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4번째 줄: 24번째 줄:
'''한문'''이란 중국어의 일종으로 구어(口語)인 [[백화문]]과 대비되는 문어(文語)로서 사용된 언어이다. 중국 내부에서도 진나라 이후로는 공용어로만 사용했으며 일상생활에서 입말로는 쓰이지 않게되었다. 중국 외에도 [[베트남]]이나 [[조선]]이 공문서에서 한문을 사용하였다.
'''한문'''이란 중국어의 일종으로 구어(口語)인 [[백화문]]과 대비되는 문어(文語)로서 사용된 언어이다. 중국 내부에서도 진나라 이후로는 공용어로만 사용했으며 일상생활에서 입말로는 쓰이지 않게되었다. 중국 외에도 [[베트남]]이나 [[조선]]이 공문서에서 한문을 사용하였다.


삼국지 등의 일부 소설은 한문이 아닌 입말인 백화문으로 쓰여졌다.
삼국지나 서유기 등의 일부 소설은 한문이 아닌 입말인 백화문으로 쓰여졌다.




30번째 줄: 30번째 줄:
한자는 글자고 한문은 한자로 된 옛 글이다. 둘을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 당연히 한문 또한 문법이 존재한다. 또한 한문 또한 시대에 따라 문법 문체 등등의 변화가 꾸준히 있었다. 문법 어체를 보고 대충 어느시기에 쓰여졌는데 추정이 가능하다.     
한자는 글자고 한문은 한자로 된 옛 글이다. 둘을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 당연히 한문 또한 문법이 존재한다. 또한 한문 또한 시대에 따라 문법 문체 등등의 변화가 꾸준히 있었다. 문법 어체를 보고 대충 어느시기에 쓰여졌는데 추정이 가능하다.     


한문과 중국어는 다르다 현재 중국어는 백화문 말에 기반한 글을 쓴다. 그래서 한문은 알아도 중국어를 모르면 현대 중국어로 쓴 글을 해독하는 건 매우 힘들다. 반대로 중국어를 몰라도 한문을 알면 한문으로 쓴 글은 해독이 가능하다.    
(그외에도 피휘 옛날에는 해당 왕조의 왕의 이름은 다른 글자로 대체했다. 피휘한 것을 보고도 연대 측정이 어느정도 가능하다. 측천문자와 같이 특정시기에만 주로 쓰이던 글자라든지 이런 것으로도 연대측정이 가능하다. 한문도 말이기에 계속 변하고 같은 의미도 시대에 따라 쓰임이 다른 글자로 대체되고 새로운 글자가 생긴다던지 했다. 말은 계속 변화하기에)     


중국어를 알지만 한문을 모르면 한문으로 쓴 글을 해독하기 어렵다 현대 한국어를 안다고 중세나 고어 한국어를 해독하느누게 쉬운 게 아니듯이   
한문과 현대 중국어는 다르다 현재 중국어는 백화문 말에 기반한 글을 쓴다. 그래서 한문은 알아도 중국어를 모르면 현대 중국어로 쓴 글을 해독하는 건 매우 힘들다. 반대로 중국어를 몰라도 한문을 알면 한문으로 쓴 글은 해독이 가능하다.   


유교경전에서 쓰는 한문과 한문으로 번역된 불교경전은 모두 한문이지만 꽤나 문체가 다르다       
또 중국어를 알지만 한문을 모르면 한문으로 쓴 글을 해독하기 어렵다 현대 한국어를 안다고 중세나 고어 한국어를 해독하는 게 쉬운 게 아니듯이       
 
그래도 중국어나 한문을 알면 간체자나 정체자 등의 차이가 있지만,  글자 자체의 의미는 알기에 그래도 대충 무슨 말인지는 얼추 추정은 가능하다. 한자를 알고 있기에. 정확한 뜻은 알기 힘들어도.   
 
유교경전에서 쓰는 한문과 한문으로 번역된 불교경전은 모두 한문이지만 꽤나 문체가 다르다.                       
 
