음 쓰기 시작한 용어이다.
외국에서는 쓰지 않는 말이다. 영어나 일본어 등 외국어로 전범기라는 말을 검색 해보면 한국 관련 기사만 뜬다.
왜 그러냐면 이게 애초에 말이 안돼는 말이기 때문이다.
전범이란 전쟁범죄자로 사람이다.
예를 들어 살인국가, 강간기업이라는 말도 성립이 안돼는 말인데 사실 전범국이라는 말도 잘못된 말이다.
추축국이 아닌 연합국은 전쟁범죄를 저질르지 않았는가? 소련은 독일을 점령 했을 때 무수한 강간범죄를 저질렀다. 베트남 전쟁에서 켈로 중위는 민간인 학살건으로 본국에서 재판을 받았다.그럼 미국, 소련도 전범국인가?
주로 패전한 나라에서 승전국 주도로 전범재판을 벌이지기 때문에 패전국이라는 말은 있을 수 있어도 전범국이라는 말은 말이 안돼는 말이다. 전범은 전쟁범죄자 즉 사람이기 때문이다.
하물며 깃발, 심볼, 로고가 전쟁범죄를 저지를 수가 있는가? 깃발, 심볼, 로고가 전쟁범죄의 주체가 될 수 있는가?
한국에서는 아무것에나 다 자기 맘대로 전범이라는 딱지를 붙힌다. 이 전범기라는 말도 한국에서 벌어지는 무군별한 전범재판(?)으로 인해 생긴 황당한 용어다.
좌익들은 하켄크로이츠를 전범기라며 들고오는데, 하켄크로이츠를 금지시킨 대다수의 국가들은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의 사상을 문제삼아 금지시킨거지 전쟁범죄로 금지시킨게 아니다.
하켄크로이츠도 여러가지 용도가 있지만 거의 대개 나치를 떠올리는데, 욱일기 같은 경우는 국수주의자들이 사용하기도 하지만, 일본에서는 길한 상징으로 일상적으로 매우 폭넓게 사용한다. 욱일기는 그런 의미만 있는 게 아니다. 일본인 고위 관료도 욱일기를 금지 시켜서 한국에서는 내렸지만, 왜 금지 시키는 지는 이해가 안됀다는 이야기를 했다. 서양에서도 욱일기는 그냥 문화적 심볼로 받아들인다. 주일미군 부대 마크에도 들어갈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