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번째 줄: 82번째 줄:


* [http://e-gonghun.mpva.go.kr/portal/url.jsp?ID=PV_JH_0005_002.002.002.053 安鎬生의 被逮] : 上海 中央日報 1928-03-24
* [http://e-gonghun.mpva.go.kr/portal/url.jsp?ID=PV_JH_0005_002.002.002.053 安鎬生의 被逮] : 上海 中央日報 1928-03-24
:공산주의 활동 혐의로 체포된 목릉(穆稜)<ref>[https://zh.wikipedia.org/zh-tw/%E7%A9%86%E6%A3%B1%E5%B8%82 穆稜市]- 維基百科</ref><ref>[https://www.google.com/maps/place/%E7%A9%86%E7%A8%9C%E5%B8%82/data=!4m2!3m1!1s0x5e4dc5b524f7b281:0xf5432543bc52da1b?sa=X&ved=1t:242&ictx=111 무링 시(穆稜市) : 중국 헤이룽장 성 무단장 시] 구글지도</ref> 원동한인학교(遠東韓人學校) 교장 안호생이 안중근의 조카라 하였다. (安重根侄 安鎬生) 그는 하얼빈 근교 감옥에 상당기간 수감되어 있었다.
:공산주의 활동 혐의로 체포된 목릉(穆稜)<ref>[https://zh.wikipedia.org/zh-tw/%E7%A9%86%E6%A3%B1%E5%B8%82 穆稜市]- 維基百科</ref><ref>[https://www.google.com/maps/place/%E7%A9%86%E7%A8%9C%E5%B8%82/data=!4m2!3m1!1s0x5e4dc5b524f7b281:0xf5432543bc52da1b?sa=X&ved=1t:242&ictx=111 무링 시(穆稜市) : 중국 헤이룽장 성 무단장 시] 구글지도</ref> 원동한인학교(遠東韓人學校) 교장 안호생이 안중근의 조카라 하였다. (安重根侄 安鎬生) 그는 하얼빈(哈爾濱) 근교 감옥에 상당기간 수감되어 있었다.
::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2803200020920200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28-03-20&officeId=00020&pageNo=2&printNo=2716&publishType=00020 極東朝鮮人學校(극동조선인학교) 敎員全部逮捕(교원전부체포)] 1928.03.20 동아일보 2면
::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2803200020920200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28-03-20&officeId=00020&pageNo=2&printNo=2716&publishType=00020 極東朝鮮人學校(극동조선인학교) 敎員全部逮捕(교원전부체포)] 1928.03.20 동아일보 2면
::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28032000239202014&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28-03-20&officeId=00023&pageNo=2&printNo=2709&publishType=00020 哈爾賓朝鮮學校(합이빈조선학교) 梭長(사장)과 全職員逮捕(전직원체포)] 1928.03.20 조선일보 2면
::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28032000239202014&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28-03-20&officeId=00023&pageNo=2&printNo=2709&publishType=00020 哈爾賓朝鮮學校(합이빈조선학교) 梭長(사장)과 全職員逮捕(전직원체포)] 1928.03.20 조선일보 2면

2024년 9월 21일 (토) 10:19 판

일제에 투항한 직후인 1938년 8월 「쿠로사키유격대(黒崎遊撃隊)」의 안광훈(安光勳) : 뒷줄 오른쪽에서 두번째.

안광훈(安光勳, ? ~ ?)은 동북항일연군(東北抗日聯軍) 제1군 참모장겸 정치위원이었으나 1938년 2월 체포된 후 일제에 투항하여 항일연군 토벌에 협력하였다.

그는 안중근(安重根, 1879~1910)의 4촌 동생 안봉근(安鳳根)의 장남 안호생(安鎬生)[1]과 동일인물인 것이 확실해 보인다.

