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글편집 요약 없음 |
(→개요)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틀:UN 공식 언어}} | ||
{{언어 정보 | {{언어 정보 | ||
|이름= 아랍어 | |이름=아랍어 | ||
|계통색= | |계통색=아프리카아시아 | ||
|자기이름={{lang|ar|اللغة العربية}} | |자기이름= {{lang|ar|اللغة العربية<br />العربية}} | ||
| | |민족=[[아랍인]] | ||
|나라=[[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 [[이라크]], [[모로코]], [[알제리]] 등 | |||
|지역=[[이슬람 세계|이슬람 문화권]] | |||
|나라= | |인구=2억 9000만여 명(모든 방언의 모국어 사용자 - [[에스놀로그]]의 2010년 추산.) | ||
|지역=[[ | |순위=5위. | ||
| | |어순=VSO | ||
|순위= | |||
|어순= | |||
|문자=[[아랍 문자]] | |문자=[[아랍 문자]] | ||
|계통1=[[아프로아시아어족]] | |계통1=[[아프로아시아어족]] | ||
|계통2=[[셈어파]] | |계통2=[[셈어파]] | ||
|계통3=[[ | |계통3=[[서셈어군]] | ||
|계통4=[[ | |계통4=[[중부셈어]] | ||
|공용나라={{ | |계통5=[[남서셈어]] | ||
|표준=[[ | |공용나라={{국기나라|이집트}}, {{국기나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나라|아랍에미리트}}, {{국기나라|예멘}}, {{국기나라|시리아}}, {{국기나라|이라크}}, {{국기나라|요르단}}, {{국기나라|팔레스타인}}, {{국기나라|쿠웨이트}}, {{국기나라|오만}}, {{국기나라|바레인}}, {{국기나라|카타르}}, {{국기나라|레바논}}, {{국기나라|알제리}}, {{국기나라|튀니지}}, {{국기나라|리비아}}, {{국기나라|모로코}}, {{국기나라|수단}}, {{국기나라|모리타니}}, {{국기나라|에리트레아}}, {{국기나라|지부티}}, {{국기나라|르완다}}, {{국기나라|코모로}}, {{국기나라|서사하라}}, {{국기나라|잔지바르}} ({{국기나라|탄자니아}}), {{국기나라|차드}}<br/>{{국기나라|아랍 연맹}}<br/>{{국기나라|유엔}} | ||
[[국가 언어]]로 정한 나라: {{국기나라|말리}}, {{국기나라|세네갈}}, {{국기나라|카메룬}}([[하사니야어]], Ḥassānīya). | |||
|표준=[[이집트]]: Academy of the Arabic Language | |||
|iso1=ar | |iso1=ar | ||
|iso2=ara | |iso2=ara | ||
| | |lc1=ara|ld1=아랍어 (일반)|ll1=none | ||
|sil= | |lc2=aao|ld2=사하라 아랍어|ll2=사하라 구어체 아랍어 | ||
|지도= | |lc3=arq|ld3=알제리 아랍어|ll3=알제리 구어체 아랍어 | ||
|지도 설명= | |lc4=bbz|ld4=바발리아 아랍어|ll4=바발리아 크레올 구어체 아랍어 | ||
|lc5=abv|ld5=바레인 아랍어|ll5=바레인 구어체 아랍어 | |||
|lc6=shu|ld6=차드 아랍어|ll6=차드 구어체 아랍어 | |||
|lc7=acy|ld7=키프로스 아랍어|ll7=키프로스 구어체 아랍어 | |||
|lc8=adf|ld8=도파리 아랍어|ll8=도파리 구어체 아랍어 | |||
|lc9=avl|ld9=이집트 베두인 아랍어|ll9=동이집트 베두인 구어체 아랍어 | |||
|lc10=arz|ld10=이집트 아랍어|ll10=이집트 구어체 아랍어 | |||
|lc11=afb|ld11=페르시아만 아랍어|ll11=페르시아만 구어체 아랍어 | |||
|lc12=ayh|ld12=하드라미 아랍어|ll12=하드라미 구어체 아랍어 | |||
|lc13=acw|ld13=히자지 아랍어|ll13=히자지 구어체 아랍어 | |||
|lc14=ayl|ld14=리비아 아랍어|ll14=리비아 구어체 아랍어 | |||
|lc15=acm|ld15=메소포타미아 아랍어|ll15=메소포타미아 구어체 아랍어 | |||
|lc16=ary|ld16=모로코 아랍어|ll16=모로코 구어체 아랍어 | |||
|lc17=ars|ld17=나즈디 아랍어|ll17=나즈디 구어체 아랍어 | |||
|lc18=apc|ld18=북레반트 아랍어|ll18=북레반트 구어체 아랍어 | |||
