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신미(信眉)는 조선 초의 고승이다. 세종, 문종, 세조 등 세 왕의 존숭을 받았으며, 불경 언해와 간행에도 많은 기여를 하였다.
'''신미(信眉)'''는 조선 초의 고승이다. 세종, 문종, 세조 등 세 왕의 존숭을 받았으며, 불경 언해와 간행에도 많은 기여를 하였다.


===신미(信眉)는 누구인가?===
===생애===
신미(信眉)<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2956 신미(信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한국학중앙연구원</ref>는 조선초의 저명한 스님이다. 속명이 김수성(金守省)이며, 충청도 황간현 출신으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9568 김수온(金守溫, 1410~1481)]의 형이다. 세조가 스승으로 모시던 스님이고, 배불적이던 세종이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0354 소헌왕후(昭憲王后, 1395~1446)]가 세상을 떠나면서 불교에 귀의하여 스승으로 받들었다. 이처럼 신미는 왕들의 스승으로, 천대받던 스님이 전혀 아니고, 그에 대한 기록도 무수히 많이 남아 있다.
신미(信眉)<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2956 신미(信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한국학중앙연구원</ref>는 영동(영산) 김씨로 속명이 김수성(金守省)이며, 충청도 황간현 출신이다. 정확한 생졸년은 불명이나 동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9568 김수온(金守溫, 1410~1481)]보다는 먼저 태어났고, 1480년경까지 생존해 있었다.  
 
세조가 스승으로 모시던 스님이고, 배불적이던 세종이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0354 소헌왕후(昭憲王后, 1395~1446)]가 세상을 떠나면서 불교에 귀의하여 스승으로 받들었다. 이처럼 신미는 왕들의 스승으로, 천대받던 스님이 전혀 아니고, 그에 대한 기록도 무수히 많이 남아 있다.


또 훈민정음은 1443년 창제, 1446년 반포인데, 세종실록과 문종실록에 의하면 세종이 신미(信眉)를 처음 안 것은 병인년(1446년)이다.<ref>[http://sillok.history.go.kr/id/kda_12805027_002 세종실록 112권, 세종 28년 5월 27일 갑오 2번째기사 1446년 명 정통(正統) 11년 승도들을 모아 경을 대자암에 이전하다]</ref><ref>[http://sillok.history.go.kr/id/kea_10004006_002#footnote_view1 문종실록 1권, 문종 즉위년 4월 6일 기묘 2번째기사 1450년 명 경태(景泰) 1년 영의정 하연 등과 신미의 관직 제수와 영응 대군의 거처 등을 의논하다]</ref> 따라서 신미는 한글 창제와는 아무 관련이 없다. 다만 한글을 가장 빨리 익혔던 모양으로 세조 때 불경 언해 사업에 많이 관여하였고, 당시 간경도감에서 간행한 불서에 신미의 이름이 수도 없이 나온다.  
또 훈민정음은 1443년 창제, 1446년 반포인데, 세종실록과 문종실록에 의하면 세종이 신미(信眉)를 처음 안 것은 병인년(1446년)이다.<ref>[http://sillok.history.go.kr/id/kda_12805027_002 세종실록 112권, 세종 28년 5월 27일 갑오 2번째기사 1446년 명 정통(正統) 11년 승도들을 모아 경을 대자암에 이전하다]</ref><ref>[http://sillok.history.go.kr/id/kea_10004006_002#footnote_view1 문종실록 1권, 문종 즉위년 4월 6일 기묘 2번째기사 1450년 명 경태(景泰) 1년 영의정 하연 등과 신미의 관직 제수와 영응 대군의 거처 등을 의논하다]</ref> 따라서 신미는 한글 창제와는 아무 관련이 없다. 다만 한글을 가장 빨리 익혔던 모양으로 세조 때 불경 언해 사업에 많이 관여하였고, 당시 간경도감에서 간행한 불서에 신미의 이름이 수도 없이 나온다.  

2019년 7월 27일 (토) 07:41 판

신미(信眉)는 조선 초의 고승이다. 세종, 문종, 세조 등 세 왕의 존숭을 받았으며, 불경 언해와 간행에도 많은 기여를 하였다.

생애

신미(信眉)[1]는 영동(영산) 김씨로 속명이 김수성(金守省)이며, 충청도 황간현 출신이다. 정확한 생졸년은 불명이나 동생 김수온(金守溫, 1410~1481)보다는 먼저 태어났고, 1480년경까지 생존해 있었다.

세조가 스승으로 모시던 스님이고, 배불적이던 세종이 소헌왕후(昭憲王后, 1395~1446)가 세상을 떠나면서 불교에 귀의하여 스승으로 받들었다. 이처럼 신미는 왕들의 스승으로, 천대받던 스님이 전혀 아니고, 그에 대한 기록도 무수히 많이 남아 있다.

또 훈민정음은 1443년 창제, 1446년 반포인데, 세종실록과 문종실록에 의하면 세종이 신미(信眉)를 처음 안 것은 병인년(1446년)이다.[2][3] 따라서 신미는 한글 창제와는 아무 관련이 없다. 다만 한글을 가장 빨리 익혔던 모양으로 세조 때 불경 언해 사업에 많이 관여하였고, 당시 간경도감에서 간행한 불서에 신미의 이름이 수도 없이 나온다.

신미는 속리산 법주사 부속 암자인 복천암에 주로 거주하였으며, 부도도 거기에 세워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