주요 행적

  • 한국에서 勳으로 쓰는 글자는 중국에서는 勛(勋)으로 쓰므로 중국 문헌에는 그의 이름이 安光勛(安光勋)으로 나온다.
  • 1930년 안광훈(安光勛)이 중국공산당 만주성위(滿洲省委) 산하 반석현위(磐石縣委)[2][3] 집행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30年8月,在滿洲省委巡視員陳德林的主持下,中共磐石縣第一次代表大會選舉產生了中共磐石縣委。首批執行委員由朴奉(書記)、李承雨、安光勛、金光道、馮劍英5人組成。
    磐石游击队 中文維基百科
반석유격대(磐石游击队)이홍광이 주도해서 만들었으며 동북인민혁명군 제1군 제1사(師)의 모태가 된다.
  • 1934년 현재 중국공산당 만주성위(滿洲省委) 반석현위(磐石縣委) 간부로 길림성 반석현 합마하자(吉林省 磐石縣 哈螞河子)에 주소를 둔 안광훈(安光訓)이 있다.[4] [勛이 訓으로 잘못 적힌 것으로 보임.]
용의조선인 명부 [國外ニ於ケル容疑朝鮮人名簿] : 昭和九年(1934년) 六月 / 朝鮮總督府警務局 [編] p.4
  • 1936년 봄 종래의 동북인민혁명군 제1군이 동북항일연군 제1군으로 개편될 때 양정우(楊靖宇)가 군장(軍長) 겸 정치위원이 되고 안광훈(安光勛)이 참모장이 되었다.[5]
    1936년 봄 종래의 동북인민혁명군 제1군은 동북항일연군 제1군으로 개편되었다. 양정우(楊靖宇)가 군장(軍長) 겸 정치위원이 되고 송철암(宋鐵岩)이 정치부주임, 안광훈(安光勛)이 참모장이 되었다.

    제1군 산하에 2개師를 두었는데 제1사장(第1師長) 겸 정치위원은 정빈(程斌)이고 정치부주임은 한국신(韓國臣)이며 참모장은 이민환(李敏煥)이다. 第1師 산하에는 제3, 4, 5, 6 團이 있었다. 제1군(第1軍) 제2사장(第2師長)은 조국안(曹國安)이고 정치부주임은 전광(全光)이며 第8團을 산하에 두었다. 제1군(第1軍)의 총병력은 전성기에 약 6천여 명에 달하였다. 1936년 5월 요녕성 신빈(遼寧省 新賓(舊興京)) 일대에서 제1군 제3사(第3師)를 편성했는데 사장(師長)은 왕인재(王仁斋)이고 정치위원은 주건화(周建華)이다. 예하에 第5, 7團을 두었다.註 080

    註) 080 : 《東北抗日聯軍鬪爭史簡編) pp.94∼95.
1938년 6월 만주국군월보(満洲国軍月報)의 제1군관구 월보 맨 뒤에 보면 정빈(程斌) 이하 61명이 6월 29일에 투항하고, 이튿날 잔당 25명이 또 투항했다고 하였다.
  • 1936년 7월 동북항일연군은 1군(1, 2, 3사)과 2군(4, 5, 6사)을 통합 지휘하는 제1로군(第一路軍)을 편성하며, 양정우(楊靖宇)가 1로군 총사령이 된다. 2군의 6사장 김일성이 1937년 6월 보천보 사건을 주도하며, 북한 김일성과는 다른 사람이다.
  • 1938년 2월 13일에 안광훈은 일제에 체포되어 투항한다.[6][7]
  • 투항한 안광훈은 일제의 항일연군 토벌에 적극 협력하여 제1군의 제1사장이었던 정빈(程斌)[8][9]이 1938년 6월 29일 투항하는데 큰 공을 세운다.[6] 안광훈과 정빈은 1로군 총사령 양정우가 가장 신임하던 최측근 인물들이었다.
  • 안광훈과 정빈은 쿠로사키 사다아키(黒崎貞明, 1912~1987) 중위가 이끄는 동북항일연군을 토벌하는 결사대였던 「쿠로사키유격대(黒崎遊撃隊)」에 소속된다.[10][11]
  • 투항한 안광훈과 정빈은 일제의 앞잡이가 되어 왕년의 상관이었던 항일연군 제1로군 총사령 양정우(楊靖宇)를 추격하는데 앞장섰고, 양정우는 1940년 2월 23일 사살 당한다.[12]
  • 안광훈은 1941년 1월 30일 1로군 사령부(司令部) 비서처장(祕書處長) 전광(全光)오성륜(吳成崙, 1898~1947)이 귀순하는데도 공을 세웠다.
    : 各 省 각 공작의 내용을 진술하라.

    : 귀순공작에 있어서 吉林省 공작반 총지휘자는 日人 도변[渡邊](경비과장)이었고, 同省 내 樺旬縣 공작반장은 滿人 호국신[胡國臣](省警佐), 同省 내 敦化縣 及 鱎河縣 공작반장은 日人 강본[岡本](省警佐) 등이었으며, 通化省 공작반 총 지휘자는 日人 안곡융일랑[岸谷隆一郞](省 경무청장)이었고, 同省 내 輝南縣 及 濛江縣 공작반장은 조선인 안광훈[安光勳](독립군으로 귀순한 후 당시 省 경좌)이었으며, 間島省 공작반 총지휘자는 조선인 유홍순[劉鴻洵](간도성 차장)이었고, 同省 延吉縣 공작반장은 조선인 김송렬[金松烈](정보 제공에 종사한 자), 同省 汪淸縣 공작반장은 조선인 계난수[桂蘭秀](前 간도성 사무관), 同省 安圖縣 공작반장은 日人 편전[片田](省경좌) 등이었으며, 各 省 移動 헌병 공작반장은 日人 장도[長島](헌병 曹長)이었습니다.