|lc19=ayp|ld19=북메소포타미아 아랍어|ll19=북메소포타미아 구어체 아랍어 | |||
|lc20=acx|ld20=오만 아랍어|ll20=오만 구어체 아랍어 | |||
|lc21=aec|ld21=사이디 아랍어|ll21=사이디 구어체 아랍어 | |||
|lc22=ayn|ld22=사이아니 아랍어|ll22=사나아니 구어체 아랍어 | |||
|lc23=ssh|ld23=사히 아랍어|ll23=시히 구어체 아랍어 | |||
|lc24=ajp|ld24=남레반트 아랍어|ll24=남레반트 구어체 아랍어 | |||
|lc25=arb|ld25=현대 표준 아랍어 | |||
|lc26=pga|ld26=수단 크레올 아랍어 | |||
|lc27=apd|ld27=수단 아랍어|ll27=수단 구어체 아랍어 | |||
|lc28=acq|ld28=타이지아데니 아랍어|ll28=타이지아데니 구어체 아랍어 | |||
|lc29=abh|ld29=타지키스탄 아랍어|ll29=타지키스탄 구어체 아랍어 | |||
|lc30=aeb|ld30=튀니지 아랍어|ll30=튀니지 구어체 아랍어 | |||
|lc31=auz|ld31=우즈베키스탄 아랍어|ll31=우즈베키스탄 구어체 아랍어 | |||
|sil=ABV | |||
|지도= | |||
|지도 설명= | |||
}} | }} | ||
아랍어: اللغة العربية | |||
==개요== | ==개요== | ||
아랍어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셈어파]]에 속하는 언어 중 하나로, 주로 서아시아 및 북아프리카의 아랍권에서 사용된다. [[이슬람]]과 밀접한 언어이며 신앙과 관련이 깊다. | 아랍어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셈어파]]에 속하는 언어 중 하나로, 주로 서아시아 및 북아프리카의 아랍권에서 사용된다. [[이슬람]]과 밀접한 언어이며 신앙과 관련이 깊다. | ||
[[ | 아랍어는 아프리카, 아라비아 반도 등의 아랍 세계에서 약 3억 명이 사용하는 세계5위권의 언어로서 [[유엔]] [[공용어|공식 언어]]이다. | ||
아랍어로 된 코란만이 진짜 코란으로 친다. 외국어로 번역된 것은 진정한 코란이 아니다. 코란을 암송 할 때도 아랍어로 해야한다. 진정한 코란은 아랍어로 된 거기 때문에. | |||
이슬람에서 제대로 된 기도는 아랍어로 해야 한다. | |||
무하마드가 아랍어로 기도했기 때문이다. | |||
지하드 성전으로 비무슬림 이교도를 죽일 때 이교도를 향해 외치는 알라는 위대하다도 아랍어로 해야한다. | |||
중동국가나 이슬람국가라고 다 아랍어를 쓰는 건 당연히 아니다. | |||
대표적으로 시아파 종주국이라고 할 수 있는 이란은 페르시아계이기에 종교적인 것 외에 평소 실생활에 아랍어를 쓰지 않는다. 중동국가는 아니지만 튀르키예도 마찬가지. | |||
[[파일:Arab world.png|썸네일|아랍 언어권에 속하는 지역]] | |||
== 아랍 문자 == | |||
28개의 기본 문자 외에, 특수 기호가 존재하며, 아랍어 외의 언어에서만 사용되는 변형된 문자가 있다. 알파벳처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거나 읽지 않고, 반대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고 읽는다. | |||
=== 기본 문자 === | |||
아랍어에서는 기본 28자의 자음 문자에, 함자 기호가 사용된다. | |||
{| class="wikitable" dir="rtl" lang="Arab" align="center" | |||
!colspan=4|문자 | |||
!rowspan=2|문자명 | |||
!rowspan=2|음가 | |||
|- | |||
!단독형 | |||
!어두형 | |||
!어중형 | |||
!어말형 | |||
|-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font-size:200%;"|{{lang|ar|ا}}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font-size:200%;"|{{lang|ar|ﺎ}} | |||
|align="center"|'''[[ا|알리프]]''' (Alif) | |||
|align="center" dir="ltr"|무음 혹은 {{IPA|/aː/}} (※) | |||
|- | |||
|align="center" style="font-size:200%;"|{{lang|ar|ﺏ}} | |||
|align="center" style="font-size:200%;"|{{lang|ar|ﺑ}} | |||
