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4E에 대한 넘겨주기를 제거함)
태그: 넘겨주기 제거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개요==
F-4 팬텀 II는 미국의 [[맥도널 더글라스]]사에서 개발한 전폭기이다. 미 공군과 해군항공대가 운용했고, 대한민국, 일본, 독일, 영국, 튀르키예, 이란, 이스라엘등의 국가에도 수출되었다.
==개발과 특징==
F-4 팬텀 II는 1953년부터 미군의 요구에 따라 강력한 레이더를 갖춘 장거리 전폭기로 개발이 시작되었다. 1960년대 초부터 F-4는 미군에 인도되었고 베트남 전쟁에서 사용되었다. 팬텀은 최초의 3세대 전투기인만큼 레이더 유도방식의 반능동 미사일인 [[AIM-7 스패로우]]를 장착할수 있었고 이외에도 [[AIM-9 사이드와인더]], 공대공 및 공대지 용도의 로켓, 각종 공대지 미사일, 비유도 및 유도 폭탄을 장착할수 있으며 폭장량 또한 매우 많았고 [[F-104 스타파이터]]에 장착되는 J79 터보제트엔진을 2기 장착하였는데도 3시간동안 체공할수 있을정도로 항속거리가 길었다. F-4는 초기에 공군에선 해군과 같은 명칭을 쓰기 싫어 F-110 스펙터라고 부르려 했지만 미군의 제식명칭 통합 정책에 의해 F-4 팬텀 II로 합의를 보았다.
==성능과 실전==
F-4 팬텀은 대추력의 J79 터보제트 엔진을 2기 장착해서 폭장을 엄청나게 많이 할수있어 높은 화력을 보유할수 있고, 항속거리 또한 매우 긴데다 펄스 도플러 방식의 레이더를 사용해 스패로우 미사일을 저고도에서 고고도로 락온할수 있는것은 물론 고고도에서 저고도의 목표를 락온할수 있었다. 당시 대부분의 레이더는 지상을 바라볼때 노이즈가 엄청나게 생겼지만 펄스도플러 방식의 레이더는 이러한 노이즈를 획기적으로 줄일수 있어 공대공 반능동 미사일을 운용할수 있어서 적기를 가시거리 밖에서 격추할수 있었다. 하지만 팬텀은 초기형에선 미사일 만능주의 때문에 내장형 기관포가 장착되지 않아 베트남에서 손실을 심하게 겪었는데, 레이더로 락온한 물체가 적기인지 아군인지를 알수 없어 육안으로 식별하는게 당시의 전술교리여서 가시거리 밖에서 적기를 격추할수 없어 결국 교전은 근거리에서 일어났고, 그때의 미사일은 기동성이 나빠 명중률도 최악이었는데다 팬텀의 기동력도 좋지 못하고 적기로는 기동성이 뛰어난 [[MiG-17]], [[MiG-21]]을 만났는데다 둘다 근거리에서 명중률이 미사일보다 뛰어난 내장형 기관포가 장착되어 팬텀이 불리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베트남에서의 팬텀은 외장형 건팩을 1문이라도 장착해서 공대공 교전에 나섰는데 건팩은 항력을 심하게 발생시키기 때문에 안그래도 나쁜 팬텀의 기동성을 더욱 저하시켰다. 하지만 후기형 [[F-4E]]는 내장형 기관포를 장착했고 미군의 전술도 BVR 전투가 가능하게 바뀐데다 통신체계도 발전하여 팬텀은 BVR 전투에서 월맹군 전투기를 상대로 우위를 점할수 있었고 폭격, 지상공격 임무도 원활하게 수행할수 있었다.
==

2024년 11월 24일 (일) 16:43 판

개요

F-4 팬텀 II는 미국의 맥도널 더글라스사에서 개발한 전폭기이다. 미 공군과 해군항공대가 운용했고, 대한민국, 일본, 독일, 영국, 튀르키예, 이란, 이스라엘등의 국가에도 수출되었다.

개발과 특징

F-4 팬텀 II는 1953년부터 미군의 요구에 따라 강력한 레이더를 갖춘 장거리 전폭기로 개발이 시작되었다. 1960년대 초부터 F-4는 미군에 인도되었고 베트남 전쟁에서 사용되었다. 팬텀은 최초의 3세대 전투기인만큼 레이더 유도방식의 반능동 미사일인 AIM-7 스패로우를 장착할수 있었고 이외에도 AIM-9 사이드와인더, 공대공 및 공대지 용도의 로켓, 각종 공대지 미사일, 비유도 및 유도 폭탄을 장착할수 있으며 폭장량 또한 매우 많았고 F-104 스타파이터에 장착되는 J79 터보제트엔진을 2기 장착하였는데도 3시간동안 체공할수 있을정도로 항속거리가 길었다. F-4는 초기에 공군에선 해군과 같은 명칭을 쓰기 싫어 F-110 스펙터라고 부르려 했지만 미군의 제식명칭 통합 정책에 의해 F-4 팬텀 II로 합의를 보았다.

성능과 실전

F-4 팬텀은 대추력의 J79 터보제트 엔진을 2기 장착해서 폭장을 엄청나게 많이 할수있어 높은 화력을 보유할수 있고, 항속거리 또한 매우 긴데다 펄스 도플러 방식의 레이더를 사용해 스패로우 미사일을 저고도에서 고고도로 락온할수 있는것은 물론 고고도에서 저고도의 목표를 락온할수 있었다. 당시 대부분의 레이더는 지상을 바라볼때 노이즈가 엄청나게 생겼지만 펄스도플러 방식의 레이더는 이러한 노이즈를 획기적으로 줄일수 있어 공대공 반능동 미사일을 운용할수 있어서 적기를 가시거리 밖에서 격추할수 있었다. 하지만 팬텀은 초기형에선 미사일 만능주의 때문에 내장형 기관포가 장착되지 않아 베트남에서 손실을 심하게 겪었는데, 레이더로 락온한 물체가 적기인지 아군인지를 알수 없어 육안으로 식별하는게 당시의 전술교리여서 가시거리 밖에서 적기를 격추할수 없어 결국 교전은 근거리에서 일어났고, 그때의 미사일은 기동성이 나빠 명중률도 최악이었는데다 팬텀의 기동력도 좋지 못하고 적기로는 기동성이 뛰어난 MiG-17, MiG-21을 만났는데다 둘다 근거리에서 명중률이 미사일보다 뛰어난 내장형 기관포가 장착되어 팬텀이 불리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베트남에서의 팬텀은 외장형 건팩을 1문이라도 장착해서 공대공 교전에 나섰는데 건팩은 항력을 심하게 발생시키기 때문에 안그래도 나쁜 팬텀의 기동성을 더욱 저하시켰다. 하지만 후기형 F-4E는 내장형 기관포를 장착했고 미군의 전술도 BVR 전투가 가능하게 바뀐데다 통신체계도 발전하여 팬텀은 BVR 전투에서 월맹군 전투기를 상대로 우위를 점할수 있었고 폭격, 지상공격 임무도 원활하게 수행할수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