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間 |훈음= 사이 간 |부수= 門 |나머지 획수= 4획 |총 획수= 12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준7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ン, ケン |일본어 훈독= あいだ, ま, あい, うかが-う, |간체자= 0 |표준 중국어= 间 }} ==개요== <b>間</b>(사이 간)는 부수가 門이고 나머지 획수는 4획이다. 총 획수는 12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잔글편집 요약 없음
 
8번째 줄: 8번째 줄:
|신자체= -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ン, ケン
|일본어 음독= カン, ケン
|일본어 훈독= あいだ, ま, あい, うかが-う,
|일본어 훈독=あいだ, ま, あい, うかが-う,
|간체자= 0
しず-か, はざま, ひそ-かに
|표준 중국어=
|간체자=
|표준 중국어= jiān, jiàn
}}
}}
==개요==
==개요==
18번째 줄: 19번째 줄:
==용례==
==용례==
{{사용례 없음}}
간접경험(間接經驗)
간접세(間接稅)
간첩(間諜)
==유의자==
야간열차(夜間列車)
* 추가요망,
견원지간(犬猿之間)
홍익인간(弘益人間
==비슷한 한자==
==비슷한 한자==
* 추가요망.
*[[閣]](집 각)
*[[簡]](대쪽 간)
*[[閘]](수문 갑)
*[[開]](열 개)
*[[閭]](마을 려)
*[[聞]](들을 문)
*[[問]](물을 문)
*[[悶]](답답할 민)
*[[閔]](위문할 민)
*[[閥]](문벌 벌)
*[[闢]](열 벽)
*[[閃]](빛날 섬, 번쩍일 섬)
*[[閼]](가로막을 알)
*[[闇]](어두울 암)
*[[閱]](볼 열, 검열할 열)
*[[閻]](마을 염)
*[[闡]](열 천)
*[[閉]](닫을 폐)
*[[閑]](한가할 한)
*[[閤]](쪽문 합)
*[[闔]](문짝 합)
*[[闊]](넓을 활)
*[[𨶠]](문지방 얼, 성씨 왁
{{ ㅂ | 한자/낱자 |門 | 12획 | 중학교용|  준7급 한자 | | }}
{{ ㅂ | 한자/낱자 |門 | 12획 | 중학교용|  준7급 한자 | | }}

2025년 5월 2일 (금) 00:38 기준 최신판


사이 간
부수 (部首)
나머지 획수
4획
총 획수
12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ン, ケン
일본어 훈독
あいだ, ま, あい, うかが-う, しず-か, はざま, ひそ-かに
간체자
표준 중국어
jiān, jiàn

개요

(사이 간)는 부수가 門이고 나머지 획수는 4획이다. 총 획수는 12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준7급에 해당한다.


용례

간접경험(間接經驗) 간접세(間接稅) 간첩(間諜) 야간열차(夜間列車) 견원지간(犬猿之間) 홍익인간(弘益人間


비슷한 한자

  • (집 각)
  • (대쪽 간)
  • (수문 갑)
  • (열 개)
  • (마을 려)
  • (들을 문)
  • (물을 문)
  • (답답할 민)
  • (위문할 민)
  • (문벌 벌)
  • (열 벽)
  • (빛날 섬, 번쩍일 섬)
  • (가로막을 알)
  • (어두울 암)
  • (볼 열, 검열할 열)
  • (마을 염)
  • (열 천)
  • (닫을 폐)
  • (한가할 한)
  • (쪽문 합)
  • (문짝 합)
  • (넓을 활)
  • 𨶠(문지방 얼, 성씨 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