|align="center" style="font-size:200%;"|{{lang|ar|ﺒ}} | |||
|align="center" style="font-size:200%;"|{{lang|ar|ﺐ}} | |||
|align="center" |'''[[ب|바]]''' (Bāʾ) | |||
|align="center" |{{IPA|/b/}} |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font-size:200%;"|{{lang|ar|ﺕ}} | |||
|style="font-size:200%;"|{{lang|ar|ﺗ}} | |||
|style="font-size:200%;"|{{lang|ar|ﺘ}} | |||
|style="font-size:200%;"|{{lang|ar|ﺖ}} | |||
|'''[[ت|타]]''' (Tāʾ) | |||
|{{IPA|/t/}} |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font-size:200%;"|{{lang|ar|ﺙ}} | |||
|style="font-size:200%;"|{{lang|ar|ﺛ}} | |||
|style="font-size:200%;"|{{lang|ar|ﺜ}} | |||
|style="font-size:200%;"|{{lang|ar|ﺚ}} | |||
|'''[[ث|사]]''' (Thā) | |||
|{{IPA|/θ/}} |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font-size:200%;"|{{lang|ar|ﺝ}} | |||
|style="font-size:200%;"|{{lang|ar|ﺟ}} | |||
|style="font-size:200%;"|{{lang|ar|ﺠ}} | |||
|style="font-size:200%;"|{{lang|ar|ﺞ}} | |||
|'''[[ج|짐]]''' (Jīm) | |||
|{{IPA|/ʤ/}} |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font-size:200%;"|{{lang|ar|ح}} | |||
|style="font-size:200%;"|{{lang|ar|ﺣ}} | |||
|style="font-size:200%;"|{{lang|ar|ﺤ}} | |||
|style="font-size:200%;"|{{lang|ar|ﺢ}} | |||
|'''[[ح|하]]''' (Ḥā) | |||
|{{IPA|/ħ/}} |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font-size:200%;"|{{lang|ar|خ}} | |||
|style="font-size:200%;"|{{lang|ar|ﺧ}} | |||
|style="font-size:200%;"|{{lang|ar|ﺨ}} | |||
|style="font-size:200%;"|{{lang|ar|ﺦ}} | |||
|'''[[خ|카]]''' (Khā) | |||
|{{IPA|/x/}} | |||
|- style="text-align:center;" | |||
|colspan=2 style="font-size:200%;"|{{lang|ar|د}} | |||
|colspan=2 style="font-size:200%;"|{{lang|ar|ﺪ}} | |||
|'''[[د|달]]''' (Dāl) | |||
|{{IPA|/d/}} | |||
|- style="text-align:center;" | |||
|colspan=2 style="font-size:200%;"|{{lang|ar|ذ}} | |||
|colspan=2 style="font-size:200%;"|{{lang|ar|ﺬ}} | |||
|'''[[ذ|달]]''' (Dhāl) | |||
|{{IPA|/ð/}} | |||
|- style="text-align:center;" | |||
|colspan=2 style="font-size:200%;"|{{lang|ar|ر}} | |||
|colspan=2 style="font-size:200%;"|{{lang|ar|ﺮ}} | |||
|'''[[ر|라]]''' (Rā) | |||
|{{IPA|/r/}} | |||
|- style="text-align:center;" | |||
|colspan=2 style="font-size:200%;"|{{lang|ar|ز}} | |||
|colspan=2 style="font-size:200%;"|{{lang|ar|ﺰ}} | |||
|'''[[ز|자이]]''' (Zāy) | |||
