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번째 줄: 4번째 줄:
* 출처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1120400329114004&editNo=15&printCount=1&publishDate=1991-12-04&officeId=00032&pageNo=14&printNo=14248&publishType=00010 소군(蘇軍) 시절 김일성 거처(金日成 居處) 확인] 경향신문 1991.12.04 14면
* 출처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1120400329114004&editNo=15&printCount=1&publishDate=1991-12-04&officeId=00032&pageNo=14&printNo=14248&publishType=00010 소군(蘇軍) 시절 김일성 거처(金日成 居處) 확인] 경향신문 1991.12.04 14면
:하바로프스크 이웃 농촌서 통나무집으로 50 年前 거주, 현재 KGB가 관리
:하바로프스크 이웃 농촌서 통나무집으로 50 年前 거주, 현재 KGB가 관리
* [https://tile.loc.gov/storage-services/service/asian/asianscd/2005551562v30/2005551562v30.pdf 정찰국 부국장 김창국(1916-1981) 대좌] (미의회도서관) : p.6에 [[88여단]] 당시 김일성의 숙소 사진이 나오는데, 위와 같은 시기에 찍은 것으로 보임.
: [https://www.loc.gov/item/2005551562/ 피와 눈물로써 씨여진 <nowiki>[i.e. 쓰여진]</nowiki> 우리들의 력사 (Biographies of Soviet Korean Leaders)] 미의회도서관 (숙청된 고려인 가족 80인의 육필수기)
* 참고 : [https://news.joins.com/article/2669469 김정일 생가 통나무집 확인|망명한 소련파 장학봉씨등 회고록 취재중] 중앙일보 1991.12.13 종합 11면
* 참고 : [https://news.joins.com/article/2669469 김정일 생가 통나무집 확인|망명한 소련파 장학봉씨등 회고록 취재중] 중앙일보 1991.12.13 종합 11면


[[분류:김일성]]
[[분류:김일성]]
[[분류:88여단]]
[[분류:88여단]]

2022년 3월 30일 (수) 08:56 판

파일의 설명

뱌츠코예 마을 88여단 터에 남아있던 김일성의 거처.

하바로프스크 이웃 농촌서 통나무집으로 50 年前 거주, 현재 KGB가 관리
피와 눈물로써 씨여진 [i.e. 쓰여진] 우리들의 력사 (Biographies of Soviet Korean Leaders) 미의회도서관 (숙청된 고려인 가족 80인의 육필수기)

파일 역사

날짜/시간 링크를 클릭하면 해당 시간의 파일을 볼 수 있습니다.

날짜/시간크기사용자설명
현재2022년 2월 20일 (일) 18:50458 × 881 (220 KB)JohnDoe (토론 | 기여)뱌츠코예 마을 88여단 터에 남아있던 김일성의 거처.

다음 문서 1개가 이 파일을 사용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