    토벌공작에 있어서는 총사령부를 길림에 두고 총사령관에 日人 야부[野副] 소장, 참모 북부[北部] 중좌(日人) 밑에 각 지구 사령관을 두었는데, 통화지구에는 日人 길천[吉川] 중좌, 길림지구에는 日人 소림[小林] 대좌, 간도지구에는 日人 포본[布本] 중좌, 牧丹江지구에는 日人 小林 대좌 등이었고, 각 지구 사령관은 관하 일본군, 만주국군 及 경찰대를 통할 지휘하였었습니다.
    김창영 피의자신문조서(제3회) : 1949년 04월 20일
야부[野副] 소장은 노조에(野副) 토벌대 사령관 노조에 마사노리(野副昌德, 1881~1981) 소장이고, 참모 북부[北部] 중좌는 키타베 구니오(北部邦雄) 중좌이다. (이 사람들의 이름을 한국에서는 노조에 쇼도쿠, 후쿠베 구니오 등으로 잘 못 읽고 있다. 北部는 성씨일 때는 키타베로 읽는다.)

동북항일연군의 제1로군은 제2로군 및 제3로군과 달리 최고 지휘부 구성원들이 모두 전사하거나 변절 투항하여 철저히 궤멸되는데, 그 단초가 된 것이 1군의 참모장 안광훈과 1사장 정빈의 투항이다. 1로군의 제2방면군장이었던 북한 김일성은 상관들의 허락도 없이 부하 몇 명을 데리고 소련으로 도주하여 살아 남아, 제1로군의 최고위 생존자가 된다. 김일성은 소련군 88여단에서 1로군을 대표하는 인물이 되어 제1대대장을 맡게 된다. 이것이 일제 패망 후 김일성스탈린에 의해 북한 지도자로 발탁되는 행운으로 이어진다.

안중근(安重根)의 5촌 조카 안호생(安鎬生)으로 판명

2017년에 안광훈이 안중근(安重根)의 5촌 조카 안호생(安鎬生)이라는 주장이 처음 나왔는데, 사실로 보인다.

안중근의 부친 진사 안태훈(安泰勳)의 바로 아래 동생으로 안태건(安泰健)이 있고, 그의 장남 안봉근(安鳳根)의 장남으로 안호생(安鎬生)이 있다. 안호생의 동생 안민생(安民生)은 해방 후 한국에서 살았고, 형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제5장 격랑에 휩싸인 안중근의 후예들
    사촌동생 안봉근 _독일에서 ‘손기정 우승 축하연’ 열어주다
    20대에 독일 유학 가 베를린 정착
    안봉근의 장남 안호생 _‘항일투사’에서 친일파로 전향
    안광훈은 안호생의 가명이었다│체포되어 전향 후 과거 동지들을 잡으러 다니다
[서평] 정운현·정창현 ‘안중근가 사람들’ 출간 ‘조카 안민생의 편지’에서 발굴…“독립유공 포상 15명”
    안봉근의 장남 안호생의 친일 행적도 나타났다. 그는 4·19 때 민주화 통일운동을 하다 옥고를 치른 안민생의 친형이다. 독립운동을 하던 안호생은 여러 가명 가운데 ‘안광훈’이라는 가명을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저자들은 전했다. 친동생 안민생의 기록에 따르면 안호생은 1929년부터 남만주에서 안광훈이라는 가명으로 판스현(磐石縣)에 있는 학교에서 교편생활을 했다.

    그러나 이 ‘안광훈’이라는 이름은 1930년대 중반이후 만주에서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했던 동북항일연군 1로군 참모장으로 활동하다 변절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안호생과 안광훈이 이명동인 즉, 동일인이라는 것이다.

    이에 대해 정창현 전 중앙일보 전문기자는 4일 미디어오늘과 인터뷰에서 “안민생이 동생 안경옥에게 보낸 편지에서 1930년대 초부터 형 안호생에 대해 ‘안광훈’이라는 가명을 쓰기 시작했으며, 안호생은 1930년대 초반부터 동북항일연군 일로군으로 활동했다”며 “더구나 안호생은 1934년 일본 기록에는 만주성위원회 간부로 활동한 것으로 나온다. 기록에 안광훈이라는 이름은 1936년부터 나오기 시작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두 사람이 일치할 확률은 99%라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반석현(磐石縣)이 중국 발음으로 판스 현이다
  • 중국측 기록에 안광훈(安光勛)이 1930년 중공당 만주성위(滿洲省委) 산하 판스현위(磐石縣委)[2][3] 집행위원으로 선출되었다고 나오는데, 이는 안민생이 말한 형 안호생의 행적을 뒷받침한다.
    1930年8月,在滿洲省委巡視員陳德林的主持下,中共磐石縣第一次代表大會選舉產生了中共磐石縣委。首批執行委員由朴奉(書記)、李承雨、安光勛、金光道、馮劍英5人組成。
    磐石游击队 中文維基百科

안호생(安鎬生)의 행적

이 이전에도 안호생은 상해나 북만주 등지에서 공산주의 활동을 한 것으로 보인다.