|{{IPA|/z/}} |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font-size:200%;"|{{lang|ar|ﺱ}} | |||
|style="font-size:200%;"|{{lang|ar|ﺳ}} | |||
|style="font-size:200%;"|{{lang|ar|ﺴ}} | |||
|style="font-size:200%;"|{{lang|ar|ﺲ}} | |||
|'''[[س|신]]''' (Sīn) | |||
|{{IPA|/s/}} |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font-size:200%;"|{{lang|ar|ش}} | |||
|style="font-size:200%;"|{{lang|ar|ﺷ}} | |||
|style="font-size:200%;"|{{lang|ar|ﺸ}} | |||
|style="font-size:200%;"|{{lang|ar|ﺶ}} | |||
|'''[[ش|쉰]]''' (Shīn) | |||
|{{IPA|/ʃ/}} |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font-size:200%;"|{{lang|ar|ص}} | |||
|style="font-size:200%;"|{{lang|ar|ﺻ}} | |||
|style="font-size:200%;"|{{lang|ar|ﺼ}} | |||
|style="font-size:200%;"|{{lang|ar|ﺺ}} | |||
|'''[[ص|사드]]''' (Ṣād) | |||
|{{IPA|/sˤ/}} |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font-size:200%;"|{{lang|ar|ض}} | |||
|style="font-size:200%;"|{{lang|ar|ﺿ}} | |||
|style="font-size:200%;"|{{lang|ar|ﻀ}} | |||
|style="font-size:200%;"|{{lang|ar|ﺾ}} | |||
|'''[[ض|다드]]''' (Ḍād) | |||
|{{IPA|/dˁ/}} |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font-size:200%;"|{{lang|ar|ط}} | |||
|style="font-size:200%;"|{{lang|ar|ﻃ}} | |||
|style="font-size:200%;"|{{lang|ar|ﻄ}} | |||
|style="font-size:200%;"|{{lang|ar|ﻂ}} | |||
|'''[[ط|타]]''' (Ṭāʾ) | |||
|{{IPA|/tˁ/}} |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font-size:200%;"|{{lang|ar|ظ}} | |||
|style="font-size:200%;"|{{lang|ar|ﻇ}} | |||
|style="font-size:200%;"|{{lang|ar|ﻈ}} | |||
|style="font-size:200%;"|{{lang|ar|ﻆ}} | |||
|'''[[ظ|다]]''' (Ẓāʾ) | |||
|{{IPA|/ðˁ/}} |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font-size:200%;"|{{lang|ar|ع}} | |||
|style="font-size:200%;"|{{lang|ar|ﻋ}} | |||
|style="font-size:200%;"|{{lang|ar|ﻌ}} | |||
|style="font-size:200%;"|{{lang|ar|ﻊ}} | |||
|'''[[ع|아인]]''' (ʿAyn) | |||
|{{IPA|/ʕ/}} |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font-size:200%;"|{{lang|ar|غ}} | |||
|style="font-size:200%;"|{{lang|ar|ﻏ}} | |||
|style="font-size:200%;"|{{lang|ar|ﻐ}} | |||
|style="font-size:200%;"|{{lang|ar|ﻎ}} | |||
|'''[[غ|가인]]''' (Ġayn) | |||
|{{IPA|/ɣ/}} |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font-size:200%;"|{{lang|ar|ف}} | |||
|style="font-size:200%;"|{{lang|ar|ﻓ}} | |||
|style="font-size:200%;"|{{lang|ar|ﻔ}} | |||
