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Kim-children.jpg|320픽셀|섬네일|오른쪽|[[김경희|김경희(1946.05.30~ )]]의 백일 기념 가족 사진. [[김일성]]김정숙(金正淑, 1917~1949) 및 3자녀가 모두 함께 찍은 유일한 사진으로 보인다. 왼쪽부터 김정숙, 김정일, 김경희, 김일성, 김정일의 남동생 슈라<ref name="shura">[https://ko.wikipedia.org/wiki/김만일 김만일] - 위키백과</ref>. 맨 오른쪽 여자는 유모인 것 같다. 해방 직후 김일성의 집에서 가정부로 있었던 일본인 여성 고바야시 가즈코(小林和子)일 가능성이 있다.<ref name="koba">小林和子(旧姓:萩尾) 著, [http://dir.yourpedia.org/wiki/%E9%87%91%E6%97%A5%E6%88%90#.E6.97.A5.E6.9C.AC.E4.BA.BA.E5.A5.B3.E6.80.A7.E3.81.8C.E8.A6.8B.E3.81.9F.E9.87.91.E6.97.A5.E6.88.90 『나는 김일성 수상의 하녀였다 (私は金日成首相の小間使いだった)』] : 奥村芳太郎編, [http://archive.history.go.kr/id/AJP002_14_00B1655 在外邦人引揚の記録 ― この祖国への切なる慕情], (毎日新聞社, 1970)에 수록되어 있다.</ref>]]
[[파일:1941 남야영의 김일성.jpg|300픽셀|섬네일|오른쪽|1941년 소련 연해주 [[김정일 생가|라즈돌노예]] 마을 남야영의 김일성-김정숙 부부. 오른쪽 맨 앞의 비스듬히 누운 사람이 [[김일성]]이고, 앞줄 여자 4명중 오른쪽에서 두번째가 김정숙 (1917년)|김정숙(金正淑, 1917~1949), 세번째가 황순희(黃順姬, 1919 ~ 2020), 네번째가 김철호([[최현|崔賢]]의 처)이다. 이들은 북한을 점령한 소련군이 쥐어준 권력으로 김일성 일족 세습전제왕조를 만들어 인민들을 70년 이상 노예로 부려왔다.]]


'''김정숙'''(金正淑, 金貞淑, 1917년 12월 24일 ~ 1949년 9월 22일)은 [[김일성]]의 처이고, [[김정일]]의 어머니, [[김정은]]의 할머니이다. 김일성이 만주서 소련으로 도주하기 직전인 1940년 가을에 결혼하였다. 장남 [[김정일|김정일(유라)]], 차남 슈라<ref name="shura"/>, 장녀 [[김경희]]의 생모이다. 김일성은 김정숙 생전에 나중에 후처가 된 김성애(金聖愛)와 바람을 피워 가정 불화가 심했다고 한다. 이 때문에 [[김정일]]이 계모 김성애를 극도로 증오하여 [[김일성]] 사망 후 연금하다시피 하고, 감시하게 했다고 한다.<ref>[https://www.yna.co.kr/view/AKR20181227070051504 北노동당 '금고지기'에 한광상…김일성 부인 김성애 2014년 사망(종합)] 연합뉴스 2018-12-27 16:47 : 1928년생이라는 설도 있다고 함.</ref><ref>[https://news.joins.com/article/23241750 통일부 “김정일 의붓 어머니, 김성애 2014년 사망”] 중앙일보 2018.12.27</ref><ref>[https://www.rfa.org/korean/weekly_program/ae40c528-c77cac00c758-ac70c9d3acfc-c9c4c2e4/co-jj-09182012095814.html <nowiki>[김씨 일가의 실체]</nowiki> 김일성의 부인 김성애 실성하다] RFA 2012-09-18</ref>
'''김정숙'''(金正淑, 金貞淑, 1917년 12월 24일 ~ 1949년 9월 22일)은 [[김일성]]의 처이고, [[김정일]]의 어머니, [[김정은]]의 할머니이다. 김일성이 만주서 소련으로 도주하기 직전인 1940년 가을에 결혼하였다. 장남 [[김정일|김정일(유라)]], 차남 슈라<ref name="shura"/>, 장녀 [[김경희]]의 생모이다. 김일성은 김정숙 생전에 나중에 후처가 된 김성애(金聖愛)와 바람을 피워 가정 불화가 심했다고 한다. 이 때문에 [[김정일]]이 계모 김성애를 극도로 증오하여 [[김일성]] 사망 후 연금하다시피 하고, 감시하게 했다고 한다.<ref>[https://www.yna.co.kr/view/AKR20181227070051504 北노동당 '금고지기'에 한광상…김일성 부인 김성애 2014년 사망(종합)] 연합뉴스 2018-12-27 16:47 : 1928년생이라는 설도 있다고 함.</ref><ref>[https://news.joins.com/article/23241750 통일부 “김정일 의붓 어머니, 김성애 2014년 사망”] 중앙일보 2018.12.27</ref><ref>[https://www.rfa.org/korean/weekly_program/ae40c528-c77cac00c758-ac70c9d3acfc-c9c4c2e4/co-jj-09182012095814.html <nowiki>[김씨 일가의 실체]</nowiki> 김일성의 부인 김성애 실성하다] RFA 2012-09-18</ref>
30번째 줄: 30번째 줄:


