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8번째 줄: 8번째 줄:
* [https://www.youtube.com/watch?time_continue=1&v=wKQwYqWWRkk 우리 안의 사대주의] 이승만TV 2019. 7. 14.
* [https://www.youtube.com/watch?time_continue=1&v=wKQwYqWWRkk 우리 안의 사대주의] 이승만TV 2019. 7. 14.
<center><youtube>https://youtu.be/wKQwYqWWRkk</youtube></center>
<center><youtube>https://youtu.be/wKQwYqWWRkk</youtube></center>
=='소중화(小中華)'를 완성한 리영희의 제자들==
* [https://www.youtube.com/watch?v=OT3Ro5yCTV4 '소중화(小中華)'를 완성한 리영희의 제자들!!] 문갑식의 진짜 TV 2019.12.26
<center><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OT3Ro5yCTV4</youtube></center>
* 김광동, [http://www.future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181 친중사대(親中事大)는 조선과 북조선체제의 연장] 미래한국 2016.09.01
{{인용문|[[노무현]] 대통령은 모택동을 가장 존경한다고 했다. 좌파들이 가장 존경하는 리영희가 쓴 <전환시대의 논리>를 보면 그들 모두는 모택동주의자였다. 중국인이 직면했던 노예와 같은 삶과 집단처형과 학살 같은 사실은 보지 않고 존경을 표하고 모델로 삼겠다는 것이 바로 시대착오의 전형이자 대한민국 미래에 대한 위협이다.}}





2019년 12월 26일 (목) 15:28 판

소중화 의식(小中華 意識)은 조선이 중화 문명(中華文明)에 비등한 수준의 문화를 가지고 있다거나, 명(明)나라 멸망 후 조선이 중화 문명과 성리학적 세계관의 유일한 계승자라는 지식인들의 인식을 표현한 말이다.

개요

  • 소중화 의식 우리역사넷 : 교과서 용어 해설 > 유형별 > 개념용어
  • 17세기 지식인의 소중화 의식 우리역사넷 : 한국문화사 > 29권 조선이 본 일본 > 제2장 조선 후기의 대외관과 일본 인식 > 3. 조선 후기 대외관의 전개 양상

'소중화(小中華)'를 완성한 리영희의 제자들


노무현 대통령은 모택동을 가장 존경한다고 했다. 좌파들이 가장 존경하는 리영희가 쓴 <전환시대의 논리>를 보면 그들 모두는 모택동주의자였다. 중국인이 직면했던 노예와 같은 삶과 집단처형과 학살 같은 사실은 보지 않고 존경을 표하고 모델로 삼겠다는 것이 바로 시대착오의 전형이자 대한민국 미래에 대한 위협이다.


함께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