|style="font-size:200%;"|{{lang|ar|ﻒ}} | |||
|'''[[ف|파]]''' (Fāʾ) | |||
|{{IPA|/f/}} |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font-size:200%;"|{{lang|ar|ق}} | |||
|style="font-size:200%;"|{{lang|ar|ﻗ}} | |||
|style="font-size:200%;"|{{lang|ar|ﻘ}} | |||
|style="font-size:200%;"|{{lang|ar|ﻖ}} | |||
|'''[[ق|까프]]''' (Qāf) | |||
|{{IPA|/q/}} |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font-size:200%;"|{{lang|ar|ك}} | |||
|style="font-size:200%;"|{{lang|ar|ﻛ}} | |||
|style="font-size:200%;"|{{lang|ar|ﻜ}} | |||
|style="font-size:200%;"|{{lang|ar|ﻚ}} | |||
|'''[[ك|카프]]''' (Kāf) | |||
|{{IPA|/k/}} |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font-size:200%;"|{{lang|ar|ل}} | |||
|style="font-size:200%;"|{{lang|ar|ﻟ}} | |||
|style="font-size:200%;"|{{lang|ar|ﻠ}} | |||
|style="font-size:200%;"|{{lang|ar|ﻞ}} | |||
|'''[[ل|람]]''' (Lām) | |||
|{{IPA|/l/}} |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font-size:200%;"|{{lang|ar|م}} | |||
|style="font-size:200%;"|{{lang|ar|ﻣ}} | |||
|style="font-size:200%;"|{{lang|ar|ﻤ}} | |||
|style="font-size:200%;"|{{lang|ar|ﻢ}} | |||
|'''[[م|밈]]''' (Mīm) | |||
|{{IPA|/m/}} |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font-size:200%;"|{{lang|ar|ن}} | |||
|style="font-size:200%;"|{{lang|ar|ﻧ}} | |||
|style="font-size:200%;"|{{lang|ar|ﻨ}} | |||
|style="font-size:200%;"|{{lang|ar|ﻦ}} | |||
|'''[[ن|눈]]''' (Nūn) | |||
|{{IPA|/n/}} |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font-size:200%;"|{{lang|ar|ه}} | |||
|style="font-size:200%;"|{{lang|ar|ﻫ}} | |||
|style="font-size:200%;"|{{lang|ar|ﻬ}} | |||
|style="font-size:200%;"|{{lang|ar|ﻪ}} | |||
|'''[[ه|하]]''' (Hā) | |||
|{{IPA|/h/}} | |||
|- style="text-align:center;" | |||
|colspan=2 style="font-size:200%;"|{{lang|ar|و}} | |||
|colspan=2 style="font-size:200%;"|{{lang|ar|ﻮ}} | |||
|'''[[و|와우]]''' (Wāw) | |||
|{{IPA|/w/}} |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font-size:200%;"|{{lang|ar|ي}} | |||
|style="font-size:200%;"|{{lang|ar|ﻳ}} | |||
|style="font-size:200%;"|{{lang|ar|ﻴ}} | |||
|style="font-size:200%;"|{{lang|ar|ﻲ}} | |||
|'''[[ي|야]]''' (Yā) | |||
|{{IPA|/j/}} | |||
|-- | |||
| colspan="6" | | |||
|- style="text-align:center;" | |||
|colspan=4 style="font-size:200%;"|{{lang|ar|ء}} | |||
|'''[[ء|함자]]''' (Hamza) | |||
|{{IPA|/ʔ/}} | |||
