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鼎 |훈음= 솥 정 |부수= 鼎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13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2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テイ |일본어 훈독= かなえ |간체자= - |표준 중국어= dǐng |이체 = }} ==개요== <b>鼎</b>(솥 정)는 부수가 鼎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13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
(→개요)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b>鼎</b>(솥 정)는 부수가 [[鼎]]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13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 <b>鼎</b>(솥 정)는 부수가 [[鼎]]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13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 ||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2급에 해당한다. |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2급에 해당한다. | ||
고대 중국에서 국가나 왕권을 상징하는 커다란 삼발 세다리 솥에서 따온 글자이다. | |||
https://www.google.co.kr/search?q=%E9%BC%8E&sca_esv=1dda3acef72a6239&hl=ko&biw=392&bih=735&udm=2&sxsrf=AHTn8zoA_YO6QIYjUEmcweRFGUx_oMBgBQ%3A1746358175810&ei=n08XaMGfMdzb1e8PmaWBmAY&oq=%E9%BC%8E&gs_lp=EhJtb2JpbGUtZ3dzLXdpei1pbWciA-m8jjIHECMYJxjJAjIFEAAYgAQyBhAAGAcYHjIGEAAYBxgeMgUQABiABEi7IVAAWABwAHgAkAEAmAGmAaABpgGqAQMwLjG4AQPIAQCYAgGgArQBmAMAiAYBkgcDMC4xoAesArIHAzAuMbgHtAE&sclient=mobile-gws-wiz-img | |||
청나라에서 역대 왕조들에서 내려온 보물들을 컬렉션 한 대만 고궁 박물관에 가면 이런 정이 무진장 많이 있다. 역대 왕조의 정통성을 계승한다는 차원에서 모은 것으로 보인다. | |||
2025년 5월 4일 (일) 20:32 기준 최신판
鼎 솥 정 | |
부수 (部首) |
|
나머지 획수 |
0획 |
총 획수 |
13획 |
교육용 |
미배정 |
어문회 급수 |
|
신자체 |
- |
일본어 음독 |
テイ |
일본어 훈독 |
かなえ |
간체자 |
- |
표준 중국어 |
dǐng |
개요
鼎(솥 정)는 부수가 鼎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13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2급에 해당한다.
고대 중국에서 국가나 왕권을 상징하는 커다란 삼발 세다리 솥에서 따온 글자이다.
청나라에서 역대 왕조들에서 내려온 보물들을 컬렉션 한 대만 고궁 박물관에 가면 이런 정이 무진장 많이 있다. 역대 왕조의 정통성을 계승한다는 차원에서 모은 것으로 보인다.
용례
- 사용례등을 입력한 후 이 메시지를 제거해 주세요.
유의자
- 추가요망,
비슷한 한자
- 추가요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