少年과 社會(安鎬生), 避할수업는 우리의 使命(鄭遠), 中國의 思想衝突(趙德津)
  • 안호생(安鎬生)은 상해 조선인 학생(上海朝鮮人學生) 조직 留滬韓人學友會의 기관지(機關紙) 「학군(學軍)」 제2호(1926년 2월 15일)에 「戀愛問題ノ如是我觀」 이란 제목의 글을 실었다.
한국독립운동사자료 해외언론운동편 제Ⅱ장 중국관내지역 不穩雜誌「學軍」ノ記事ニ關スル件
不穩雜誌 『學軍』의 記事에 關한 件 高警 제1006호, 朝鮮總督府 警務局長, 1926년 03월 25일
공산주의 활동 혐의로 체포된 목릉(穆稜)[14][15] 원동한인학교(遠東韓人學校) 교장 안호생이 안중근의 조카라 하였다. (安重根侄 安鎬生) 그는 하얼빈(哈爾濱) 근교 감옥에 상당기간 수감되어 있었다.
極東朝鮮人學校(극동조선인학교) 敎員全部逮捕(교원전부체포) 1928.03.20 동아일보 2면
哈爾賓朝鮮學校(합이빈조선학교) 梭長(사장)과 全職員逮捕(전직원체포) 1928.03.20 조선일보 2면
暗黑鐵窓(암흑철창)에 不法監禁(불법감금)된 朝鮮靑年 十二人(조선청년 십이인) 1928.04.04 동아일보 2면
鬼神(귀신) 모를 深深鐵窓裡(심심철창리) 風前燈火(풍전등화)가튼 十餘同胞(십여동포) 1928.04.04 조선일보 2면
이들은 1928년 말까지 풀려나지 못했다.
暗黑鐵窓(암흑철창)에 拘禁後(구금후) 二個星霜(이개성상)을 放置(방치) 1928.11.27 동아일보 2면
危急(위급)한 十一同胞(십일동포) 故國(고국)에 救命訴狀(구명소상) 1928.11.27 조선일보 2면

구금되었던 안호생은 아마도 1928년 말이나 1929년 초쯤 석방되어 판스현(磐石縣)으로 가서 교사를 하다 안광훈의 이름으로 중국공산당 만주성위 판스현위와 동북항일연군 등에 참여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 자료

226の残党→廉応沢→金日成

각주

  1. 안중근 의사 가계도 : 안중근 의사 기념관
  2. 2.0 2.1 판스 시(磐石市)- 維基百科
  3. 3.0 3.1 판스 시(磐石市)- 구글지도
  4. 근현대인물자료 안광훈 (安光訓) 한국사데이터베이스
  5. 滿洲 抗日聯軍 硏究(金昌順) Ⅵ. 東北抗日聯軍의 各軍 沿革 國史館論叢 第11輯 1990년 07월 15일
  6. 6.0 6.1 支那及満州ニ於ケル共産運動 昭和 13年(1938년)12月 1日 /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Ref.B02130120000、執務報告 昭和十三年度東亜局第二課(東亜-4)(外務省外交史料館)」 : p.48에 "1938년 여름 제1군 참모장겸 정치위원 안광훈(安光勳), 제1사장 정빈(程斌) 체포 또는 귀순"
  7. 安光勋,东北抗日联军第1军参谋长,1938年2月13日投日 : X 冬虫亡灵 @chong_dong97413
  8. 정빈(程斌, 1911~1951) 百度百科
  9. 정빈(程斌, 1911~1951)
  10. 黒崎貞明 著, 『 恋闕:最期の二・二六事件 』 ( 日本工業新聞社、昭和55.2.26)
  11. 226の残党→廉応沢→金日成
  12. 동북항일연군#항일연군 인물들의 전사와 귀순 관련 기사와 기록
  13. 반민특위조사기록 : 김창영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자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14. 穆稜市- 維基百科
  15. 무링 시(穆稜市) : 중국 헤이룽장 성 무단장 시 구글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