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龍 |훈음= 용 룡 |부수= 龍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16획 |교육용= 고등학교 |어문회 급수= 4급 |신자체= 竜 |일본어 음독= リュウ, リョウ, リン |일본어 훈독= たつ |간체자= 龙 |표준 중국어= lóng |이체 = }} ==개요== <b>龍</b>(용 룡)는 부수가 龍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16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고등학교 한...) |
(→개요) |
||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b>龍</b>(용 룡)는 부수가 [[龍]]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16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 <b>龍</b>(용 룡)는 부수가 [[龍]]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16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 ||
교육용으로 고등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4급에 해당한다. | 교육용으로 고등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4급에 해당한다. | ||
동양의 상상의 동물인 용을 뜻한다. 상서로운 동물로 여겼고 왕이나 황제를 상징하기도 해서 피휘하는 용어로도 많이 쓰였다. | |||
==용례== | ==용례== | ||
龍顔(용안) - 왕의 얼굴 | |||
==유의자== | ==유의자== | ||
* 추가요망, | * 추가요망, |
2025년 5월 4일 (일) 21:15 기준 최신판
龍 용 룡 | |
부수 (部首) |
|
나머지 획수 |
0획 |
총 획수 |
16획 |
교육용 |
고등학교 |
어문회 급수 |
|
신자체 |
竜 |
일본어 음독 |
リュウ, リョウ, リン |
일본어 훈독 |
たつ |
간체자 |
龙 |
표준 중국어 |
lóng |
개요
龍(용 룡)는 부수가 龍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16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고등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4급에 해당한다.
동양의 상상의 동물인 용을 뜻한다. 상서로운 동물로 여겼고 왕이나 황제를 상징하기도 해서 피휘하는 용어로도 많이 쓰였다.
용례
龍顔(용안) - 왕의 얼굴
유의자
- 추가요망,
비슷한 한자
- 추가요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