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개요== 여성할당제는 정치·경제·교육·고용 등 각 부문에서 채용이나 승진시 능력과 상관없이 여성이라면 일정한 비율을 강제로 할당...)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개요==
여성할당제는 정치·경제·교육·고용 등 각 부문에서 채용이나 승진시 능력과 상관없이 여성이라면 일정한 비율을  강제로 할당하는 제도이다. 서유럽과 북유럽, 미국의 경우 경제적으로 타격을 입으면서 폐지가 논의되고있다. 여성고용할당제·젠더쿼터시스템(gender quota system)이라고도 한다.
여성할당제는 정치·경제·교육·고용 등 각 부문에서 채용이나 승진시 능력과 상관없이 여성이라면 일정한 비율을  강제로 할당하는 제도이다. 서유럽과 북유럽, 미국의 경우 경제적으로 타격을 입으면서 폐지가 논의되고있다. 여성고용할당제·젠더쿼터시스템(gender quota system)이라고도 한다.
여성할당제는 과거 능력있는 여성의 사회진출이 불가능했던 시대에 남성과 마찬가지의 기회를 제공하기위한 시정조치였으나, 현재는 [[여성단체]]의 배를 불리는 역할밖에 안되고 노르웨이의 경우 능력이 있는 남성들이 발탁되지 못하고 기업이 경제난을 겪는 등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이 많다.


[[분류:포퓰리즘]][[분류:정책]][[분류:공산주의]][[분류:사회주의]][[분류:페미니즘]]
[[분류:포퓰리즘]][[분류:정책]][[분류:공산주의]][[분류:사회주의]][[분류:페미니즘]]

2019년 7월 29일 (월) 10:41 판

개요

여성할당제는 정치·경제·교육·고용 등 각 부문에서 채용이나 승진시 능력과 상관없이 여성이라면 일정한 비율을 강제로 할당하는 제도이다. 서유럽과 북유럽, 미국의 경우 경제적으로 타격을 입으면서 폐지가 논의되고있다. 여성고용할당제·젠더쿼터시스템(gender quota system)이라고도 한다.

여성할당제는 과거 능력있는 여성의 사회진출이 불가능했던 시대에 남성과 마찬가지의 기회를 제공하기위한 시정조치였으나, 현재는 여성단체의 배를 불리는 역할밖에 안되고 노르웨이의 경우 능력이 있는 남성들이 발탁되지 못하고 기업이 경제난을 겪는 등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