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남위키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기록 목록
(최신 | 오래됨) (다음 250개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2025년 5월 17일 (토) 11:0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파일:펜스 주요 연설.png의 새 판을 올렸습니다
  • 2025년 5월 17일 (토) 11:0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파일:펜스 주요 연설.png의 새 판을 올렸습니다
  • 2025년 5월 17일 (토) 11:03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파일:펜스 주요 연설.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ㅂ |미국 부통령||}})
  • 2025년 5월 17일 (토) 11:03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파일:펜스 주요 연설.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ㅂ |미국 부통령||}})
  • 2025년 5월 17일 (토) 01:3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틀:USA 국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틀:국기나라|미국}}<noinclude><br> {{역링크틀}} {{분류|국기 틀|국기 틀/영문|}}</noinclude>)
  • 2025년 5월 17일 (토) 01:3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틀:AS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틀:국기나라|아메리칸사모아}}<noinclude><br> {{역링크틀}} {{분류|국기 틀|국기 틀/영문|}}</noinclude>)
  • 2025년 5월 17일 (토) 01:3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틀:GUM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틀:국기나라|괌}}<noinclude><br> {{역링크틀}} {{분류|국기 틀|국기 틀/영문|}}</noinclude>)
  • 2025년 5월 17일 (토) 01:3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틀:MNP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틀:국기나라|북마리아나 제도}}<noinclude><br> {{역링크틀}} {{분류|국기 틀|국기 틀/영문|}}</noinclude>)
  • 2025년 5월 17일 (토) 01:3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틀:PC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틀:국기나라|핏케언 제도}}<noinclude><br> {{역링크틀}} {{분류|국기 틀|국기 틀/영문|}}</noinclude>)
  • 2025년 5월 17일 (토) 01:33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틀:GBR 국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틀:국기나라|영국}}<noinclude><br> {{역링크틀}} {{분류|국기 틀|국기 틀/영문|}}</noinclude>)
  • 2025년 5월 17일 (토) 01:3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틀:PYF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틀:국기나라|프랑스령 폴리네시아}}<noinclude><br> {{역링크틀}} {{분류|국기 틀|국기 틀/영문|}}</noinclude>)
  • 2025년 5월 17일 (토) 01:2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틀:CHI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틀:국기나라|칠레}}<noinclude><br> {{역링크틀}} {{분류|국기 틀|국기 틀/영문|}}</noinclude>)
  • 2025년 5월 17일 (토) 01:2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틀:CRC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틀:국기나라|코스타리카}}<noinclude><br> {{역링크틀}} {{분류|국기 틀|국기 틀/영문|}}</noinclude>)
  • 2025년 5월 17일 (토) 01:2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틀:NC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틀:국기나라|니카라과}}<noinclude><br> {{역링크틀}} {{분류|국기 틀|국기 틀/영문|}}</noinclude>)
  • 2025년 5월 17일 (토) 01:2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틀:HO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틀:국기나라|온두라스}}<noinclude><br> {{역링크틀}} {{분류|국기 틀|국기 틀/영문|}}</noinclude>)
  • 2025년 5월 17일 (토) 01:2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틀:ES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틀:국기나라|엘살바도르}}<noinclude><br> {{역링크틀}} {{분류|국기 틀|국기 틀/영문|}}</noinclude>)
  • 2025년 5월 17일 (토) 01:2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틀:GU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틀:국기나라|과테말라}}<noinclude><br> {{역링크틀}} {{분류|국기 틀|국기 틀/영문|}}</noinclude>)
  • 2025년 5월 17일 (토) 01:2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틀:MH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틀:국기나라|마셜 제도}}<noinclude><br> {{역링크틀}} {{분류|국기 틀|국기 틀/영문|}}</noinclude>)
  • 2025년 5월 17일 (토) 01:2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틀:WLF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틀:국기나라|왈리스 푸투나}}<noinclude><br> {{역링크틀}} {{분류|국기 틀|국기 틀/영문|}}</noinclude>)
  • 2025년 5월 17일 (토) 01:23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틀:NC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틀:국기나라|누벨칼레도니}}<noinclude><br> {{역링크틀}} {{분류|국기 틀|국기 틀/영문|}}</noinclude>)
  • 2025년 5월 17일 (토) 01:2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틀:FRA 국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틀:국기나라|프랑스}}<noinclude><br> {{역링크틀}} {{분류|국기 틀|국기 틀/영문|}}</noinclude>)
  • 2025년 5월 17일 (토) 01:21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틀:TK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틀:국기나라|토켈라우}}<noinclude><br> {{역링크틀}} {{분류|국기 틀|국기 틀/영문|}}</noinclude>)
  • 2025년 5월 17일 (토) 01:2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틀:NZL 국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틀:국기나라|뉴질랜드}}<noinclude><br> {{역링크틀}} {{분류|국기 틀|국기 틀/영문|}}</noinclude>)
  • 2025년 5월 17일 (토) 01:1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틀:NFK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틀:국기나라|노퍽 섬}}<noinclude><br> {{역링크틀}} {{분류|국기 틀|국기 틀/영문|}}</noinclude>)
  • 2025년 5월 17일 (토) 01:1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틀:AUS 국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틀:국기나라|오스트레일리아}}<noinclude><br> {{역링크틀}} {{분류|국기 틀|국기 틀/영문|}}</noinclude>)
  • 2025년 5월 17일 (토) 01:1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틀:COK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틀:국기나라|쿡 제도}}<noinclude><br> {{역링크틀}} {{분류|국기 틀|국기 틀/영문|}}</noinclude>)
  • 2025년 5월 17일 (토) 01:1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틀:NIU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틀:국기나라|니우에}}<noinclude><br> {{역링크틀}} {{분류|국기 틀|국기 틀/영문|}}</noinclude>)
  • 2025년 5월 17일 (토) 01:1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틀:TG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틀:국기나라|통가}}<noinclude><br> {{역링크틀}} {{분류|국기 틀|국기 틀/영문|}}</noinclude>)
  • 2025년 5월 17일 (토) 01:1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틀:KIR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틀:국기나라|키리바시}}<noinclude><br> {{역링크틀}} {{분류|국기 틀|국기 틀/영문|}}</noinclude>)
  • 2025년 5월 17일 (토) 01:1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틀:FIJ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틀:국기나라|피지}}<noinclude><br> {{역링크틀}} {{분류|국기 틀|국기 틀/영문|}}</noinclude>)
  • 2025년 5월 17일 (토) 01:1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틀:TUV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틀:국기나라|투발루}}<noinclude><br> {{역링크틀}} {{분류|국기 틀|국기 틀/영문|}}</noinclude>)
  • 2025년 5월 17일 (토) 01:1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틀:VA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틀:국기나라|바누아투}}<noinclude><br> {{역링크틀}} {{분류|국기 틀|국기 틀/영문|}}</noinclude>)
  • 2025년 5월 17일 (토) 01:1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틀:NRU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틀:국기나라|나우루}}<noinclude><br> {{역링크틀}} {{분류|국기 틀|국기 틀/영문|}}</noinclude>)
  • 2025년 5월 17일 (토) 01:1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틀:S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틀:국기나라|솔로몬 제도}}<noinclude><br> {{역링크틀}} {{분류|국기 틀|국기 틀/영문|}}</noinclude>)
  • 2025년 5월 17일 (토) 01:1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틀:FSM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틀:국기나라|미크로네시아 연방}}<noinclude><br> {{역링크틀}} {{분류|국기 틀|국기 틀/영문|}}</noinclude>)
  • 2025년 5월 17일 (토) 01:1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틀:IN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틀:국기나라|인도네시아}}<noinclude><br> {{역링크틀}} {{분류|국기 틀|국기 틀/영문|}}</noinclude>)
  • 2025년 5월 17일 (토) 01:0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틀:S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틀:국기나라|싱가포르}}<noinclude><br> {{역링크틀}} {{분류|국기 틀|국기 틀/영문|}}</noinclude>)
  • 2025년 5월 17일 (토) 01:0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틀:MA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틀:국기나라|말레이시아}}<noinclude><br> {{역링크틀}} {{분류|국기 틀|국기 틀/영문|}}</noinclude>)
  • 2025년 5월 17일 (토) 01:0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틀:CAM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틀:국기나라|캄보디아}}<noinclude><br> {{역링크틀}} {{분류|국기 틀|국기 틀/영문|}}</noinclude>)
  • 2025년 5월 17일 (토) 01:0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틀:VI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틀:국기나라|베트남}}<noinclude><br> {{역링크틀}} {{분류|국기 틀|국기 틀/영문|}}</noinclude>)
  • 2025년 5월 17일 (토) 01:0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틀:MAC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틀:국기나라|마카오}}<noinclude><br> {{역링크틀}} {{분류|국기 틀|국기 틀/영문|}}</noinclude>)
  • 2025년 5월 17일 (토) 01:0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틀:Col-break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noinclude/> | class="col-break {{{class|}}}"{{if2 |{{{width|}}}{{{align|}}}{{{gap|}}}{{{valign|}}}{{{style|}}}|style="{{if2 |{{{width|}}}|width: {{{width}}};}}{{if2 |{{{align|}}}|text-align: {{{align}}};}} {{if2 | {{{gap|}}}|padding-left: {{{gap}}};}}{{if2 |{{{valign|}}}|vertical-align: {{{valign}}};}}{{if2 |{{{style|}}}|{{{style}}}}}"}} | <noinclude> {{설명문서}} {{ㅂ |표관련 틀||}} </noinclude>)
  • 2025년 5월 15일 (목) 17:3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펀자브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펀자브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5년 5월 15일 (목) 11:3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분류:35획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한자 획수별)
  • 2025년 5월 15일 (목) 11:3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분류:34획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한자 획수별)
  • 2025년 5월 15일 (목) 11:3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분류:33획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한자 획수별)
