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번째 줄: 10번째 줄:
중장년층 여성의 경우 경력을 '''스스로''' 그만두고 아르바이트를 전전하며 남편과 함께 노후를 준비하기도하고, 남성의 경우 이공계, 중노동, 경찰 및 소방관을 비롯해서 고강도의 노동이나 노력이 필요하나 보상이 높은 직업을 선호하는 반면, 여성의 경우 상대적으로 간호학과, 교사, 공무원같이 안정적이고 고정적인 직장을 선호하는 경향성이 있다.<br>
중장년층 여성의 경우 경력을 '''스스로''' 그만두고 아르바이트를 전전하며 남편과 함께 노후를 준비하기도하고, 남성의 경우 이공계, 중노동, 경찰 및 소방관을 비롯해서 고강도의 노동이나 노력이 필요하나 보상이 높은 직업을 선호하는 반면, 여성의 경우 상대적으로 간호학과, 교사, 공무원같이 안정적이고 고정적인 직장을 선호하는 경향성이 있다.<br>
[[남녀임금격차]]는 생물학적 차이에의한 경향성에서 비롯한것이지 유리천장과같은 제도적 차별에 의한것이 아니다.
[[남녀임금격차]]는 생물학적 차이에의한 경향성에서 비롯한것이지 유리천장과같은 제도적 차별에 의한것이 아니다.
== 연관 문서 ==
[[사회계급론]]<br>[[한국형 페미니즘]]<br>[[네오막시즘]]


[[분류:페미니즘]][[분류:용어해설]]
[[분류:페미니즘]][[분류:용어해설]]

2019년 7월 26일 (금) 23:05 판

琉璃天障
Glass ceiling

개요

충분한 능력을 갖춘 사람 특히 여성이 여성이라는 이유로 직장에 취직을 못하거나 고위직을 맡지 못하는 상황이 있다는 이론 혹은 미신적인 믿음이다. 여기서 '천장'은 승진을 방해하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실존하는가

중장년층 여성의 경우 경력을 스스로 그만두고 아르바이트를 전전하며 남편과 함께 노후를 준비하기도하고, 남성의 경우 이공계, 중노동, 경찰 및 소방관을 비롯해서 고강도의 노동이나 노력이 필요하나 보상이 높은 직업을 선호하는 반면, 여성의 경우 상대적으로 간호학과, 교사, 공무원같이 안정적이고 고정적인 직장을 선호하는 경향성이 있다.
남녀임금격차는 생물학적 차이에의한 경향성에서 비롯한것이지 유리천장과같은 제도적 차별에 의한것이 아니다.

연관 문서

사회계급론
한국형 페미니즘
네오막시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