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농사와 곡물의 신이다. 전 근대 왕조 중국 한국 등은 기본적으로 농업 국가였기에 왕이나 황제가 사직 신에서 제사를 들여 풍년을 기원하였다. 사직단이라는 것은 사직에게 제사를 들이는 장소다. 엄밀히 말해서 제후왕은 사직에게는 제사를 들일 수 있지만, 황제가 아닌 제후왕은 사직신이 아닌 천 그러니까 하늘과는 일대일로 소통을 할수 없다. 그건 중국황제...)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농사와 곡물의 신이다.
땅과와 곡물의 신이다. 사가 땅의 신이고 직이 곡물의 신이다.  


전 근대 왕조 중국 한국 등은 기본적으로 농업 국가였기에  
전 근대 왕조 중국 한국 등은 기본적으로 농업 국가였기에,


왕이나 황제가 사직 신에서 제사를 들여 풍년을 기원하였다. 사직단이라는 것은 사직에게 제사를 들이는 장소다.
왕이나 황제가 사직 신에서 제사를 들여 풍년을 기원하였다. 사직단이라는 것은 사직에게 제사를 들이는 성스러운 장소다.




엄밀히 말해서 제후왕은 사직에게는 제사를 들일 수 있지만, 황제가 아닌 제후왕은 사직신이 아닌 천 그러니까 하늘과는 일대일로 소통을 할수 없다. 그건 중국황제인 천자만 가능하다.
엄밀히 말해서 제후왕은 사직에게는 제사를 들일 수 있지만, 황제가 아닌 제후왕은 사직신이 아닌 천 그러니까 하늘과는 일대일로 소통을 할수 없다. 그건 중국황제인 천자만 가능하다.


봉선 하늘에 제사를 들이는 것인 엄밀한 중국 세계관에서는 천자인 황제만 가능하다.  
봉선 하늘에 제사를 들이는 것인 엄밀한 중국 세계관에서는 천자인 황제만 가능하다.(봉선도 개나 소나 모든 황제가 한 것이 아니라 굉장히 공적이 있다고 자처하는 황제들만 했다. 진시황제나 한무제와 같은. 신성한 산으로 여기는 중국의 태산에서 봉선의식을 했다. 사기를 쓴 사마천의 아버지는 평생 한번 볼까 말까한 봉선의식에 참여해서 직접 그것을 볼 것이라고 기대했는데 산 밑에 대기하라는 명령을 받고 실망해서 그 이후 시름 시름 앓다가 얼마 있다 죽었다.)




그래서 세종 같은 경우는 비와 오지 않으니 왕이 하늘에 대고 비를 오게 해 달라고 비는 것을 참람하다고 하지 않겠다고 한다. 신하들은 종전 왕들도 해 왔던 거니 괜찮다고 했음에도.


그래서 세종 같은 경우는 비와 오지 않으니 왕이 하늘에 대고 기후제 비슷한 비를 오게 해 달라고 비는 것을 제후왕으로서 참람하다고 하지 않겠다고 한다. 신하들은 종전 왕들도 해 왔던 거니 괜찮다고 했음에도.


대한제국으로 소중화 황제를 자처하고 나서 천구단을 지었다.
 
 
대한제국으로 소중화 황제를 자처하고 나서 하늘과 제사를 들이는 천구단을 지었다.





2024년 8월 29일 (목) 17:56 판

땅과와 곡물의 신이다. 사가 땅의 신이고 직이 곡물의 신이다.

전 근대 왕조 중국 한국 등은 기본적으로 농업 국가였기에,

왕이나 황제가 사직 신에서 제사를 들여 풍년을 기원하였다. 사직단이라는 것은 사직에게 제사를 들이는 성스러운 장소다.


엄밀히 말해서 제후왕은 사직에게는 제사를 들일 수 있지만, 황제가 아닌 제후왕은 사직신이 아닌 천 그러니까 하늘과는 일대일로 소통을 할수 없다. 그건 중국황제인 천자만 가능하다.

봉선 하늘에 제사를 들이는 것인 엄밀한 중국 세계관에서는 천자인 황제만 가능하다.(봉선도 개나 소나 모든 황제가 한 것이 아니라 굉장히 공적이 있다고 자처하는 황제들만 했다. 진시황제나 한무제와 같은. 신성한 산으로 여기는 중국의 태산에서 봉선의식을 했다. 사기를 쓴 사마천의 아버지는 평생 한번 볼까 말까한 봉선의식에 참여해서 직접 그것을 볼 것이라고 기대했는데 산 밑에 대기하라는 명령을 받고 실망해서 그 이후 시름 시름 앓다가 얼마 있다 죽었다.)


그래서 세종 같은 경우는 비와 오지 않으니 왕이 하늘에 대고 기후제 비슷한 비를 오게 해 달라고 비는 것을 제후왕으로서 참람하다고 하지 않겠다고 한다. 신하들은 종전 왕들도 해 왔던 거니 괜찮다고 했음에도.


대한제국으로 소중화 황제를 자처하고 나서 하늘과 제사를 들이는 천구단을 지었다.


하여간 사직단은 제후왕인 조선왕도 제사를 들일 수 있었기에 있었다.


역대 왕들을 기리는 종묘와 사직은 세트로 관용적으로 한 왕조 그 자체를 말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