  • 2025년 5월 15일 (목) 11:31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분류:32획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한자 획수별)
  • 2025년 5월 15일 (목) 11:31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분류:31획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한자 획수별)
  • 2025년 5월 15일 (목) 11:31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분류:30획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한자 획수별)
  • 2025년 5월 15일 (목) 11:31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분류:29획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한자 획수별)
  • 2025년 5월 15일 (목) 11:31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분류:28획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한자 획수별)
  • 2025년 5월 15일 (목) 11:31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분류:27획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한자 획수별)
  • 2025년 5월 15일 (목) 11:3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분류:26획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한자 획수별)
  • 2025년 5월 15일 (목) 11:3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분류:25획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한자 획수별)
  • 2025년 5월 15일 (목) 11:3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분류:24획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한자 획수별)
  • 2025년 5월 15일 (목) 11:3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분류:23획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한자 획수별)
  • 2025년 5월 15일 (목) 11:2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분류:22획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한자 획수별)
  • 2025년 5월 15일 (목) 11:2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분류:21획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 한자 획수별)
  • 2025년 5월 14일 (수) 12:1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분류:형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ㅂ |법률||}})
  • 2025년 5월 13일 (화) 20:1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悾 |훈음= 정성 공 |부수= 心 |나머지 획수= 8획 |총 획수= 11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コウ |일본어 훈독= まこと |간체자= - |표준 중국어= kōng |이체 = }} ==개요== <b>悾</b>(정성 공)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8획이다. 총 획수는 11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 2025년 5월 13일 (화) 20:1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裹 |훈음= 쌀 과 |부수= 衣 |나머지 획수= 8획 |총 획수= 14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 |일본어 훈독= たから, つつ-む, まと-う |간체자= - |표준 중국어= guǒ |이체 = }} ==개요== <b>裹</b>(쌀 과)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8획이다. 총 획수는 14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
  • 2025년 5월 13일 (화) 20:1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瘝 |훈음= 앓을 관 |부수= 疒 |나머지 획수= 9획 |총 획수= 14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ン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 |이체 = }} ==개요== <b>瘝</b>(앓을 관)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9획이다. 총 획수는 14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특급에 해...)
  • 2025년 5월 13일 (화) 20:1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丱 |훈음= 쌍상투 관 |부수= 丨 |나머지 획수= 4획 |총 획수= 5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ケン |일본어 훈독= あげまき |간체자= - |표준 중국어= guàn |이체 = }} ==개요== <b>丱</b>(쌍상투 관)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4획이다. 총 획수는 5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
  • 2025년 5월 13일 (화) 20:1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纊 |훈음= 고운솜 광 |부수= 糸 |나머지 획수= 15획 |총 획수= 21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コウ |일본어 훈독= わた, わたいれ |간체자= 纩 |표준 중국어= kuàng |이체 = }} ==개요== <b>纊</b>(고운솜 광)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5획이다. 총 획수는 21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 2025년 5월 13일 (화) 20:1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瑰 |훈음= 옥돌 괴 |부수= 玉 |나머지 획수= 10획 |총 획수= 14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イ |일본어 훈독= おお-きい, すぐ-れる, めずら-しい |간체자= 瑰 |표준 중국어= guī |이체 = }} ==개요== <b>瑰</b>(옥돌 괴)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0획이다. 총 획수는 14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
  • 2025년 5월 13일 (화) 20:1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嘐 |훈음= 닭 울 교, 큰 소리 효 |부수= 口 |나머지 획수= 11획 |총 획수= 14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미배정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コウ |일본어 훈독= なきこえ |간체자= - |표준 중국어= xiāo, jiāo, láo, bào, miù |이체 = }} ==개요== <b>嘐</b>(닭 울 교, 큰 소리 효)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1획이다. 총 획수는 14획으로 이루어진 한자...)
  • 2025년 5월 13일 (화) 20:1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屨 |훈음= 신 구 |부수= 尸 |나머지 획수= -획 |총 획수= -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ク, キョ |일본어 훈독= くつ, はく |간체자= 屦 |표준 중국어= jù |이체 = }} ==개요== <b>屨</b>(신 구)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획이다. 총 획수는 -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
  • 2025년 5월 13일 (화) 20:1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糗 |훈음= 미숫가루 구 |부수= 米 |나머지 획수= 10획 |총 획수= 16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ュウ |일본어 훈독= はったい |간체자= - |표준 중국어= qiǔ |이체 = }} ==개요== <b>糗</b>(미숫가루 구)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0획이다. 총 획수는 16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 2025년 5월 13일 (화) 20:1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捄 |훈음= 흙파올릴 구 |부수= 手 |나머지 획수= 7획 |총 획수= 10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ュウ, ク |일본어 훈독= - |간체자= 救 |표준 중국어= jiù |이체 = }} ==개요== <b>捄</b>(흙파올릴 구)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7획이다. 총 획수는 10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
  • 2025년 5월 13일 (화) 20:13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棬 |훈음= 나무그릇 권 |부수= 木 |나머지 획수= 8획 |총 획수= 12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ケン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quān |이체 = }} ==개요== <b>棬</b>(나무그릇 권)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8획이다. 총 획수는 12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
  • 2025년 5월 13일 (화) 20:13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匱 |훈음= 갑/다할 궤 |부수= 匚 |나머지 획수= 12획 |총 획수= 14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 ギ |일본어 훈독= とぼ-しい, はこ, ひつ |간체자= 匮 |표준 중국어= kuì |이체 = }} ==개요== <b>匱</b>(갑/다할 궤)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2획이다. 총 획수는 14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 2025년 5월 13일 (화) 20:13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匭 |훈음= 상자 궤 |부수= 匚 |나머지 획수= 9획 |총 획수= 11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 |일본어 훈독= - |간체자= 匦 |표준 중국어= guǐ |이체 = }} ==개요== <b>匭</b>(상자 궤)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9획이다. 총 획수는 11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특급에...)
  • 2025년 5월 13일 (화) 20:1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戣 |훈음= 창 규 |부수= 戈 |나머지 획수= 9획 |총 획수= 13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kuí |이체 = }} ==개요== <b>戣</b>(창 규)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9획이다. 총 획수는 13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특급에 해당한...)
  • 2025년 5월 13일 (화) 20:1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騤 |훈음= 말건장할 규 |부수= 馬 |나머지 획수= 9획 |총 획수= 19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 |일본어 훈독= - |간체자= 骙 |표준 중국어= kuí |이체 = }} ==개요== <b>騤</b>(말건장할 규)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9획이다. 총 획수는 19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 2025년 5월 13일 (화) 20:11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亟 |훈음= 빠를 극, 자주 기 |부수= 二 |나머지 획수= 7획 |총 획수= 9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 キョク |일본어 훈독= しばしば, すみやか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í, qì |이체 = }} ==개요== <b>亟</b>(빠를 극, 자주 기)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7획이다. 총 획수는 9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
  • 2025년 5월 13일 (화) 20:1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暣 |훈음= 볕 기 |부수= 日 |나머지 획수= 10획 |총 획수= 14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 ケ |일본어 훈독= - |간체자= 𣅠 |표준 중국어= - |이체 = }} ==개요== <b>暣</b>(볕 기)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0획이다. 총 획수는 14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특급에...)
  • 2025년 5월 13일 (화) 20:1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墍 |훈음= 흙바를 기 |부수= 土 |나머지 획수= 11획 |총 획수= 14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 ケ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ì, xì |이체 = }} ==개요== <b>墍</b>(흙바를 기)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1획이다. 총 획수는 14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
  • 2025년 5월 13일 (화) 20:0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芑 |훈음= 흰차조 기 |부수= 艸 |나머지 획수= 3획 |총 획수= 7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qǐ |이체 = }} ==개요== <b>芑</b>(흰차조 기)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3획이다. 총 획수는 7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특급에...)
  • 2025년 5월 13일 (화) 20:01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鯀 |훈음= 큰물고기 곤 |부수= 魚 |나머지 획수= 7획 |총 획수= 18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コン |일본어 훈독= - |간체자= 鲧 |표준 중국어= gǔn |이체 = }} ==개요== <b>鯀</b>(큰물고기 곤)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7획이다. 총 획수는 18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
  • 2025년 5월 13일 (화) 20:01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蜾 |훈음= 나나니벌 과 |부수= 虫 |나머지 획수= 8획 |총 획수= 14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guǒ |이체 = }} ==개요== <b>蜾</b>(나나니벌 과)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8획이다. 총 획수는 14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특...)