아무래도 여러가지 뜻을 내포하고 있는 글자들의 조합이다 보니 글에 따라서는 해석 할 때 중의적이고 난해한 측면이 있다.  예를 들어 유교경전인 논어에서는 공자가 했던 말만 그것도 단문으로 덩그러니 있고 전후상황 등이 묘사가 안되어 있어 주석에서는 한가지 문장에도 여러가지 해석을 써 놓았다. 손자병법에도 이렇게 여러가지 해석 되는 내용이 있다.                       
 
대만 중화민국 국가인 삼민주의나 준국가 취급받는 국제경기에서 부르는 국기가 모두 가사가 현대 중국어가 아닌 한문이다.      


==계통==
==계통==

2024년 7월 4일 (목) 16:41 기준 최신판

한문
漢文
사용 지역 중국, 한반도, 일본, 베트남
언어 인구 알 수 없음
순위 3위 또는 4위
어순 주어-서술어-목적어 (SVO)
형용사-명사 전치사 사용
문자 한자
언어 계통 중국티베트어족
 중국어파
  중국어
   한문
    한문
공용어 및 표준
공용어로 쓰는 나라
없음
표준 춘추전국~선진시대
언어 부호
ISO 639-3 lzh

영어: Classical Chinese
한자: 漢文
중국어: 文言文


개요

한문이란 중국어의 일종으로 구어(口語)인 백화문과 대비되는 문어(文語)로서 사용된 언어이다. 중국 내부에서도 진나라 이후로는 공용어로만 사용했으며 일상생활에서 입말로는 쓰이지 않게되었다. 중국 외에도 베트남이나 조선이 공문서에서 한문을 사용하였다.

삼국지나 서유기 등의 일부 소설은 한문이 아닌 입말인 백화문으로 쓰여졌다.


한자는 글자고 한문은 한자로 된 옛 글이다. 둘을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 당연히 한문 또한 문법이 존재한다. 또한 한문 또한 시대에 따라 문법 문체 등등의 변화가 꾸준히 있었다. 문법 어체를 보고 대충 어느시기에 쓰여졌는데 추정이 가능하다.

(그외에도 피휘 옛날에는 해당 왕조의 왕의 이름은 다른 글자로 대체했다. 피휘한 것을 보고도 연대 측정이 어느정도 가능하다. 측천문자와 같이 특정시기에만 주로 쓰이던 글자라든지 이런 것으로도 연대측정이 가능하다. 한문도 말이기에 계속 변하고 같은 의미도 시대에 따라 쓰임이 다른 글자로 대체되고 새로운 글자가 생긴다던지 했다. 말은 계속 변화하기에)

한문과 현대 중국어는 다르다 현재 중국어는 백화문 말에 기반한 글을 쓴다. 그래서 한문은 알아도 중국어를 모르면 현대 중국어로 쓴 글을 해독하는 건 매우 힘들다. 반대로 중국어를 몰라도 한문을 알면 한문으로 쓴 글은 해독이 가능하다.

또 중국어를 알지만 한문을 모르면 한문으로 쓴 글을 해독하기 어렵다 현대 한국어를 안다고 중세나 고어 한국어를 해독하는 게 쉬운 게 아니듯이

그래도 중국어나 한문을 알면 간체자나 정체자 등의 차이가 있지만, 글자 자체의 의미는 알기에 그래도 대충 무슨 말인지는 얼추 추정은 가능하다. 한자를 알고 있기에. 정확한 뜻은 알기 힘들어도.

유교경전에서 쓰는 한문과 한문으로 번역된 불교경전은 모두 한문이지만 꽤나 문체가 다르다.

아무래도 여러가지 뜻을 내포하고 있는 글자들의 조합이다 보니 글에 따라서는 해석 할 때 중의적이고 난해한 측면이 있다. 예를 들어 유교경전인 논어에서는 공자가 했던 말만 그것도 단문으로 덩그러니 있고 전후상황 등이 묘사가 안되어 있어 주석에서는 한가지 문장에도 여러가지 해석을 써 놓았다. 손자병법에도 이렇게 여러가지 해석 되는 내용이 있다.

대만 중화민국 국가인 삼민주의나 준국가 취급받는 국제경기에서 부르는 국기가 모두 가사가 현대 중국어가 아닌 한문이다.

계통

  • 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파
      • 중국어
        • 한문

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