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베트남어: chữ Nôm/ 字喃·𡨸喃·𡦂喃 자남)은 베트남어를 적기 위해서 만든 한자에 바탕을 둔 문자체계이다. 현재 베트남어에서 쓰...)
 
잔글 (→‎개요)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베트남어: chữ Nôm/ 字喃·𡨸喃·𡦂喃 자남)은 베트남어를 적기 위해서 만든 한자에 바탕을 둔 문자체계이다.
[[월남어]]: chữ Nôm<br>
字喃·𡨸喃·𡦂喃


현재 [[베트남어]]에서 쓰이는 라틴 문자는 [[꾸옥응우]]이다.
=개요=
'''쯔놈'''은 베트남어를 표기하기 위해서 만든 문자이다. 주로 베트남 고유어를 표기할때 사용되었으며 국자(國字)의 확장형이라 봐도 무방하다. 쯔는 글자를, 놈은 베트남을 의미한다. 반대로 중국 고유의 한자는 한놈이라고 한다.


14세기 이전에 베트남에서 문자는 한자뿐으로 적은 수의 고유명사를 빼면 베트남어가 온전한 글말로 쓰이는 일은 없었고 한문소양을 갖춘 상류층은 글을 쓸 때 한문만을 썼다.
현재 [[베트남어]]에서 쓰이는 라틴 문자는 [[쯔꾸옥응으]]이다.
 
=역사=
14세기 이전에 베트남에서 문자는 [[한자]]뿐이었고 적은 수의 고유명사를 빼면 베트남어가 온전한 글말로 쓰이는 일은 없었고 한문소양을 갖춘 상류층은 글을 쓸 때 한문만을 썼다.
 
이에 베트남 고유의 개념이나 고유어를 표기할 체계가 필요하다고 느꼈고, 그렇게 만들어진것이 쯔놈이다.


[[분류:문자]]
[[분류:문자]]

2021년 7월 18일 (일) 15:26 기준 최신판

월남어: chữ Nôm
字喃·𡨸喃·𡦂喃

개요

쯔놈은 베트남어를 표기하기 위해서 만든 문자이다. 주로 베트남 고유어를 표기할때 사용되었으며 국자(國字)의 확장형이라 봐도 무방하다. 쯔는 글자를, 놈은 베트남을 의미한다. 반대로 중국 고유의 한자는 한놈이라고 한다.

현재 베트남어에서 쓰이는 라틴 문자는 쯔꾸옥응으이다.

역사

14세기 이전에 베트남에서 문자는 한자뿐이었고 적은 수의 고유명사를 빼면 베트남어가 온전한 글말로 쓰이는 일은 없었고 한문소양을 갖춘 상류층은 글을 쓸 때 한문만을 썼다.

이에 베트남 고유의 개념이나 고유어를 표기할 체계가 필요하다고 느꼈고, 그렇게 만들어진것이 쯔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