  • 2025년 5월 13일 (화) 20:0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盥 |훈음= 대야 관 |부수= 皿 |나머지 획수= 11획 |총 획수= 16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ン |일본어 훈독= たら |간체자= - |표준 중국어= guàn |이체 = }} ==개요== <b>盥</b>(대야 관)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1획이다. 총 획수는 16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 2025년 5월 13일 (화) 20:0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祼 |훈음= 강신제 |부수= 示 |나머지 획수= 8획 |총 획수= 13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guàn |이체 = }} ==개요== <b>祼</b>(강신제)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8획이다. 총 획수는 13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특급에 해당...)
  • 2025년 5월 13일 (화) 20:0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聒 |훈음= 떠지껄일 괄 |부수= 耳 |나머지 획수= 6획 |총 획수= 12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ツ |일본어 훈독= おろ-か, かまびす-しい |간체자= - |표준 중국어= guō |이체 = }} ==개요== <b>聒</b>(떠지껄일 괄)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6획이다. 총 획수는 12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 2025년 5월 13일 (화) 20:0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蹻 |훈음= 발들 교, 짚신 갹 |부수= 足 |나머지 획수= 12획 |총 획수= 19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ャク, キョウ, キョク |일본어 훈독= あ-げる, おご-る, かんじき |간체자= 𫏋 |표준 중국어= qiāo |이체 = }} ==개요== <b>蹻</b>(발들 교, 짚신 갹)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2획이다. 총 획수는 19획으로 이...)
  • 2025년 5월 13일 (화) 20:0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姣 |훈음= 아름다울/아양부릴 교 |부수= 女 |나머지 획수= 6획 |총 획수= 9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ョウ, ギョウ, コウ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iāo |이체 = }} ==개요== <b>姣</b>(아름다울/아양부릴 교)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6획이다. 총 획수는 9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
  • 2025년 5월 13일 (화) 19:5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構 |훈음= 얽을 구 |부수= 木 |나머지 획수= 10획 |총 획수= 14획 |교육용= 고등학교 |어문회 급수= 4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コウ |일본어 훈독= かま-える, かま-う |간체자= 构 |표준 중국어= gòu |이체 = }} ==개요== <b>構</b>(얽을 구)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0획이다. 총 획수는 14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고등학교 한자이고...)
  • 2025년 5월 13일 (화) 19:5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5년 5월 13일 (화) 19:5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垝 |훈음= 무너질 궤 |부수= 土 |나머지 획수= 6획 |총 획수= 9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guǐ |이체 = }} ==개요== <b>垝</b>(무너질 궤)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6획이다. 총 획수는 9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특급에...)
  • 2025년 5월 13일 (화) 19:5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餽 |훈음= 먹일 궤 |부수= 食 |나머지 획수= 10획 |총 획수= 19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 |일본어 훈독= おく-る, まつ-る |간체자= 馈 |표준 중국어= kuì |이체 = }} ==개요== <b>餽</b>(먹일 궤)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0획이다. 총 획수는 19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
  • 2025년 5월 13일 (화) 19:5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刲 |훈음= 찌를/벨 규 |부수= 刀 |나머지 획수= 6획 |총 획수= 8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kuī |이체 = }} ==개요== <b>刲</b>(찌를/벨 규)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6획이다. 총 획수는 8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특급에...)
  • 2025년 5월 13일 (화) 19:5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殛 |훈음= 귀양보낼 극 |부수= 歹 |나머지 획수= 9획 |총 획수= 13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ョク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í |이체 = }} ==개요== <b>殛</b>(귀양보낼 극)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9획이다. 총 획수는 13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
  • 2025년 5월 13일 (화) 19:5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墐 |훈음= 묻을 근 |부수= 土 |나머지 획수= 11획 |총 획수= 14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ン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ìn |이체 = }} ==개요== <b>墐</b>(묻을 근)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1획이다. 총 획수는 14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특급...)
  • 2025년 5월 13일 (화) 19:5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曁 |훈음= 미칠 기 |부수= 日 |나머지 획수= 12획 |총 획수= 16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 |일본어 훈독= いた-る, およ-ぶ |간체자= 暨 |표준 중국어= jì |이체 = }} ==개요== <b>曁</b>(미칠 기)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2획이다. 총 획수는 16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 2025년 5월 13일 (화) 19:5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夔 |훈음= 조심할 기 |부수= 夊 |나머지 획수= 17획 |총 획수= 20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 ギ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kuí |이체 = }} ==개요== <b>夔</b>(조심할 기)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7획이다. 총 획수는 20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
  • 2025년 5월 13일 (화) 19:5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頎 |훈음= 헌걸찰 기 |부수= 頁 |나머지 획수= 4획 |총 획수= 13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 コン |일본어 훈독= - |간체자= 颀 |표준 중국어= qí |이체 = }} ==개요== <b>頎</b>(헌걸찰 기)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4획이다. 총 획수는 13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
  • 2025년 5월 13일 (화) 19:5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綦 |훈음= 들메끈 기 |부수= 糸 |나머지 획수= 8획 |총 획수= 14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 |일본어 훈독= あやぎぬ |간체자= 綦 |표준 중국어= qí |이체 = }} ==개요== <b>綦</b>(들메끈 기)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8획이다. 총 획수는 14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
  • 2025년 5월 13일 (화) 19:53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狷 |훈음= 고집스러울 견 |부수= 犬 |나머지 획수= 7획 |총 획수= 10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ケン |일본어 훈독= かたいじ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uàn |이체 = }} ==개요== <b>狷</b>(고집스러울 견)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7획이다. 총 획수는 10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 2025년 5월 13일 (화) 19:53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蒹 |훈음= 갈대 겸 |부수= 艸 |나머지 획수= 10획 |총 획수= 14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ケン |일본어 훈독= おぎ |간체자= 蒹 |표준 중국어= jiān |이체 = }} ==개요== <b>蒹</b>(갈대 겸)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0획이다. 총 획수는 14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 2025년 5월 13일 (화) 19:5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煢 |훈음= 외로울 경 |부수= 火 |나머지 획수= 9획 |총 획수= 13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⑦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ケイ |일본어 훈독= うれ-える, ひとりもの |간체자= 茕 |표준 중국어= qióng |이체 = }} ==개요== <b>煢</b>(외로울 경)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9획이다. 총 획수는 13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
  • 2025년 5월 13일 (화) 19:51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槀 |훈음= 마른나무 고 |부수= 木 |나머지 획수= 10획 |총 획수= 14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コウ |일본어 훈독= か-らす, かれき, か-れる, かわ-かす, かわ-く |간체자= 槁 |표준 중국어= gǎo |이체 = }} ==개요== <b>槀</b>(마른나무 고)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0획이다. 총 획수는 14획으로 이루어진 한자...)
  • 2025년 5월 13일 (화) 19:51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羖 |훈음= 염소 고 |부수= 羊 |나머지 획수= 4획 |총 획수= 10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gǔ |이체 = }} ==개요== <b>羖</b>(염소 고)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4획이다. 총 획수는 10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특급에 해당...)
  • 2025년 5월 13일 (화) 19:4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藁 |훈음= 짚 고 |부수= 艸 |나머지 획수= 14획 |총 획수= 18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コウ |일본어 훈독= わら |간체자= - |표준 중국어= gǎo |이체 = }} ==개요== <b>藁</b>(짚 고)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4획이다. 총 획수는 18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준특...)
  • 2025년 5월 13일 (화) 19:4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5년 5월 13일 (화) 19:4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觳 |훈음= 뿔잔 곡 |부수= 角 |나머지 획수= 10획 |총 획수= 17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⑦ |신자체= - |일본어 음독= -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sù |이체 = }} ==개요== <b>觳</b>(뿔잔 곡)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0획이다. 총 획수는 17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⑦에 해당한...)
  • 2025년 5월 13일 (화) 19:4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錕 |훈음= 붉은쇠 곤 |부수= 金 |나머지 획수= 8획 |총 획수= 16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コン |일본어 훈독= - |간체자= 锟 |표준 중국어= kūn |이체 = }} ==개요== <b>錕</b>(붉은쇠 곤)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8획이다. 총 획수는 16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 2025년 5월 13일 (화) 19:4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畎 |훈음= 밭고랑 견 |부수= 田 |나머지 획수= 4획 |총 획수= 9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ケン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quǎn |이체 = }} ==개요== <b>畎</b>(밭고랑 견)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4획이다. 총 획수는 9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특...)
