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열린우리黨<br> 열우당 =개요= 분류:정당)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열린우리黨<br>
{{전후정당
열우당
|제목 = {{제목|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black}}
|이전 = {{새천년민주당}} {{여백|4}} <br> {{개혁국민정당}} {{여백|4}} <br> {{한나라당}} <small>(개별합류)</small>
|이후 = {{대통합민주신당}} <br> {{중도개혁통합신당}}
|정당 = {{if |{{정당목록 |열린우리당=@}} |[[파일:{{정당목록 |열린우리당=@}}|120x40px]]<br>|}} {{열린우리당}}
|배경색 = gold
|글자색 = black
}}


=개요=
신민당은 2003년 11월 11일 창당되어 2007년 8월 20일 해산한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이다.


[[분류:정당]]
[[노무현]] 정부 시기 존재했던 집권 여당이다.
 
노무현은 당선전후로 민주당의 호남정당에서 탈피 새로운 정당을 창당하겠다는 이야기를 많이 했고,
 
실제로 자기를 대통령 후보까지 시켜준 민주당에서 나와 열린우리당을 창당했다.
그래서 여소야대가 되었는데 노무현은 총선에서 대놓고 열린우리당 지지 지원하는 발언 등을 하였고,
 
졸지에 자기내 당 후보가 대통령당선 직후에 야당이 된 민주당과 한나라당은 대통령이 선거 중립을 깨고 선거 개입하는 발언을 자제하고 사과하라고 만약 하지 않는다면 탄핵 까지 갈 수 있다고 공세를 취했다.
 
노무현이 이걸 거부하자 이게 탄핵소추까지 가게 된 것.
 
지역주의정당을 탈피하고 소위 100년 정당을 이야기 했지만, 노무현 정권 이후에 다시 민주당과 통합되었고, 이후 정당은 모두 민주당 이라는 이름을 썼지 열린우리당이라는 당명은 쓰지 않는다.
 
 
 
 
 
 
 
 
 
==역사==
{{빈문단}}
 
 
==역대 지도부==
===의장===
* 초대 [[김원기]]
* 2대 [[정동영]]
* 3대 [[신기남]]
* 4대 [[이부영]]
* 비상대책위원장 [[임채정]]
* 5대 [[문희상]]
* 비상대책위원장 [[정세균]]
* 비상대책위원장 [[유재건]]
* 6대 [[정동영]]
* 7대 [[김근태]]
* 8대  [[정세균]]
 
 
===원내대표===
* 초대 [[김근태]]
* 제2대 [[천정배]]
* 제3대 [[정세균]]
* 제4대 [[김한길]]
* 제5대 [[장영달]]
 
 
==출신 정치인==
[[:분류:열린우리당 국회의원]]
 
 
{{분류|대한민국의 정당 |2003년 설립 |2007년 해체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

2022년 4월 7일 (목) 03:48 기준 최신판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
새천년민주당     
개혁국민정당     
한나라당 (개별합류)
열린우리당.png
열린우리당
대통합민주신당
중도개혁통합신당

신민당은 2003년 11월 11일 창당되어 2007년 8월 20일 해산한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이다.

노무현 정부 시기 존재했던 집권 여당이다.

노무현은 당선전후로 민주당의 호남정당에서 탈피 새로운 정당을 창당하겠다는 이야기를 많이 했고,

실제로 자기를 대통령 후보까지 시켜준 민주당에서 나와 열린우리당을 창당했다. 그래서 여소야대가 되었는데 노무현은 총선에서 대놓고 열린우리당 지지 지원하는 발언 등을 하였고,

졸지에 자기내 당 후보가 대통령당선 직후에 야당이 된 민주당과 한나라당은 대통령이 선거 중립을 깨고 선거 개입하는 발언을 자제하고 사과하라고 만약 하지 않는다면 탄핵 까지 갈 수 있다고 공세를 취했다.

노무현이 이걸 거부하자 이게 탄핵소추까지 가게 된 것.

지역주의정당을 탈피하고 소위 100년 정당을 이야기 했지만, 노무현 정권 이후에 다시 민주당과 통합되었고, 이후 정당은 모두 민주당 이라는 이름을 썼지 열린우리당이라는 당명은 쓰지 않는다.





역사

편집중 아이콘.png 빈문단 입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역대 지도부

의장


원내대표


출신 정치인

분류:열린우리당 국회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