|} | |||
※ ا(알리프)는 고유의 음가를 갖지 않으며, 다음 형태로 사용된다. | |||
# 어두에서 /a/ /i/ /u/ 중 하나의 발음을 표시 (이때 ء(함자, /ʔ/) 가 붙는 경우도 있음) | |||
# 어중, 어말에서 다른 자음 문자의 뒤에 붙어 장음 /aː/를 표시 | |||
# 어중, 어말에서 /a/의 음가 표시용 함자와 함께 쓰임 | |||
=== 변형 문자 === | |||
다음 문자들은 기본 문자에 포함되지 않고, 기본 문자의 변형으로 취급한다.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dir="rtl" lang="Arab" | |||
!colspan=4|문자 | |||
!rowspan=2|문자명 | |||
!rowspan=2|로마자표기 | |||
!rowspan=2|음가 | |||
!rowspan=2|설명 | |||
|- | |||
!단독형 | |||
!어두형 | |||
!어중형 | |||
!어말형 | |||
|- | |||
|style="font-size:150%"|[[ﺓ]] | |||
|colspan="2"|— | |||
|style="font-size:150%"|<span style="color: #f00">ـ</span>ـة | |||
|타 마르부타(tāʾ marbūṭa) | |||
|class="Unicode"|h / t / ʰ / ẗ | |||
|class="IPA"|[a], [at] | |||
|style="text-align:left;" dir="ltr"|ت의 변형. 명사, 형용사 뒤에 붙어 여성형을 만듦. | |||
|- | |||
|style="font-size:150%"|[[ا#알리프 마끄수라|ى]] | |||
|style="font-size:150%"|ىـ<span style="color: #f00">ـ</span> | |||
|style="font-size:150%"|<span style="color: #f00">ـ</span>ـىـ<span style="color: #f00">ـ</span> | |||
|style="font-size:150%"|<span style="color: #f00">ـ</span>ـى | |||
|알리프 마끄수라(ʾalif maqṣūra) | |||
|class="Unicode"|ā / ỳ | |||
|class="IPA"|[aː] | |||
|style="text-align:left;" dir="ltr"| 알리프(ا)의 변형. 특정 어휘의 어미에만 붙음. | |||
|- | |||
|style="font-size:150%"|[[ا#결합 형태|لا]] | |||
|colspan="2"|— | |||
|style="font-size:150%"|<span style="color: #f00">ـ</span>ـلا | |||
|람 알리프(lām ʾalif) | |||
|class="Unicode"|lā | |||
|dir="ltr"|[laː](※) | |||
|style="text-align:left;" dir="ltr"| 람(ل)과 알리프(ا)의 [[합자]] (※) | |||
|} | |||
※ 알리프(ا) 로 시작하는 어휘 앞에 정관사 ال(알) 이 붙을 경우 등에 나타난다. 이와 같이 /(ʔ)a/ /(ʔ)i/ /(ʔ)u/ 음가를 갖는 어두 ا의 바로 앞에 람(ل)이 와 'لا'가 될 경우, 음가는 /laː/ 가 아니라, /'''l(ʔ)a'''/ /'''l(ʔ)i'''/ /'''l(ʔ)u'''/ 중 하나가 된다. (예: إسلام (Islām) + [[ال]] (al) → ا<span style="color:#f00">لإ</span>سلام (a<span style="color:#f00">l-I</span>slām)) | |||
- 람(ل)의 뒤에 함자가 있는 알리프(إ ,أ)가 붙을 경우 لإ ,لأ과 같이 لا의 위아래에 함자가 붙는 형태가 된다. | |||
==문법== | |||
아랍어 표준이나 [[쿠란]]과 [[하디스]]에서는 VSO(동사-주어-목적어)규칙이 극소수 문장을 제외하고는 철저히 지켜지지만 명사가 술어인 경우 SV(주어-술어)로도 쓰이며 [[암미야]]의 경우 표준어와 달리 SVO(주어-동사-목적어)가 지배적이다. | |||
==공용어로 쓰는 나라/기구== | |||