  • 2025년 5월 13일 (화) 19:4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歉 |훈음= 흉년들 겸 |부수= 欠 |나머지 획수= 10획 |총 획수= 14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ケン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qiàn |이체 = }} ==개요== <b>歉</b>(흉년들 겸)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0획이다. 총 획수는 14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 2025년 5월 13일 (화) 19:4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牼 |훈음= 소정강이뼈 경 |부수= 牛 |나머지 획수= 7획 |총 획수= 11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コウ |일본어 훈독= - |간체자= 𰠲 |표준 중국어= - |이체 = }} ==개요== <b>牼</b>(소정강이뼈 경)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7획이다. 총 획수는 11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 2025년 5월 13일 (화) 19:43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煢 |훈음= 외로울 경 |부수= 火 |나머지 획수= 9획 |총 획수= 13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7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ケイ |일본어 훈독= うれ-える, ひとりもの |간체자= 茕 |표준 중국어= qióng |이체 = }} ==개요== <b>煢</b>(외로울 경)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9획이다. 총 획수는 13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
  • 2025년 5월 13일 (화) 19:43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駉 |훈음= 살찌고큰 경 |부수= 馬 |나머지 획수= 5획 |총 획수= 15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ケイ |일본어 훈독= - |간체자= 𬳶 |표준 중국어= jiōng |이체 = }} ==개요== <b>駉</b>(살찌고큰 경)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5획이다. 총 획수는 15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
  • 2025년 5월 13일 (화) 19:43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楛 |훈음= 거칠 고, 나무이름 호 |부수= 木 |나머지 획수= 9획 |총 획수= 13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 |이체 = }} ==개요== <b>楛</b>(거칠 고, 나무이름 호)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9획이다. 총 획수는 13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 2025년 5월 13일 (화) 19:4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鼛 |훈음= 큰북 고 |부수= 鼓 |나머지 획수= 8획 |총 획수= 21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gāo |이체 = }} ==개요== <b>鼛</b>(큰북 고)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8획이다. 총 획수는 21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특급에 해...)
  • 2025년 5월 13일 (화) 19:4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梱 |훈음= 문지방 곤 |부수= 木 |나머지 획수= 7획 |총 획수= 11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コン |일본어 훈독= こうり, こり, しきみ |간체자= - |표준 중국어= kǔn |이체 = }} ==개요== <b>梱</b>(문지방 곤)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7획이다. 총 획수는 11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
  • 2025년 5월 13일 (화) 19:3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獧 |훈음= 뛸 견, 급할 현 |부수= 犬 |나머지 획수= 13획 |총 획수= 16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ケン |일본어 훈독= - |간체자= 狷 |표준 중국어= juàn |이체 = }} ==개요== <b>獧</b>(뛸 견, 급할 현)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3획이다. 총 획수는 16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
  • 2025년 5월 13일 (화) 19:3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褰 |훈음= 걷어 올릴 건 |부수= 衣 |나머지 획수= 10획 |총 획수= 16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⑦ |신자체= - |일본어 음독= -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qiān |이체 = }} ==개요== <b>褰</b>(걷어 올릴 건)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0획이다. 총 획수는 16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 2025년 5월 13일 (화) 19:3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莒 |훈음= 나라이름 거 |부수= 艸 |나머지 획수= 7획 |총 획수= 11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ョ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ǔ |이체 = }} ==개요== <b>莒</b>(나라이름 거)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7획이다. 총 획수는 11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 2025년 5월 13일 (화) 19:3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臄 |훈음= 순대 갹 |부수= 肉 |나머지 획수= 13획 |총 획수= 17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ué |이체 = }} ==개요== <b>臄</b>(순대 갹)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3획이다. 총 획수는 17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특급에 해...)
  • 2025년 5월 13일 (화) 19:3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慨 |훈음= 슬퍼할 개 |부수= 心 |나머지 획수= 11획 |총 획수= 14획 |교육용= 고등학교 |어문회 급수= 3급 |신자체= 慨 |일본어 음독= ガイ |일본어 훈독= いきどお-る, なげ-く |간체자= 慨 |표준 중국어= kǎi |이체 = }} ==개요== <b>慨</b>(슬퍼할 개)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1획이다. 총 획수는 14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고등학교...)
  • 2025년 5월 13일 (화) 19:3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5년 5월 13일 (화) 19:3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杠 |훈음= 깃대 강 |부수= 木 |나머지 획수= 3획 |총 획수= 7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コウ |일본어 훈독= ちぎ, ちきり, はたざお |간체자= - |표준 중국어= gàng |이체 = }} ==개요== <b>杠</b>(깃대 강)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3획이다. 총 획수는 7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 2025년 5월 13일 (화) 19:33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欿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欿 |훈음= 서운할 감 |부수= 欠 |나머지 획수= 8획 |총 획수= 12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ン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kǎn |이체 = }} ==개요== <b>欿</b>(서운할 감)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8획이다. 총 획수는 12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특...)
  • 2025년 5월 13일 (화) 19:33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훈음= |부수= |나머지 획수= |총 획수= |교육용= |어문회 급수= |신자체=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간체자= |표준 중국어= |이체 = }} ==개요== <b>幹</b>(줄기 간)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0획이다. 총 획수는 13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고등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준3급에 해당한다. ==용례== {{사용례 없음}} ==유의자==...)
  • 2025년 5월 13일 (화) 19:3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5년 5월 13일 (화) 19:3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珈 |훈음= 머리꾸미개 가 |부수= 玉 |나머지 획수= 5획 |총 획수= 9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 |일본어 훈독= かみかざ-り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iā |이체 = }} ==개요== <b>珈</b>(머리꾸미개 가)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5획이다. 총 획수는 9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 2025년 5월 11일 (일) 23:2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이재명 망언집 이재명의 138가지 그림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들어가는말== {{인용|과거는 미래를 비추는 거울입니다. 정치인의 언행을 살펴보는 것은 그가 만들고자 하는 국가의 방향을 예측하는 중요한 기준입니다. 이재명 대표의 발언들은 제각각 흩어져 있지만, 하나로 모이면 대한민국의 근본을 뒤흔드는 위험한 그림이 됩니다.대한민국에는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 그리고 한미동맹이라는 세 개의 기둥이...)
  • 2025년 5월 11일 (일) 23:0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물가에서 토론 기여님을 1주일 차단했습니다 (계정 만들기 금지됨)
  • 2025년 5월 11일 (일) 09:0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파일:이재명 망언집 이재명의 138가지 그림자.PDF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ㅂ| 이재명| 자료||}})
  • 2025년 5월 11일 (일) 09:0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파일:이재명 망언집 이재명의 138가지 그림자.PDF 파일을 올렸습니다 ({{ㅂ| 이재명| 자료||}})
  • 2025년 5월 11일 (일) 09:0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파일:이재명 망언집.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ㅂ| 이재명| 자료||}})
  • 2025년 5월 11일 (일) 09:0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파일:이재명 망언집.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ㅂ| 이재명| 자료||}})
  • 2025년 5월 11일 (일) 09:01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일본의 상용한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상용한자(일본)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5년 5월 10일 (토) 23:2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ㅇㅇㅇㅇㅇ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あ행== {|class="wikitable" {{st |w=100%}} ! 순차 !! 신자체 !! 정자 !! 한국음 !! 음 !! 예 |- | 1 || <big></big> || <big></big> || 아 || ア || 亜流、亜麻、亜熱帯 |- | 2 || <big></big> || || 애 || アイ<br>あわ-れ<br>あわ-れむ || 哀愁、哀願、悲哀<br>哀れ、哀れな話、哀れがる<br>哀れむ、哀れ...". 유일한 편집자는 "Rlakk00 710" (토론))
  • 2025년 5월 10일 (토) 23:2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ㅇㅇㅇㅇㅇ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あ행== {|class="wikitable" {{st |w=100%}} ! 순차 !! 신자체 !! 정자 !! 한국음 !! 음 !! 예 |- | 1 || <big></big> || <big></big> || 아 || ア || 亜流、亜麻、亜熱帯 |- | 2 || <big></big> || || 애 || アイ<br>あわ-れ<br>あわ-れむ || 哀愁、哀願、悲哀<br>哀れ、哀れな話、哀れがる<br>哀れむ、哀れみ |- | 3 || <big></big> || || 애 || アイ || 挨拶 |- | 4 || <big></big> || || 애 ||...)
