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2번째 줄:
|음훈= 하늘 천
|음훈= 하늘 천


|부수= [[大]]
|부수= 大
|나머지 획수= 1획
|나머지 획수= 1획


23번째 줄: 23번째 줄:


==개요==
==개요==
하늘을 의미하는 한자이다. [[空]]과 달리 비교적 추상적인 것을 나타낼 때 쓴다.
<b>天</b>(하늘 천)는 하늘을 의미하는 한자이다.  
 
부수가 [[大]]이고 나머지 획수는 1획이다. 총 획수는 4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7급에 해당한다.
 
[[空]]과 달리 비교적 추상적인 것을 나타낼 때 쓴다.


음이 중국어로는 티엔 일본어로는 텐이라고도 하는데, 한국어로만 천이다. 원래 중국에서 발음은 톈에 가까웠는데 한국에서만 발음이 텬에서 편하게 변한 것으로 본다. 천자문에 첫 글자다.  
음이 중국어로는 티엔 일본어로는 텐이라고도 하는데, 한국어로만 천이다. 원래 중국에서 발음은 톈에 가까웠는데 한국에서만 발음이 텬에서 편하게 변한 것으로 본다. 천자문에 첫 글자다.  


튀김을 의미하는 덴푸라라는 일본어는 금육(종교적 의미로 가톨릭에서는 특정 기간에 고기를 먹지 않았다 생선은 허용)이라는 의미 뎅푸라라는 포르투갈어를 일본어로 덴뿌라로 음차했는데, 그래서 일본에서는 天이 하늘 이라는 의미 뿐만 아니라 튀김이라는 의미 또한 갖고 있다.  
튀김을 의미하는 덴푸라라는 일본어는 금육(종교적 의미로 가톨릭에서는 특정 기간에 고기를 먹지 않았다 생선은 허용)이라는 의미 뎅푸라라는 포르투갈어를 일본어로 덴뿌라로 음차했는데, 그래서 일본에서는 天이 하늘 이라는 의미 뿐만 아니라 튀김이라는 의미 또한 갖고 있다.  


==급수==
==급수==
33번째 줄: 39번째 줄:
*[[칸켄]] 10급
*[[칸켄]] 10급
*[[상용한자]](일본)
*[[상용한자]](일본)
==용례==
*[[개천절]](開天節)
*[[천국]](天國)
*[[천문대]](天文臺)
*[[천연기념물]](天然記念物)
*[[분기탱천]](憤氣撑天)
*[[천고마비]](天高馬肥)
*[[천우신조]](天佑神助)
==유의자==
*[[乾]](하늘 건)
*[[穹]](하늘 궁)
*[[旻]](하늘 민)
*[[旼]](하늘 민)
*[[昊]](하늘 호)
== 상대자==
*[[坤]](땅 곤)
*[[地]](땅 지)
==비슷한 한자==
*[[无]](없을 무)
*[[矢]](화살 시)
*[[失]](잃을 실)
*[[夭]](일찍 죽을 요)


==언어별==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각주}}
{{각주}}

2025년 5월 1일 (목) 23:52 기준 최신판


훈음을 입력하세요.
부수 (部首)
나머지 획수
1획
총 획수
4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テン
일본어 훈독
あめ, (あま)
간체자
-
표준 중국어
tiān
이체


개요

(하늘 천)는 하늘을 의미하는 한자이다.

부수가 이고 나머지 획수는 1획이다. 총 획수는 4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7급에 해당한다.

과 달리 비교적 추상적인 것을 나타낼 때 쓴다.

음이 중국어로는 티엔 일본어로는 텐이라고도 하는데, 한국어로만 천이다. 원래 중국에서 발음은 톈에 가까웠는데 한국에서만 발음이 텬에서 편하게 변한 것으로 본다. 천자문에 첫 글자다.

튀김을 의미하는 덴푸라라는 일본어는 금육(종교적 의미로 가톨릭에서는 특정 기간에 고기를 먹지 않았다 생선은 허용)이라는 의미 뎅푸라라는 포르투갈어를 일본어로 덴뿌라로 음차했는데, 그래서 일본에서는 天이 하늘 이라는 의미 뿐만 아니라 튀김이라는 의미 또한 갖고 있다.


급수


용례


유의자

  • (하늘 건)
  • (하늘 궁)
  • (하늘 민)
  • (하늘 민)
  • (하늘 호)


상대자


비슷한 한자

  • (없을 무)
  • (화살 시)
  • (잃을 실)
  • (일찍 죽을 요)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