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시각장애'''는 시력과 시야에 의해 결정되며 전맹과 저시력을 모두 포함한다. 시각장애인이라고 모두 보조기구를 사용하는 경우는 아...)
 
(차이 없음)

2021년 1월 19일 (화) 13:40 기준 최신판

시각장애는 시력과 시야에 의해 결정되며 전맹과 저시력을 모두 포함한다.

시각장애인이라고 모두 보조기구를 사용하는 경우는 아니다. 안내 보행이나 흰지팡이 보행, 전자기기를 이용한 보행, 안내견을 이용한 보행을 하는 경우도 있다.


시각장애인을 대할 때

운전이나 보행 중 흰지팡이를 발견했을 때 길을 비켜주거나 도움을 청해오면 친절하게 안내한다.

  • 처음 만났을 때 악수와 함께 또렷하게 자기 소개를 한다.
  • 보행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안내한다.
  • 횡단보도에서 만나면 친절하게 안내한다.
  • 지하철에서 먼저 말을 건네고 상차문의 번호나 매표소, 출구의 방향을 안내한다.
  • 버스 정류장에서 몇 번을 타는지 물어보고 안내한다.
  • 택시를 탈 때 차문에 다치지 않게 안내한다.
  • 물건을 살 때 거스름돈은 손에 직접준다.
  • 식사를 할 때 반찬의 위치를 설명한다.
  • 컵이나 칼을 건낼 때 방향을 설명한다.
  • 문을 사용할 때 문을 닫아 두거나 활짝 열어 통행에 방해가 되지 않게 한다.
  • 안내 중에 자리를 비울 때 적당히 안전한 곳으로 안내하고 돌아오면 말을 걸어 알린다.


함께보기

지체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지적장애

자폐성장애

뇌전증장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