  • 2025년 5월 10일 (토) 21:1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ㅁㅁㅁ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편집중}} ==정당목록== 가자대국민중심당 <br> 개혁국민정당 <br> 국가혁명당 <br> 국민대통합당 <br> 국민생각 <br> 국민신당 <br> 국민의당 <br> 국민의당 1963 <br> 국민의당 2016 <br> 국민중심당 <br> 국민중심연합 <br> 국민참여당 <br> 국민참여신당 <br> ...". 유일한 편집자는 "Rlakk00 710" (토론))
  • 2025년 5월 10일 (토) 21:1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ㅁㅁ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class="wikitable" |+ 캡션 텍스트 |- ! 표 제목 !! 표 제목 !! 표 제목 |- | {{:들여쓰기}} || {{:들여쓰기}} || {{:들여쓰기}} |- | {{:들여쓰기}} || {{:들여쓰기}} || {{:들여쓰기}} |- | {{:들여쓰기}} || {{:들여쓰기}} || {{:들여쓰기}} |}". 유일한 편집자는 "Rlakk00 710" (토론))
  • 2025년 5월 10일 (토) 21:1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ㅅㅅㅅ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성ㅆㅣ {{작성중}} {{접기}} 영광 정씨 <br> 칠원 제씨 <br> 남양 제갈씨 <br> 김제 조씨 <br> 배천 조씨 <br> 순창 조씨 <br> 양주 조씨 <br> 옥천 조씨 <br> 옥천 조씨 <br> 임천 조씨 <br> 직산 조씨 <br> 평양 조씨 <br> 풍양 조씨 <br> 한양 조씨 <br> 함안 조씨...". 유일한 편집자는 "Rlakk00 710" (토론))
  • 2025년 5월 10일 (토) 21:1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ㄹㄹㄹ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녀== * 윤수현 * 윤아 * 윤조 * 윤하 * 율희 라붐 * 은가은 * 은정 티아라 * 이선희 * 이소라 * 이수영 * 이영 애프터스쿨 * 이정현 * 이파니 * 이하이 * 이효리 * 인순이 * 임...". 유일한 편집자는 "Rlakk00 710" (토론))
  • 2025년 5월 10일 (토) 20:5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綌 |훈음= 굵은갈포 격 |부수= 糸 |나머지 획수= 7획 |총 획수= 13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ケキ, ゲキ |일본어 훈독= - |간체자= 绤 |표준 중국어= xì |이체 = }} ==개요== <b>綌</b>(굵은갈포 격)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7획이다. 총 획수는 13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 2025년 5월 10일 (토) 20:5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椐 |훈음= 느티나무 거 |부수= 木 |나머지 획수= 4획 |총 획수= 12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ョ, コ |일본어 훈독= まがき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ū |이체 = }} ==개요== <b>椐</b>(느티나무 거)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4획이다. 총 획수는 12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
  • 2025년 5월 10일 (토) 20:5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蘧 |훈음= 패랭이꽃 거 |부수= 艸 |나머지 획수= 17획 |총 획수= 21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qú |이체 = }} ==개요== <b>蘧</b>(패랭이꽃 거)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7획이다. 총 획수는 21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 2025년 5월 10일 (토) 20:5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5년 5월 10일 (토) 20:5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玠 |훈음= 큰홀 개 |부수= 玉 |나머지 획수= 4획 |총 획수= 8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イ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iè |이체 = }} ==개요== <b>玠</b>(큰홀 개)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4획이다. 총 획수는 8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특급에...)
  • 2025년 5월 10일 (토) 20:5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橿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橿 |훈음= 참죽나무 강 |부수= 木 |나머지 획수= 13획 |총 획수= 17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ョウ |일본어 훈독= かし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iāng |이체 = }} ==개요== <b>橿</b>(참죽나무 강)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3획이다. 총 획수는 17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
  • 2025년 5월 10일 (토) 20:5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瞰 |훈음= 굽어볼 감 |부수= 目 |나머지 획수= 12획 |총 획수= 17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1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ン |일본어 훈독= のぞ-む, みおろ-す, み-る |간체자= - |표준 중국어= kàn |이체 = }} ==개요== <b>瞰</b>(굽어볼 감)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2획이다. 총 획수는 17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
  • 2025년 5월 10일 (토) 20:5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玕 |훈음= 옥돌 간 |부수= 玉 |나머지 획수= 4획 |총 획수= 7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ン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gān |이체 = }} ==개요== <b>玕</b>(옥돌 간)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4획이다. 총 획수는 7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특급에...)
  • 2025년 5월 10일 (토) 20:5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哿 |훈음= 가할 가 |부수= 口 |나머지 획수= 3획 |총 획수= 10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gě |이체 = }} ==개요== <b>哿</b>(가할 가)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3획이다. 총 획수는 10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특급에 해...)
  • 2025년 5월 10일 (토) 20:5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酤 |훈음= 단술 고 |부수= 酉 |나머지 획수= 5획 |총 획수= 12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コ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gū |이체 = }} ==개요== <b>酤</b>(단술 고)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5획이다. 총 획수는 12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특급에 해...)
  • 2025년 5월 10일 (토) 20:5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刳 |훈음= 가를 고 |부수= 刀 |나머지 획수= 6획 |총 획수= 8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コ |일본어 훈독= えぐ-る, く-る, さ-く |간체자= - |표준 중국어= kū |이체 = }} ==개요== <b>刳</b>(가를 고)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6획이다. 총 획수는 8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 2025년 5월 10일 (토) 20:5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瞽 |훈음= 맹인 고 |부수= 目 |나머지 획수= 13획 |총 획수= 18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⑦ |신자체= - |일본어 음독= -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gǔ |이체 = }} ==개요== <b>瞽</b>(맹인 고)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3획이다. 총 획수는 18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⑦에 해당한...)
  • 2025년 5월 10일 (토) 20:53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冏 |훈음= 빛날 경 |부수= 冂 |나머지 획수= 5획 |총 획수= 7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ョウ, ケイ |일본어 훈독= あき-らか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iǒng |이체 = }} ==개요== <b>冏</b>(빛날 경)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5획이다. 총 획수는 7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
  • 2025년 5월 10일 (토) 20:53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熲 |훈음= 불빛 경 |부수= 火 |나머지 획수= 11획 |총 획수= 15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⑦ |신자체= - |일본어 음독= - |일본어 훈독= - |간체자= 顷 |표준 중국어= qīng, qǐng, kuǐ |이체 = }} ==개요== <b>熲</b>(불빛 경)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1획이다. 총 획수는 15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 2025년 5월 10일 (토) 20:53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鶊 |훈음= 꾀꼬리 경 |부수= 鳥 |나머지 획수= 8획 |총 획수= 19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コウ |일본어 훈독= - |간체자= 鹒 |표준 중국어= gēng |이체 = }} ==개요== <b>鶊</b>(꾀꼬리 경)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8획이다. 총 획수는 19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 2025년 5월 10일 (토) 20:5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觼 |훈음= 쇠고리 결 |부수= 角 |나머지 획수= 15획 |총 획수= 22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 |이체 = }} ==개요== <b>觼</b>(쇠고리 결)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5획이다. 총 획수는 22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특급에...)
  • 2025년 5월 10일 (토) 20:5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繾 |훈음= 곡진할 견 |부수= 糸 |나머지 획수= 14획 |총 획수= 20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ケン |일본어 훈독= - |간체자= 缱 |표준 중국어= qiǎn |이체 = }} ==개요== <b>繾</b>(곡진할 견)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4획이다. 총 획수는 20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 2025년 5월 10일 (토) 20:51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憩 |훈음= 쉴 게 |부수= 心 |나머지 획수= 12획 |총 획수= 16획 |교육용= 미배정[1] |어문회 급수= 2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ケイ |일본어 훈독= いこ-い, いこ-う |간체자= - |표준 중국어= qì |이체 = }} ==개요== <b>憩</b>(쉴 게)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2획이다. 총 획수는 16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1] 한자이고, 어문회...)
  • 2025년 5월 10일 (토) 20:51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5년 5월 10일 (토) 20:5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袪 |훈음= 소매 거 |부수= 衣 |나머지 획수= 5획 |총 획수= 10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ョ, コ |일본어 훈독= そで |간체자= - |표준 중국어= qū |이체 = }} ==개요== <b>袪</b>(소매 거)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5획이다. 총 획수는 10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 2025년 5월 10일 (토) 20:5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筥 |훈음= 광주리 거, 밥통 려 |부수= 竹 |나머지 획수= 7획 |총 획수= 12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ョ |일본어 훈독= いねたば, はこ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ǔ |이체 = }} ==개요== <b>筥</b>(광주리 거, 밥통 려)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7획이다. 총 획수는 12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
  • 2025년 5월 10일 (토) 20:4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硜 |훈음= 돌소리 갱 |부수= 石 |나머지 획수= 7획 |총 획수= 12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コウ |일본어 훈독= - |간체자= 硁 |표준 중국어= kēng |이체 = }} ==개요== <b>硜</b>(돌소리 갱)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7획이다. 총 획수는 12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 2025년 5월 10일 (토) 20:4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槩 |훈음= 평미레 개 |부수= 木 |나머지 획수= 11획 |총 획수= 15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槩 |일본어 음독= カイ, ガイ |일본어 훈독= おおむ-ね |간체자= 槩 |표준 중국어= gài |이체 = }} ==개요== <b>槩</b>(평미레 개)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1획이다. 총 획수는 15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 2025년 5월 10일 (토) 20:4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歛 |훈음= 바랄 감 |부수= 欠 |나머지 획수= 13획 |총 획수= 17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㰸 |일본어 음독= カン |일본어 훈독= あた-える, ねが-う, のぞ-む |간체자= 敛 |표준 중국어= liǎn, hān |이체 = }} ==개요== <b>歛</b>(바랄 감)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3획이다. 총 획수는 17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
  • 2025년 5월 10일 (토) 20:4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秸 |훈음= 볏짚 갈 |부수= 禾 |나머지 획수= 6획 |총 획수= 11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iē |이체 = }} ==개요== <b>秸</b>(볏짚 갈)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6획이다. 총 획수는 11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특급에 해...)
