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생애)
12번째 줄: 12번째 줄:
세조가 스승으로 모시던 스님이고, 배불적이던 세종이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0354 소헌왕후(昭憲王后, 1395~1446)]가 세상을 떠나면서 불교에 귀의하여 스승으로 받들었다. 이처럼 신미는 왕들의 스승으로, 그에 대한 기록도 무수히 많이 남아 있다.
세조가 스승으로 모시던 스님이고, 배불적이던 세종이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0354 소헌왕후(昭憲王后, 1395~1446)]가 세상을 떠나면서 불교에 귀의하여 스승으로 받들었다. 이처럼 신미는 왕들의 스승으로, 그에 대한 기록도 무수히 많이 남아 있다.


신미는 속리산 법주사 부속 암자인 복천암(福泉庵)<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3721 복천암(福泉庵)]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에 주로 거주하였으며, 부도도 거기에 세워져 있다.
신미는 속리산 법주사 부속 암자인 복천암(福泉庵)<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3721 복천암(福泉庵)]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에 주로 거주하였으며, 부도도 거기에 세워져 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3722 보은 법주사 복천암 수암화상탑(報恩法住寺福泉庵秀庵和尙塔)]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한글 창제에 관여했나?==
==한글 창제에 관여했나?==

2019년 7월 27일 (토) 08:29 판

신미(信眉)는 조선 초의 고승이다. 세종, 문종, 세조 등 세 왕의 존숭을 받았으며, 불경 언해와 간행에도 많은 기여를 하였다.

혜각존자 신미 진영 (慧覺尊者 信眉 眞影). 우측에 선교도총섭 밀전정법 비지쌍운 우국이세 원융무애 혜각존자(禪敎都摠攝 密傳正法 悲智雙運 祐國利世 圓融無碍 慧覺尊者)라는 법호가 적혀있다.

생애

  • 신미(信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한국학중앙연구원


신미(信眉)는 영동(영산) 김씨로 속명이 김수성(金守省)이며, 충청도 황간현 출신이다. 정확한 생졸년은 불명이나 동생 김수온(金守溫, 1410 ~ 1481)보다는 먼저 태어났고, 1480년경까지 생존해 있었다.

행장이나 비문이 남아있지 않아 그의 초기 행적은 불명이다. 그의 정확한 출가 연도도 알 수 없으나, 어렸을 때 출가했을 가능성이 크다. 여러 행적으로 보아 함허 기화(涵虛 己和, 1376~1433)의 제자로 추정되지만, 『함허화상어록(涵虛和尙語錄)』에 나오는 제자 명단에 그의 이름은 없다.

세조가 스승으로 모시던 스님이고, 배불적이던 세종이 소헌왕후(昭憲王后, 1395~1446)가 세상을 떠나면서 불교에 귀의하여 스승으로 받들었다. 이처럼 신미는 왕들의 스승으로, 그에 대한 기록도 무수히 많이 남아 있다.

신미는 속리산 법주사 부속 암자인 복천암(福泉庵)[1]에 주로 거주하였으며, 부도도 거기에 세워져 있다.[2]

한글 창제에 관여했나?

신미가 한글 창제의 주역이라는 주장은 주로 불교계 주변에서 나왔다. 일찍 몇몇 사람들이 한글이 범어(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한다는 주장을 한 바 있고, 신미가 범어에 능통했기 때문이다. 다른 근거도 제시되고 있으나 모두 정황적인 추정일 뿐이고, 그가 한글 창제에 참여했다는 직접적인 기록은 없다.

신미의 출신 가문인 영산 김씨(永山 金氏) 족보에는 신미가 출가하기 전에 집현전 학사로 있었다는 기록이 있고 [‘집현원학사(集賢院學士)’로 ‘세종의 총애를 받았다(得寵於世宗)’], 이것도 그가 한글 창제에 간여했다는 증거라고 제시된다. 하지만, 집현전 학사들의 이름은 대체로 알려져 있는데, 그가 실제로 집현전 학사였을 가능성은 별로 없는 것 같다.

또 훈민정음은 1443년 창제, 1446년 반포인데, 세종실록과 문종실록에 의하면 세종이 신미(信眉)를 처음 안 것은 병인년(1446년)이다.[3][4] 따라서 신미는 한글 창제와는 아무 관련이 없다. 다만 한글을 가장 빨리 익혔던 모양으로 세조 때 불경 언해 사업에 많이 관여하였고, 당시 간경도감에서 간행한 불서에 신미의 이름이 수도 없이 나온다.

조선 왕들과의 관계

세종

함께 보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