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한국어: 북한어(北韓語), 북한말(北韓말)<br> 북한말: 문화어(文化語) ==개요== 북한말은 북한표준어를 말한다. 북한에서는 문화어...)
 
8번째 줄: 8번째 줄:
언어로 분류해야 되는지 지역방언으로 해석해야되는지 논란이 있다. [[한국어]]의 경우 [[제주도 방언]]을 [[제주도어]]라 따로 분류하기도하지만 북한말과 남한의 표준어는 일반적으로 같은 언어로 분류한다.
언어로 분류해야 되는지 지역방언으로 해석해야되는지 논란이 있다. [[한국어]]의 경우 [[제주도 방언]]을 [[제주도어]]라 따로 분류하기도하지만 북한말과 남한의 표준어는 일반적으로 같은 언어로 분류한다.


기타 외국어를 참고하자면 [[스페인어]], [[아랍어]], [[중국어]]처럼 방언차이가 있고 국가, 민족이 달라도 하나의 언어로 묶는 경우가 있는 반면, [[북유럽]]이나 [[발칸 반도]]의 언어는 민족정체성에 따라서 전자의 방언보다 차이점이 적음에도 서로 다른 언어로 분류한다.
기타 외국어를 참고하자면 [[스페인어]], [[아랍어]]처럼 방언차이가 있고 국가, 민족이 달라도 하나의 언어로 묶는 경우가 있는 반면, [[북유럽]]이나 [[발칸 반도]]의 언어는 민족정체성에 따라서 전자의 방언보다 차이점이 적음에도 서로 다른 언어로 분류한다.


대한민국은 현재 한반도의 유일한 합법정부를 표방하고있으므로, 북한어(語)보단 북한말 또는 북한 방언을 사용하는 편이 바람직하겠지만 해외의 사례를 보듯이 별다른 차이는 없다.
[[분류:언어]]
[[분류:언어]]

2019년 7월 30일 (화) 11:40 판

한국어: 북한어(北韓語), 북한말(北韓말)
북한말: 문화어(文化語)

개요

북한말은 북한표준어를 말한다. 북한에서는 문화어라 하는데 표준국어와 비슷한 의미이며 조선말대사전(1992년)에 의하면 “주권을 잡은 로동계급의 당의 령도밑에 혁명의 수도를 중심지로 하고 수도의 말을 기본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로동계급의 지향과 생활감정에 맞게 혁명적으로 세련되고 아름답게 가꾸어진 언어”라고 되어있다. 또 《조선말규범집》(1998년) 중의 《문화어발음법》 총칙에 따르면 “조선말발음법은 혁명의 수도 평양을 중심지로 하고 평양말을 토대로 하여 이룩된 문화어의 발음에 기준한다”라고 한다.

용어 논란

언어로 분류해야 되는지 지역방언으로 해석해야되는지 논란이 있다. 한국어의 경우 제주도 방언제주도어라 따로 분류하기도하지만 북한말과 남한의 표준어는 일반적으로 같은 언어로 분류한다.

기타 외국어를 참고하자면 스페인어, 아랍어처럼 방언차이가 있고 국가, 민족이 달라도 하나의 언어로 묶는 경우가 있는 반면, 북유럽이나 발칸 반도의 언어는 민족정체성에 따라서 전자의 방언보다 차이점이 적음에도 서로 다른 언어로 분류한다.

대한민국은 현재 한반도의 유일한 합법정부를 표방하고있으므로, 북한어(語)보단 북한말 또는 북한 방언을 사용하는 편이 바람직하겠지만 해외의 사례를 보듯이 별다른 차이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