  • 2025년 5월 10일 (토) 20:4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蕑 |훈음= 난초/연밥 간 |부수= 艸 |나머지 획수= 3획 |총 획수= 15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ン, ゲン |일본어 훈독= ふじばかま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iān |이체 = }} ==개요== <b>蕑</b>(난초/연밥 간)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3획이다. 총 획수는 15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
  • 2025년 5월 10일 (토) 20:4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檟 |훈음= 가나무 가 |부수= 木 |나머지 획수= 4획 |총 획수= 17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 |일본어 훈독= ひさぎ |간체자= 槚 |표준 중국어= jiǎ |이체 = }} ==개요== <b>檟</b>(가나무 가)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4획이다. 총 획수는 17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
  • 2025년 5월 10일 (토) 19:2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우종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공직자 정보 |이름 = 우종수 |원어명 = 禹鍾壽<br>Woo Jong-soo |그림 = 파일:우종수 국가수사본부장.jpg |설명= 유독 앞머리를 흰색으로 브릿지 넣은 몇몇 인사가 있다. |국가 = 대한민국 |대수 = 2 |직책 = 국가수사본부장 |임기 = 2023년 3월 29일~ |출생일 = {{출생년과 나이|1968}} |출생지 = 서울특별시 |본관 = 단양 우씨 |학력 = 연세대학교 대학원 법학 석사 |경...)
  • 2025년 5월 10일 (토) 18:51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파일:1742235664.jp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ㅂ |윤석열 ||}})
  • 2025년 5월 10일 (토) 18:51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파일:1742235664.jpg 파일을 올렸습니다 ({{ㅂ |윤석열 ||}})
  • 2025년 5월 10일 (토) 18:4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파일:1742235664-1.jp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ㅂ |윤석열 ||}})
  • 2025년 5월 10일 (토) 18:4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파일:1742235664-1.jpg 파일을 올렸습니다 ({{ㅂ |윤석열 ||}})
  • 2025년 5월 10일 (토) 18:4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파일:진성준 더불어민주당.jp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ㅂ |좌파 ||}})
  • 2025년 5월 10일 (토) 18:4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파일:진성준 더불어민주당.jpg 파일을 올렸습니다 ({{ㅂ |좌파 ||}})
  • 2025년 5월 10일 (토) 18:3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파일:용혜인.jp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ㅂ |좌파 ||}})
  • 2025년 5월 10일 (토) 18:3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파일:용혜인.jpg 파일을 올렸습니다 ({{ㅂ |좌파 ||}})
  • 2025년 5월 10일 (토) 18:3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파일:우종수 국가수사본부장.jp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ㅂ |좌파 ||}})
  • 2025년 5월 10일 (토) 18:3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파일:우종수 국가수사본부장.jpg 파일을 올렸습니다 ({{ㅂ |좌파 ||}})
  • 2025년 5월 10일 (토) 18:3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파일:의총 발언하는 권영세.jp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ㅂ |국민의힘||}})
  • 2025년 5월 10일 (토) 18:3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파일:의총 발언하는 권영세.jpg 파일을 올렸습니다 ({{ㅂ |국민의힘||}})
  • 2025년 5월 10일 (토) 18:3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파일:국힘 비대위원장 권영세, 무소속 한덕수.jp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ㅂ |국민의힘||}})
  • 2025년 5월 10일 (토) 18:3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파일:국힘 비대위원장 권영세, 무소속 한덕수.jpg 파일을 올렸습니다 ({{ㅂ |국민의힘||}})
  • 2025년 5월 10일 (토) 18:3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파일:김문수 몰아내는 쌍권.jpe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ㅂ |국민의힘||}})
  • 2025년 5월 10일 (토) 18:3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파일:김문수 몰아내는 쌍권.jpeg 파일을 올렸습니다 ({{ㅂ |국민의힘||}})
  • 2025년 5월 9일 (금) 18:1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牿 |훈음= 외양간 곡 |부수= 牛 |나머지 획수= 7획 |총 획수= 11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gù |이체 = }} ==개요== <b>牿</b>(외양간 곡)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7획이다. 총 획수는 11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특급에...)
  • 2025년 5월 9일 (금) 18:1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觚 |훈음= 술잔/홀로 고 |부수= 角 |나머지 획수= 7획 |총 획수= 12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gū |이체 = }} ==개요== <b>觚</b>(술잔/홀로 고)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7획이다. 총 획수는 12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 2025년 5월 9일 (금) 18:13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杲 |훈음= 밝을 고 |부수= 木 |나머지 획수= 4획 |총 획수= 8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コウ |일본어 훈독= あき-らか, たか-い |간체자= - |표준 중국어= gǎo |이체 = }} ==개요== <b>杲</b>(밝을 고)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4획이다. 총 획수는 8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
  • 2025년 5월 9일 (금) 18:13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盬 |훈음= 짠못 고 |부수= 皿 |나머지 획수= 13획 |총 획수= 18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7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gǔ, gù, gū |이체 = }} ==개요== <b>盬</b>(짠못 고)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3획이다. 총 획수는 18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⑦에...)
  • 2025년 5월 9일 (금) 18:1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烓 |훈음= 화덕 계 |부수= 火 |나머지 획수= 6획 |총 획수= 10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エイ, ケイ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 |이체 = }} ==개요== <b>烓</b>(화덕 계)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6획이다. 총 획수는 10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특...)
  • 2025년 5월 9일 (금) 18:1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惸 |훈음= 근심할 경 |부수= 心 |나머지 획수= 9획 |총 획수= 12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미배정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ケイ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qióng |이체 = }} ==개요== <b>惸</b>(근심할 경)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9획이다. 총 획수는 12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 2025년 5월 9일 (금) 18:11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褧 |훈음= 홑옷 경 |부수= 衣 |나머지 획수= 10획 |총 획수= 16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⑦ |신자체= - |일본어 음독= -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iǒng |이체 = }} ==개요== <b>褧</b>(홑옷 경)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0획이다. 총 획수는 16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⑦에 해당...)
  • 2025년 5월 9일 (금) 18:11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睘 |훈음= 놀라서볼 경 |부수= 目 |나머지 획수= 8획 |총 획수= 13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ケイ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qióng |이체 = }} ==개요== <b>睘</b>(놀라서볼 경)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8획이다. 총 획수는 13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
  • 2025년 5월 9일 (금) 18:0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闋 마칠 결 부수 및 나머지 획수 門, 9획 총 획수 17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ケツ 일본어 훈독 - 간체자 阕 표준 중국어 què)
  • 2025년 5월 9일 (금) 18:0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蠲 |훈음= 덜/정결할 견 |부수= 虫 |나머지 획수= 17획 |총 획수= 23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 |일본어 훈독= - |간체자= 蠲 |표준 중국어= juān |이체 = }} ==개요== <b>蠲</b>(덜/정결할 견)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7획이다. 총 획수는 23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
  • 2025년 5월 9일 (금) 18:0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鴃 |훈음= 왜가리 격 |부수= 鳥 |나머지 획수= 4획 |총 획수= 15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ゲキ, ケツ |일본어 훈독= もず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ué |이체 = }} ==개요== <b>鴃</b>(왜가리 격)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4획이다. 총 획수는 15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 2025년 5월 9일 (금) 18:0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跲 |훈음= 엎드러질 겁 |부수= 足 |나머지 획수= 6획 |총 획수= 13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ョウ, コウ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iá |이체 = }} ==개요== <b>跲</b>(엎드러질 겁)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6획이다. 총 획수는 13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
  • 2025년 5월 9일 (금) 18:0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秬 |훈음= 검은기장 거 |부수= 禾 |나머지 획수= 5획 |총 획수= 10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ョ |일본어 훈독= くろきび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ù |이체 = }} ==개요== <b>秬</b>(검은기장 거)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5획이다. 총 획수는 10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
  • 2025년 5월 9일 (금) 18:0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籧 |훈음= 대자리 거 |부수= 竹 |나머지 획수= 17획 |총 획수= 23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ョ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qú |이체 = }} ==개요== <b>籧</b>(대자리 거)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7획이다. 총 획수는 23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특...)
  • 2025년 5월 9일 (금) 18:0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賡 |훈음= 이을 갱 |부수= 貝 |나머지 획수= 8획 |총 획수= 15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⑦ |신자체= - |일본어 음독= - |일본어 훈독= - |간체자= 赓 |표준 중국어= gēng |이체 = }} ==개요== <b>賡</b>(이을 갱)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8획이다. 총 획수는 15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⑦에 해당...)
