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 43번째 줄: | 43번째 줄: | ||
삼국사기 신라 문무왕 본기에 666년 12월 고구려에서 지위가 높은 신하인 연정토(淵淨土)가 항복해왔다고 했는데,<ref>[https://db.history.go.kr/common/compareViewer.do?levelId=sg_006r_0020_0620&type=ancient 삼국사기 > 신라본기 제6 > 문무왕(文武王) > 연정토가 항복하다] 한국사데이터베이스</ref> | 삼국사기 신라 문무왕 본기에 666년 12월 고구려에서 지위가 높은 신하인 연정토(淵淨土)가 항복해왔다고 했는데,<ref>[https://db.history.go.kr/common/compareViewer.do?levelId=sg_006r_0020_0620&type=ancient 삼국사기 > 신라본기 제6 > 문무왕(文武王) > 연정토가 항복하다] 한국사데이터베이스</ref> | ||
《신당서(新唐書)》에 개소문(蓋蘇文)의 동생으로 정토(淨土)가 나온다.<ref>[https://ctext.org/wiki.pl?if=gb&res=182378 《신당서(新唐書)》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 "蓋蘇文弟凈土"로 검색</ref> 천정토(泉淨土)와 연정토(淵淨土)는 동일인으로 | 《신당서(新唐書)》에 개소문(蓋蘇文)의 동생으로 정토(淨土)가 나온다.<ref>[https://ctext.org/wiki.pl?if=gb&res=182378 《신당서(新唐書)》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 "蓋蘇文弟凈土"로 검색</ref> 천정토(泉淨土)와 연정토(淵淨土)는 동일인으로 볼만한데다 성의 글자를 바꾸어 적을만한 타당한 근거도 있으므로 개소문의 원래 성씨는 천(泉) 아닌 연(淵)이라 주장이 정설로 자리잡게 된 것이다. | ||
[[김부식]]이 삼국사기에서 형제간의 성씨를 다르게 쓴 것으로 보아 그는 연정토(淵淨土)가 개소문(蓋蘇文)의 동생이라는 인식이 없었던 듯하다. | [[김부식]]이 삼국사기에서 형제간의 성씨를 다르게 쓴 것으로 보아 그는 연정토(淵淨土)가 개소문(蓋蘇文)의 동생이라는 인식이 없었던 듯하다. | ||
2025년 11월 5일 (수) 16:24 판
고구려 말기의 대막리지.
쿠데타로 집권해서 왕(영양왕)을 시해한 역적이라는
전통적 평가와
당나라와의 전쟁을 승리로 이끈 민족적 영웅이라는 상반된 평가가 있다.
그의 사후 그의 권력을 이은 그의 아들들이 서로 골육상쟁 내분을 일으켜 고구려가 망했기에,
연개소문은 고구려가 망하는 데 책임이 크다고 밖에는 볼 수 없다.
당태조 이연의 연 자 피휘때문인지 오랫동안 천개소문이라고 불리고 기록되어 있었다.
현대에서는 연개소문의 성씨가 천이 아니라 연이 었다는 게 학계의 정설이다.
삼국사기나 삼국유사 모두 부정적인 서술이 많다.
삼국사기에서 열전에서 역신 편으로 분류 했고, 연개소문이 평소 성격이 포악하고 잔인했다고 기술 하고 있다.
(아버지의 막리지 벼슬을 세습해야 하는데, 평소 연개소문의 포악한 성격을 아는 신하들이 모두 반대해서 연개소문이 읍소를 하자
연민을 느낀 신하들이 허락을 했다고 쓰고 있다. )
불교 승려인 일연이 지은 삼국유사에서는 연개소문이 중국에서 도교를 도입해서 고구려가 망했다고 까고 있고,
(도교와 불교는 중국에서 부터 사이가 매우 좋지 않았다.)
수양제의 신하가 고구려에 복수하기 위해 연개소문으로 환생했다는 이야기를 적어 놓기도 했다.
1. 성을 연(淵)씨로 보는 근거
삼국사기나 중국의 사서에는 그의 이름이 개소문(蓋蘇文)이나 개금(蓋金) 또는 개금(盖金)이라고도 하고, 성이 천(泉)씨로 기록되어 있다.
그의 성이 원래 연(淵)씨이나 당 고조 이연(李淵)의 이름을 피휘(避諱)하기 위해 천(泉)으로 바꾸어 적었다는 주장은 조선 후기 역사학자 안정복이 처음 내놓았다.
삼국사기 신라 문무왕 본기에 666년 12월 고구려에서 지위가 높은 신하인 연정토(淵淨土)가 항복해왔다고 했는데,[1]
《신당서(新唐書)》에 개소문(蓋蘇文)의 동생으로 정토(淨土)가 나온다.[2] 천정토(泉淨土)와 연정토(淵淨土)는 동일인으로 볼만한데다 성의 글자를 바꾸어 적을만한 타당한 근거도 있으므로 개소문의 원래 성씨는 천(泉) 아닌 연(淵)이라 주장이 정설로 자리잡게 된 것이다.
김부식이 삼국사기에서 형제간의 성씨를 다르게 쓴 것으로 보아 그는 연정토(淵淨土)가 개소문(蓋蘇文)의 동생이라는 인식이 없었던 듯하다.
2. 각주
- ↑ 삼국사기 > 신라본기 제6 > 문무왕(文武王) > 연정토가 항복하다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 《신당서(新唐書)》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 "蓋蘇文弟凈土"로 검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