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한자: 訓讀<br> 일본어: 訓読み<ref>くんよみ</ref> ==개요== 훈독이란 한자를 훈(뜻)으로 읽는 것이다. 현대 한국어와 중세 조선어에서...)
 
잔글 (→‎개요)
 
4번째 줄: 4번째 줄:
==개요==
==개요==
훈독이란 한자를 훈(뜻)으로 읽는 것이다. 현대 한국어와 중세 조선어에서 이러한 용법은 사라졌다. 다만 현대에도 훈독을 하는 언어가 있는데 [[일본어]]이다.
훈독이란 한자를 훈(뜻)으로 읽는 것이다. 현대 한국어와 중세 조선어에서 이러한 용법은 사라졌다. 다만 현대에도 훈독을 하는 언어가 있는데 [[일본어]]이다.
==같이보기==
*[[아테지]]
*[[숙자훈]]
{{각주}}

2021년 6월 5일 (토) 08:10 기준 최신판

한자: 訓讀
일본어: 訓読み[1]

개요

훈독이란 한자를 훈(뜻)으로 읽는 것이다. 현대 한국어와 중세 조선어에서 이러한 용법은 사라졌다. 다만 현대에도 훈독을 하는 언어가 있는데 일본어이다.

같이보기

각주

  1. くんよ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