  • 2025년 5월 9일 (금) 18:0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喈 |훈음= 새소리/빠를 개 |부수= 口 |나머지 획수= 3획 |총 획수= 12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イ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iē, xiè |이체 = }} ==개요== <b>喈</b>(새소리/빠를 개)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3획이다. 총 획수는 12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
  • 2025년 5월 9일 (금) 18:0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酣 |훈음= 술즐길 감 |부수= 酉 |나머지 획수= 7획 |총 획수= 12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ン, ガン, コン |일본어 훈독= たけなわ |간체자= - |표준 중국어= hān, hàn |이체 = }} ==개요== <b>酣</b>(술즐길 감)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7획이다. 총 획수는 12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
  • 2025년 5월 9일 (금) 18:0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衎 |훈음= 즐길/곧을 간 |부수= 行 |나머지 획수= 6획 |총 획수= 9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ン |일본어 훈독= よろこ-ぶ |간체자= - |표준 중국어= kǎn, kàn |이체 = }} ==개요== <b>衎</b>(즐길/곧을 간)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6획이다. 총 획수는 9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 2025년 5월 9일 (금) 18:0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却 |훈음= 물리칠 각 |부수= 卩 |나머지 획수= 5획 |총 획수= 7획 |교육용= 고등학교 |어문회 급수= 3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ャク |일본어 훈독= かえ-って, しりぞ-く, しりぞ-ける |간체자= - |표준 중국어= què |이체 = }} ==개요== <b>却</b>(물리칠 각)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5획이다. 총 획수는 7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 2025년 5월 9일 (금) 18:0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5년 5월 9일 (금) 18:0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葭 |훈음= 갈대 가, 멀 하 |부수= 艸 |나머지 획수= 9획 |총 획수= 13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 |일본어 훈독= あし, あしぶえ, よし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iā |이체 = }} ==개요== <b>葭</b>(갈대 가, 멀 하)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9획이다. 총 획수는 13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 2025년 5월 9일 (금) 17:5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羈 |훈음= 굴레/나그네 기 |부수= 网 |나머지 획수= 19획 |총 획수= 24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1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 |일본어 훈독= おもがい, たづな, たび, |간체자= 0 |표준 중국어= 羁 |이체 = }} ==개요== <b>羈</b>(굴레/나그네 기)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9획이다. 총 획수는 24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
  • 2025년 5월 9일 (금) 17:5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軝 |훈음= 수레굴통대 기 |부수= 車 |나머지 획수= 4획 |총 획수= 11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 |일본어 훈독= - |간체자= 𬨂 |표준 중국어= qí |이체 = }} ==개요== <b>軝</b>(수레굴통대 기)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4획이다. 총 획수는 11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
  • 2025년 5월 9일 (금) 17:5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跂 |훈음= 육발이/발돋움할 기 |부수= 足 |나머지 획수= 4획 |총 획수= 11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 ギ |일본어 훈독= つまだ-てる, は-う |간체자= - |표준 중국어= qí |이체 = }} ==개요== <b>跂</b>(육발이/발돋움할 기)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4획이다. 총 획수는 11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
  • 2025년 5월 9일 (금) 17:5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棋 |훈음= 바둑 기 |부수= 木 |나머지 획수= 8획 |총 획수= 12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2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qí |이체 = }} ==개요== <b>棋</b>(바둑 기)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8획이다. 총 획수는 12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2급에 해당...)
  • 2025년 5월 9일 (금) 17:5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漌 |훈음= 맑을 근 |부수= 水 |나머지 획수= 11획 |총 획수= 14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ン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ǐn |이체 = }} ==개요== <b>漌</b>(맑을 근)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1획이다. 총 획수는 14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특급...)
  • 2025년 5월 9일 (금) 17:5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箘 |훈음= 죽순 균 |부수= 竹 |나머지 획수= 8획 |총 획수= 14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ン |일본어 훈독= しのだけ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ùn |이체 = }} ==개요== <b>箘</b>(죽순 균)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8획이다. 총 획수는 14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 2025년 5월 9일 (금) 17:53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樛 |훈음= 휠 규 |부수= 木 |나머지 획수= 11획 |총 획수= 15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ュウ |일본어 훈독= つが, とが, ま-がる, |간체자= 0 |표준 중국어= 樛 |이체 = }} ==개요== <b>樛</b>(휠 규)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1획이다. 총 획수는 15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
  • 2025년 5월 9일 (금) 17:53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훈음= |부수= |나머지 획수= |총 획수= |교육용= |어문회 급수= |신자체=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간체자= |표준 중국어= |이체 = }} ==개요== <b>跪</b>(꿇어앉을 궤)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6획이다. 총 획수는 13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특급에 해당한다. ==용례== {{사용례 없음}} ==유의자==...)
  • 2025년 5월 9일 (금) 17:5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鬈 |훈음= 머리고울 권 |부수= 髟 |나머지 획수= 8획 |총 획수= 18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quán |이체 = }} ==개요== <b>鬈</b>(머리고울 권)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8획이다. 총 획수는 18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 2025년 5월 9일 (금) 17:51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匊 |훈음= 움큼 국 |부수= 勹 |나머지 획수= 6획 |총 획수= 8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掬 |일본어 음독= キク |일본어 훈독= すく-う, むす-ぶ |간체자= 掬 |표준 중국어= jū |이체 = }} ==개요== <b>匊</b>(움큼 국)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6획이다. 총 획수는 8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
  • 2025년 5월 9일 (금) 17:51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漚 |훈음= 물거품 구 |부수= 水 |나머지 획수= 11획 |총 획수= 14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オウ |일본어 훈독= - |간체자= 沤 |표준 중국어= òu |이체 = }} ==개요== <b>漚</b>(물거품 구)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1획이다. 총 획수는 14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 2025년 5월 9일 (금) 17:51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裘 |훈음= 갖옷 구 |부수= 衣 |나머지 획수= 7획 |총 획수= 13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ュウ |일본어 훈독= かわごろも |간체자= 裘 |표준 중국어= qiú |이체 = }} ==개요== <b>裘</b>(갖옷 구)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7획이다. 총 획수는 13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 2025년 5월 9일 (금) 17:51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艽 |훈음= 변방 구, 진교 교 |부수= 艸 |나머지 획수= 2획 |총 획수= 6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ュウ, コウ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iāo |이체 = }} ==개요== <b>艽</b>(변방 구, 진교 교)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2획이다. 총 획수는 6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
  • 2025년 5월 9일 (금) 17:5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劬 |훈음= 수고할 구 |부수= 力 |나머지 획수= 5획 |총 획수= 7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ク, グ |일본어 훈독= つか-れる |간체자= - |표준 중국어= qú |이체 = }} ==개요== <b>劬</b>(수고할 구)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5획이다. 총 획수는 7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
  • 2025년 5월 9일 (금) 17:5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曒 |훈음= 밝을 교 |부수= 日 |나머지 획수= 13획 |총 획수= 17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ョウ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iǎo |이체 = }} ==개요== <b>曒</b>(밝을 교)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3획이다. 총 획수는 17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특...)
  • 2025년 5월 9일 (금) 17:5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茭 |훈음= 마른꼴 교, 풀뿌리 효 |부수= 艸 |나머지 획수= 6획 |총 획수= 10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コウ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iāo |이체 = }} ==개요== <b>茭</b>(마른꼴 교, 풀뿌리 효)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6획이다. 총 획수는 10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
  • 2025년 5월 9일 (금) 17:4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佸 |훈음= 이를 괄/활 |부수= 人 |나머지 획수= 6획 |총 획수= 8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미배정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ツ |일본어 훈독= あ-う |간체자= - |표준 중국어= huó |이체 = }} ==개요== <b>佸</b>(이를 괄/활)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6획이다. 총 획수는 8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
  • 2025년 5월 9일 (금) 17:4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錧 |훈음= 비녀장 관 |부수= 金 |나머지 획수= 8획 |총 획수= 16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ン |일본어 훈독= - |간체자= 𰾒 |표준 중국어= guǎn |이체 = }} ==개요== <b>錧</b>(비녀장 관)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8획이다. 총 획수는 16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 2025년 5월 9일 (금) 17:4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鞹 |훈음= 가죽 곽 |부수= 革 |나머지 획수= 11획 |총 획수= 20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ク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kuò |이체 = }} ==개요== <b>鞹</b>(가죽 곽)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1획이다. 총 획수는 20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특급...)
  • 2025년 5월 9일 (금) 17:4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夸 |훈음= 사치할/자랑할 과 |부수= 大 |나머지 획수= 3획 |총 획수= 6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 コ |일본어 훈독= おご-る, ほこ-る |간체자= - |표준 중국어= kuā |이체 = }} ==개요== <b>夸</b>(사치할/자랑할 과)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3획이다. 총 획수는 6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
  • 2025년 5월 9일 (금) 17:4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轂 |훈음= 수레바퀴통 곡 |부수= 車 |나머지 획수= 10획 |총 획수= 17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コク |일본어 훈독= くるま, こしき |간체자= 毂 |표준 중국어= gǔ |이체 = }} ==개요== <b>轂</b>(수레바퀴통 곡)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0획이다. 총 획수는 17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
  • 2025년 5월 9일 (금) 17:4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罛 |훈음= 큰물고기그물 고 |부수= 网 |나머지 획수= 5획 |총 획수= 10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コ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 |이체 = }} ==개요== <b>罛</b>(큰물고기그물 고)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5획이다. 총 획수는 10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 2025년 5월 9일 (금) 17:4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栲 |훈음= 북나무 고 |부수= 木 |나머지 획수= 6획 |총 획수= 10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コウ, ゴウ |일본어 훈독= たえ, ぬるで |간체자= - |표준 중국어= kǎo |이체 = }} ==개요== <b>栲</b>(북나무 고)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6획이다. 총 획수는 10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 2025년 5월 9일 (금) 17:4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櫜 |훈음= 칼집 고 |부수= 木 |나머지 획수= 15획 |총 획수= 19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コウ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gāo |이체 = }} ==개요== <b>櫜</b>(칼집 고)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5획이다. 총 획수는 19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특급...)
