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개요)
3번째 줄: 3번째 줄:


==개요==
==개요==
'''우경식''' 또는 '''좌우 교대 서법'''은 글을 쓸때 하나의 줄이 오른쪽이면 다음 줄은 왼쪽으로 교대로 쓰는 방식이다. 그 모양이 소로 밭을 가는 모양새와 비슷하다 하여 우경(牛耕)이라 이름지어졌다. 같은 개념을 설명하며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영어단어 "Boustrophedon"도 뜻이 "Bou(물소) + strophe(돌다) + don(것)"으로 유사한 의미이다.
'''우경식''' 또는 '''좌우 교대 서법'''은 글을 쓸때 좌우 교대로 쓰는 방식이다. 하나의 줄이 오른쪽이면 다음 줄은 왼쪽으로 쓴다. 그 모양이 소로 밭을 가는 모양새와 비슷하다 하여 우경(牛耕)이라 이름지어졌다. 같은 개념을 설명하며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영어단어 "Boustrophedon"도 뜻이 "Bou(물소) + strophe(돌다) + don(것)"으로 유사한 의미이다.


고대 언어는 이런식으로 기록된 것들이 꽤 있으며 [[고대 그리스어]]의 일부나 [[마야문자]]가 이러한 방식을 취한다.
고대 언어는 이런식으로 기록된 것들이 꽤 있으며 [[고대 그리스어]]의 일부나 [[마야문자]]가 이러한 방식을 취한다.

2022년 8월 31일 (수) 11:24 판

영어: Boustrophedon
한국어: 牛耕式

개요

우경식 또는 좌우 교대 서법은 글을 쓸때 좌우 교대로 쓰는 방식이다. 하나의 줄이 오른쪽이면 다음 줄은 왼쪽으로 쓴다. 그 모양이 소로 밭을 가는 모양새와 비슷하다 하여 우경(牛耕)이라 이름지어졌다. 같은 개념을 설명하며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영어단어 "Boustrophedon"도 뜻이 "Bou(물소) + strophe(돌다) + don(것)"으로 유사한 의미이다.

고대 언어는 이런식으로 기록된 것들이 꽤 있으며 고대 그리스어의 일부나 마야문자가 이러한 방식을 취한다.

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