{{*}} {{국기나라|이집트}}<br>{{*}} {{국기나라|사우디아라비아}}<br>{{*}} {{국기나라|아랍에미리트}}<br>{{*}} {{국기나라|예멘}}<br>{{*}} {{국기나라|시리아}}<br>{{*}} {{국기나라|이라크}}<br>{{*}} {{국기나라|요르단}}<br>{{*}} {{국기나라|팔레스타인}}<br>{{*}} {{국기나라|쿠웨이트}}<br>{{*}} {{국기나라|오만}}<br>{{*}} {{국기나라|바레인}}<br>{{*}} {{국기나라|카타르}}<br>{{*}} {{국기나라|레바논}}<br>{{*}} {{국기나라|알제리}}<br>{{*}} {{국기나라|튀니지}}<br>{{*}} {{국기나라|리비아}}<br>{{*}} {{국기나라|모로코}}<br>{{*}} {{국기나라|수단}}<br>{{*}} {{국기나라|모리타니}}<br>{{*}} {{국기나라|에리트레아}}<br>{{*}} {{국기나라|지부티}}<br>{{*}} {{국기나라|르완다}}<br>{{*}} {{국기나라|코모로}}<br>{{*}} {{국기나라|서사하라}}<br>{{*}} {{국기나라|잔지바르}} ({{국기나라|탄자니아}}) | |||
* {{국기나라|차드}} | |||
* {{국기나라|아랍 연맹}} | |||
* {{국기나라|유엔}} | |||
==국가 언어로 정한 나라== | |||
{{*}} {{국기나라|말리}}<br>{{*}} {{국기나라|세네갈}}<br>{{*}} {{국기나라|카메룬}}([[하사니야어]]) | |||
{{각주}} | |||
{{분류|언어 |이슬람 |아랍어 }} |
2023년 7월 25일 (화) 00:05 기준 최신판
![]() |
|||||
![]() |
![]() |
![]() |
![]() |
![]() |
![]() |
English 영어 |
français 프랑스어 |
español 스페인어 |
Русский 러시아어 |
中文 중국어 |
العربية 아랍어 |
사용 국가 |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 이라크, 모로코, 알제리 등 |
---|---|
사용 지역 | 이슬람 문화권 |
사용 민족 | 아랍인 |
언어 인구 | 2억 9000만여 명(모든 방언의 모국어 사용자 - 에스놀로그의 2010년 추산.) |
순위 | 5위. |
어순 | — |
문자 | 아랍 문자 |
언어 계통 | 아프로아시아어족 셈어파 서셈어군 중부셈어 남서셈어 아랍어 |
공용어 및 표준 | |
공용어로 쓰는 나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표준 | 이집트: Academy of the Arabic Language |
언어 부호 | |
ISO 639-1 | ar
|
ISO 639-2 |
|
ISO 639-3 | 다수: ara — 아랍어 (일반)aao — 사하라 아랍어arq — 알제리 아랍어bbz — 바발리아 아랍어abv — 바레인 아랍어shu — 차드 아랍어acy — 키프로스 아랍어adf — 도파리 아랍어avl — 이집트 베두인 아랍어arz — 이집트 아랍어afb — 페르시아만 아랍어ayh — 하드라미 아랍어acw — 히자지 아랍어ayl — 리비아 아랍어acm — 메소포타미아 아랍어ary — 모로코 아랍어ars — 나즈디 아랍어apc — 북레반트 아랍어ayp — 북메소포타미아 아랍어acx — 오만 아랍어aec — 사이디 아랍어ayn — 사이아니 아랍어ssh — 사히 아랍어ajp — 남레반트 아랍어arb — 현대 표준 아랍어pga — 수단 크레올 아랍어apd — 수단 아랍어acq — 타이지아데니 아랍어abh — 타지키스탄 아랍어aeb — 튀니지 아랍어
|
아랍어: اللغة العربية
개요
아랍어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셈어파에 속하는 언어 중 하나로, 주로 서아시아 및 북아프리카의 아랍권에서 사용된다. 이슬람과 밀접한 언어이며 신앙과 관련이 깊다.
아랍어는 아프리카, 아라비아 반도 등의 아랍 세계에서 약 3억 명이 사용하는 세계5위권의 언어로서 유엔 공식 언어이다.
아랍어로 된 코란만이 진짜 코란으로 친다. 외국어로 번역된 것은 진정한 코란이 아니다. 코란을 암송 할 때도 아랍어로 해야한다. 진정한 코란은 아랍어로 된 거기 때문에.
이슬람에서 제대로 된 기도는 아랍어로 해야 한다.
무하마드가 아랍어로 기도했기 때문이다.
지하드 성전으로 비무슬림 이교도를 죽일 때 이교도를 향해 외치는 알라는 위대하다도 아랍어로 해야한다.
중동국가나 이슬람국가라고 다 아랍어를 쓰는 건 당연히 아니다.
대표적으로 시아파 종주국이라고 할 수 있는 이란은 페르시아계이기에 종교적인 것 외에 평소 실생활에 아랍어를 쓰지 않는다. 중동국가는 아니지만 튀르키예도 마찬가지.
아랍 문자
28개의 기본 문자 외에, 특수 기호가 존재하며, 아랍어 외의 언어에서만 사용되는 변형된 문자가 있다. 알파벳처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거나 읽지 않고, 반대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고 읽는다.