  • 2025년 5월 9일 (금) 17:43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鷄 |훈음= 닭 계 |부수= 鳥 |나머지 획수= 10획 |총 획수= 21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4급 |신자체= 鶏 |일본어 음독= ケイ |일본어 훈독= にわとり, とり |간체자= 鸡 |표준 중국어= jī |이체 = }} ==개요== <b>鷄</b>(닭 계)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0획이다. 총 획수는 21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급...)
  • 2025년 5월 9일 (금) 17:43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檠 |훈음= 도지개 경 |부수= 木 |나머지 획수= 13획 |총 획수= 17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미배정 |신자체= - |일본어 음독= -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qíng, jìng |이체 = }} ==개요== <b>檠</b>(도지개 경)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3획이다. 총 획수는 17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
  • 2025년 5월 9일 (금) 17:43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黥 |훈음= 자자할 경 |부수= 黑 |나머지 획수= 8획 |총 획수= 20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ゲイ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qíng |이체 = }} ==개요== <b>黥</b>(자자할 경)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8획이다. 총 획수는 20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특...)
  • 2025년 5월 9일 (금) 17:43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罄 |훈음= 다할 경 |부수= 缶 |나머지 획수= 11획 |총 획수= 17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ケイ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qìng |이체 = }} ==개요== <b>罄</b>(다할 경)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1획이다. 총 획수는 17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특급...)
  • 2025년 5월 9일 (금) 17:43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袺 |훈음= 옷섶잡을 결 |부수= 衣 |나머지 획수= 6획 |총 획수= 11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ツ, ケツ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ié |이체 = }} ==개요== <b>袺</b>(옷섶잡을 결)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6획이다. 총 획수는 11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 2025년 5월 9일 (금) 17:4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岍 |훈음= 산이름 견 |부수= 山 |나머지 획수= 4획 |총 획수= 7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ケン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qiān |이체 = }} ==개요== <b>岍</b>(산이름 견)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4획이다. 총 획수는 7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특...)
  • 2025년 5월 9일 (금) 17:4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鴃 |훈음= 왜가리 격 |부수= 鳥 |나머지 획수= 4획 |총 획수= 15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ゲキ, ケツ |일본어 훈독= もず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ué |이체 = }} ==개요== <b>鴃</b>(왜가리 격)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4획이다. 총 획수는 15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 2025년 5월 9일 (금) 17:4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朅 |훈음= 떠날 걸 |부수= 曰 |나머지 획수= 10획 |총 획수= 14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ケツ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qiè |이체 = }} ==개요== <b>朅</b>(떠날 걸)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0획이다. 총 획수는 14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특급...)
  • 2025년 5월 9일 (금) 17:4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琚 |훈음= 패옥 거 |부수= 玉 |나머지 획수= 4획 |총 획수= 12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ョ, コ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ū |이체 = }} ==개요== <b>琚</b>(패옥 거)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4획이다. 총 획수는 12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특급...)
  • 2025년 5월 9일 (금) 17:4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虡 |훈음= 쇠북걸이틀 거 |부수= 虍 |나머지 획수= 8획 |총 획수= 14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ョ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ù |이체 = }} ==개요== <b>虡</b>(쇠북걸이틀 거)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8획이다. 총 획수는 14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
  • 2025년 5월 9일 (금) 17:4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鏗 |훈음= 금석소리 갱 |부수= 金 |나머지 획수= 11획 |총 획수= 19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コウ |일본어 훈독= う-つ, つ-く |간체자= 铿 |표준 중국어= kēng |이체 = }} ==개요== <b>鏗</b>(금석소리 갱)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1획이다. 총 획수는 19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 2025년 5월 9일 (금) 17:4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湝 |훈음= 물흐를 개 |부수= 水 |나머지 획수= 3획 |총 획수= 12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イ |일본어 훈독= なが-れる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iē, xié |이체 = }} ==개요== <b>湝</b>(물흐를 개)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3획이다. 총 획수는 12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
  • 2025년 5월 9일 (금) 17:41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減 |훈음= 덜 감 |부수= 水 |나머지 획수= 9획 |총 획수= 12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준4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ゲン |일본어 훈독= へ-る, へ-らす |간체자= 减 |표준 중국어= jiǎn |이체 = }} ==개요== <b>減</b>(덜 감)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9획이다. 총 획수는 12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급...)
  • 2025년 5월 9일 (금) 17:41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瞯 |훈음= 엿볼 간, 곁눈질할 한 |부수= 目 |나머지 획수= 12획 |총 획수= 17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ン |일본어 훈독= うかが-う |간체자= - |표준 중국어= xián, jiàn |이체 = }} ==개요== <b>瞯</b>(엿볼 간, 곁눈질할 한)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2획이다. 총 획수는 17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
  • 2025년 5월 9일 (금) 17:4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桷 |훈음= 서까래 각 |부수= 木 |나머지 획수= 7획 |총 획수= 11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ク |일본어 훈독= たるき |간체자= 桷 |표준 중국어= jué |이체 = }} ==개요== <b>桷</b>(서까래 각)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7획이다. 총 획수는 11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
  • 2025년 5월 9일 (금) 17:4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斝 |훈음= 옥잔 가 |부수= 斗 |나머지 획수= 8획 |총 획수= 12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iǎ |이체 = }} ==개요== <b>斝</b>(옥잔 가)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8획이다. 총 획수는 12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특급에 해...)
  • 2025년 5월 9일 (금) 16:5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상용한자(일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일본의 상용한자(常用漢字, じょうようかんじ)는 일본 정부(문부과학성)가 정한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한자 목록이다. 1981년에 처음 발표되었고, 2010년에 개정되었으며, 현재 상용한자는 총 2,136자이다. 일본의 상용한자는 초등학교, 중학교의 교과서, 신문, 방송, 공공문서 등에서 이 한자를 사용한다.)
  • 2025년 5월 9일 (금) 16:3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틀:부수 목록 문서를 틀:부수 검색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5년 5월 9일 (금) 16:0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틀:부수 목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개행금지 시작}}<span style="padding: 5px 0 2px 2px; border: 1px solid #DFDFDF; border-top: 1px solid #AAA; border-left: 1px solid #AAA; font-size: 130%; background-color: #f0f0f0;"><big>[[{{{1|子}}}]]</big><sup><small>[[:분류:{{{1|子}}}|{{ㄷ2|한자 목록}}]]</small></sup></span>{{개행금지 끝}} <noinclude> {{설명문서 }} 분류:한자 틀 * </noinclude>)
  • 2025년 5월 8일 (목) 22:0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陽 |훈음= 볕 양 |부수= 阜 |나머지 획수= 9획 |총 획수= 12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ヨウ |일본어 훈독= いつわ-る, ひ, ひなた |간체자= 阳 |표준 중국어= yáng |이체 = }} ==개요== <b>陽</b>(볕 양)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9획이다. 총 획수는 12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
  • 2025년 5월 8일 (목) 22:0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訓 |훈음= 가르칠 훈 |부수= 言 |나머지 획수= 3획 |총 획수= 10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クン, キン |일본어 훈독= おし-える, よ-む |간체자= 训 |표준 중국어= xùn |이체 = }} ==개요== <b>訓</b>(가르칠 훈)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3획이다. 총 획수는 10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
  • 2025년 5월 8일 (목) 22:0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親 |훈음= 친할 친 |부수= 見 |나머지 획수= 9획 |총 획수= 16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シン |일본어 훈독= おや, した-しい, した-しむ, みずか-ら |간체자= 亲 |표준 중국어= qīn, qìng |이체 = }} ==개요== <b>親</b>(친할 친)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9획이다. 총 획수는 16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
  • 2025년 5월 8일 (목) 22:0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在 |훈음= 있을 재 |부수= 土 |나머지 획수= 3획 |총 획수= 6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ザイ |일본어 훈독= あ-る, いま-す |간체자= - |표준 중국어= zài |이체 = }} ==개요== <b>在</b>(있을 재)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3획이다. 총 획수는 6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급...)
  • 2025년 5월 8일 (목) 22:0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銀 |훈음= 은 은 |부수= 金 |나머지 획수= 6획 |총 획수= 14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ギン |일본어 훈독= しろがね |간체자= 银 |표준 중국어= yín |이체 = }} ==개요== <b>銀</b>(은 은)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6획이다. 총 획수는 14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6급...)
(최신 | 오래됨) (다음 250개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