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開 |훈음= 열 개 |부수= 門 |나머지 획수= 4획 |총 획수= 12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イ |일본어 훈독= ひら-く, ひら-ける, あ-く, あ-ける, |간체자= 0 |표준 중국어= 开 |이체 = }} ==개요== <b>開</b>(열 개)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4획이다. 총 획수는 12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9번째 줄: 9번째 줄:
|일본어 음독= カイ
|일본어 음독= カイ
|일본어 훈독= ひら-く, ひら-ける, あ-く, あ-ける,
|일본어 훈독= ひら-く, ひら-ける, あ-く, あ-ける,
|간체자= 0
|간체자=
|표준 중국어=
|표준 중국어= kāi
|이체 =
|이체 =
}}
}}
==개요==
==개요==
<b>開</b>(열 개)는 부수가 [[門]]이고 나머지 획수는 4획이다. 총 획수는 12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b>開</b>(열 개)는 부수가 [[門]]이고 나머지 획수는 4획이다. 총 획수는 12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6급에 해당한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6급에 해당한다. 열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용례==
==용례==
{{사용례 없음}}
* 개발도상국(開發途上國)
* 개천절(開天節)
* 타개(打開)
* 개봉(開封)
* 개시(開始)
==유의자==
==상대자==
* 추가요망,
* [[閉]](닫을 폐)
* [[廢]](폐할 폐)
* [[關]](관계할 관)
==비슷한 한자==
==비슷한 한자==
* 추가요망.
* [[閣]](집 각)
* [[間]](사이 간)
* [[閘]](수문 갑)
* [[闕]](대궐 궐)
* [[聞]](들을 문)
* [[問]](물을 문)
* [[悶]](답답할 민)
* [[閔]](위문할 민)
* [[閥]](문벌 벌)
* [[闇]](어두울 암)
* [[閱]](볼 열)
* [[闡]](열 천)
* [[閉]](닫을 폐)
{{ ㅂ | 한자/낱자 |門 | 12획 | 중학교용|  6급 한자 | | }}
{{ ㅂ | 한자/낱자 |門 | 12획 | 중학교용|  6급 한자 | | }}

2025년 5월 5일 (월) 22:57 기준 최신판


열 개
부수 (部首)
나머지 획수
4획
총 획수
12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イ
일본어 훈독
ひら-く, ひら-ける, あ-く, あ-ける,
간체자
표준 중국어
kāi
이체

개요

(열 개)는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4획이다. 총 획수는 12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6급에 해당한다. 열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용례

  • 개발도상국(開發途上國)
  • 개천절(開天節)
  • 타개(打開)
  • 개봉(開封)
  • 개시(開始)


상대자

  • (닫을 폐)
  • (폐할 폐)
  • (관계할 관)

비슷한 한자

  • (집 각)
  • (사이 간)
  • (수문 갑)
  • (대궐 궐)
  • (들을 문)
  • (물을 문)
  • (답답할 민)
  • (위문할 민)
  • (문벌 벌)
  • (어두울 암)
  • (볼 열)
  • (열 천)
  • (닫을 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