기본 문자
아랍어에서는 기본 28자의 자음 문자에, 함자 기호가 사용된다.
문자 | 문자명 | 음가 | |||
---|---|---|---|---|---|
단독형 | 어두형 | 어중형 | 어말형 | ||
ا | ﺎ | 알리프 (Alif) | 무음 혹은 /aː/ (※) | ||
ﺏ | ﺑ | ﺒ | ﺐ | 바 (Bāʾ) | /b/ |
ﺕ | ﺗ | ﺘ | ﺖ | 타 (Tāʾ) | /t/ |
ﺙ | ﺛ | ﺜ | ﺚ | 사 (Thā) | /θ/ |
ﺝ | ﺟ | ﺠ | ﺞ | 짐 (Jīm) | /ʤ/ |
ح | ﺣ | ﺤ | ﺢ | 하 (Ḥā) | /ħ/ |
خ | ﺧ | ﺨ | ﺦ | 카 (Khā) | /x/ |
د | ﺪ | 달 (Dāl) | /d/ | ||
ذ | ﺬ | 달 (Dhāl) | /ð/ | ||
ر | ﺮ | 라 (Rā) | /r/ | ||
ز | ﺰ | 자이 (Zāy) | /z/ | ||
ﺱ | ﺳ | ﺴ | ﺲ | 신 (Sīn) | /s/ |
ش | ﺷ | ﺸ | ﺶ | 쉰 (Shīn) | /ʃ/ |
ص | ﺻ | ﺼ | ﺺ | 사드 (Ṣād) | /sˤ/ |
ض | ﺿ | ﻀ | ﺾ | 다드 (Ḍād) | /dˁ/ |
ط | ﻃ | ﻄ | ﻂ | 타 (Ṭāʾ) | /tˁ/ |
ظ | ﻇ | ﻈ | ﻆ | 다 (Ẓāʾ) | /ðˁ/ |
ع | ﻋ | ﻌ | ﻊ | 아인 (ʿAyn) | /ʕ/ |
غ | ﻏ | ﻐ | ﻎ | 가인 (Ġayn) | /ɣ/ |
ف | ﻓ | ﻔ | ﻒ | 파 (Fāʾ) | /f/ |
ق | ﻗ | ﻘ | ﻖ | 까프 (Qāf) | /q/ |
ك | ﻛ | ﻜ | ﻚ | 카프 (Kāf) | /k/ |
ل | ﻟ | ﻠ | ﻞ | 람 (Lām) | /l/ |
م | ﻣ | ﻤ | ﻢ | 밈 (Mīm) | /m/ |
ن | ﻧ | ﻨ | ﻦ | 눈 (Nūn) | /n/ |
ه | ﻫ | ﻬ | ﻪ | 하 (Hā) | /h/ |
و | ﻮ | 와우 (Wāw) | /w/ | ||
ي | ﻳ | ﻴ | ﻲ | 야 (Yā) | /j/ |
ء | 함자 (Hamza) | /ʔ/ |
※ ا(알리프)는 고유의 음가를 갖지 않으며, 다음 형태로 사용된다.
- 어두에서 /a/ /i/ /u/ 중 하나의 발음을 표시 (이때 ء(함자, /ʔ/) 가 붙는 경우도 있음)
- 어중, 어말에서 다른 자음 문자의 뒤에 붙어 장음 /aː/를 표시
- 어중, 어말에서 /a/의 음가 표시용 함자와 함께 쓰임
변형 문자
다음 문자들은 기본 문자에 포함되지 않고, 기본 문자의 변형으로 취급한다.
문자 | 문자명 | 로마자표기 | 음가 | 설명 | |||
---|---|---|---|---|---|---|---|
단독형 | 어두형 | 어중형 | 어말형 | ||||
ﺓ | — | ــة | 타 마르부타(tāʾ marbūṭa) | h / t / ʰ / ẗ | [a], [at] | ت의 변형. 명사, 형용사 뒤에 붙어 여성형을 만듦. | |
ى | ىــ | ــىــ | ــى | 알리프 마끄수라(ʾalif maqṣūra) | ā / ỳ | [aː] | 알리프(ا)의 변형. 특정 어휘의 어미에만 붙음. |
لا | — | ــلا | 람 알리프(lām ʾalif) | lā | [laː](※) | 람(ل)과 알리프(ا)의 합자 (※) |
※ 알리프(ا) 로 시작하는 어휘 앞에 정관사 ال(알) 이 붙을 경우 등에 나타난다. 이와 같이 /(ʔ)a/ /(ʔ)i/ /(ʔ)u/ 음가를 갖는 어두 ا의 바로 앞에 람(ل)이 와 'لا'가 될 경우, 음가는 /laː/ 가 아니라, /l(ʔ)a/ /l(ʔ)i/ /l(ʔ)u/ 중 하나가 된다. (예: إسلام (Islām) + ال (al) → الإسلام (al-Islām))
- 람(ل)의 뒤에 함자가 있는 알리프(إ ,أ)가 붙을 경우 لإ ,لأ과 같이 لا의 위아래에 함자가 붙는 형태가 된다.
문법
아랍어 표준이나 쿠란과 하디스에서는 VSO(동사-주어-목적어)규칙이 극소수 문장을 제외하고는 철저히 지켜지지만 명사가 술어인 경우 SV(주어-술어)로도 쓰이며 암미야의 경우 표준어와 달리 SVO(주어-동사-목적어)가 지배적이다.
공용어로 쓰는 나라/기구
· 이집트
· 사우디아라비아
· 아랍에미리트
· 예멘
· 시리아
· 이라크
· 요르단
· 팔레스타인
· 쿠웨이트
· 오만
· 바레인
· 카타르
· 레바논
· 알제리
· 튀니지
· 리비아
· 모로코
· 수단
· 모리타니
· 에리트레아
· 지부티
· 르완다
· 코모로
· 서사하라
· 잔지바르 (
탄자니아)
국가 언어로 정한 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