==갤러리==
==갤러리==
<gallery widths="410px" heights="280px">
<gallery widths="350px" heights="350px">
파일:김경희 2020-01-25.png|설날인 2020-01-25 공개석상에 등장한 김경희. 2013년 12월 남편 장성택이 처형 당한 후 처음 공개 석상에 나왔다.<ref>[https://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1/26/2020012600171.html 김정은 고모 김경희, 남편 장성택 처형 6년여만에 공개활동] - 조선일보 2020-01-26</ref>
파일:1941-03-01 남야영 시절의 김일성과 김정숙.jpg|남야영 시절의 김일성과 김정숙 : 김일성 회고록 세기와 더불어 제8권 (계승본)에 나오는 사진이다. 김일성 자필로 1941년 3월 1일 B 야영(남야영)에서 찍은 사진이라고 써 놓았다. 1941년 2월 16일 김정일 출생 13일 뒤의 사진이다. 조작된 사진이라는 주장도 있지만, 김일성 자필로 당시 그가 남야영에 있었다고 적어놓았으니 김정일이 1941년 2월 16일 남야영(하마탄, 라즈돌노예) 출생이라는 움직일 수 없는 증거이다.
파일:김정일과 김경희.jpg|백두산 삼지연의 [[김일성]] 동상 앞에 선 김정일과 동생 김경희.
파일:Kim-children.jpg|[[김경희|김경희(1946.05.30~ )]]의 백일 기념 가족 사진. [[김일성]]과 김정숙(金正淑, 1917~1949) 및 3자녀가 모두 함께 찍은 유일한 사진으로 보인다. 왼쪽부터 김정숙, 김정일, 김경희, 김일성, 김정일의 남동생 슈라<ref name="shura">[https://ko.wikipedia.org/wiki/김만일 김만일] - 위키백과</ref>. 맨 오른쪽 여자는 유모인 것 같다. 해방 직후 김일성의 집에서 가정부로 있었던 일본인 여성 고바야시 가즈코(小林和子)일 가능성이 있다.<ref name="koba">小林和子(旧姓:萩尾) 著, [http://dir.yourpedia.org/wiki/%E9%87%91%E6%97%A5%E6%88%90#.E6.97.A5.E6.9C.AC.E4.BA.BA.E5.A5.B3.E6.80.A7.E3.81.8C.E8.A6.8B.E3.81.9F.E9.87.91.E6.97.A5.E6.88.90 『나는 김일성 수상의 하녀였다 (私は金日成首相の小間使いだった)』] : 奥村芳太郎編, [http://archive.history.go.kr/id/AJP002_14_00B1655 在外邦人引揚の記録 ― この祖国への切なる慕情], (毎日新聞社, 1970)에 수록되어 있다.</ref>
</gallery>
</gallery>



2020년 1월 26일 (일) 14:08 판

김정숙(金正淑, 1917~1949), 세번째가 황순희(黃順姬, 1919 ~ 2020), 네번째가 김철호(崔賢의 처)이다. 이들은 북한을 점령한 소련군이 쥐어준 권력으로 김일성 일족 세습전제왕조를 만들어 인민들을 70년 이상 노예로 부려왔다.

김정숙(金正淑, 金貞淑, 1917년 12월 24일 ~ 1949년 9월 22일)은 김일성의 처이고, 김정일의 어머니, 김정은의 할머니이다. 김일성이 만주서 소련으로 도주하기 직전인 1940년 가을에 결혼하였다. 장남 김정일(유라), 차남 슈라[1], 장녀 김경희의 생모이다. 김일성은 김정숙 생전에 나중에 후처가 된 김성애(金聖愛)와 바람을 피워 가정 불화가 심했다고 한다. 이 때문에 김정일이 계모 김성애를 극도로 증오하여 김일성 사망 후 연금하다시피 하고, 감시하게 했다고 한다.[2][3][4]

생애


김일성과 결혼

김일성은 1940년 10월 23일 만주에서 소련으로 불법 월경하여 들어가기 직전에 김정숙과 결혼하였다. 김일성과 소련 월경을 동행하였던 서순옥(徐順玉)은 당시의 정황을 다음과 같이 증언하였다.[5]

“1940년 8월에 김일성, 강위룡 등 우리 16명은 소련으로 향하여 떠났다. 소련 땅에 들어서기 전에 훈춘의 어느 산곡대기에 서 김일성과 김정숙의 혼례를 하였는데 혁명가를 부르며 오락을 진행하였다. 김일성, 강위룡 등 우리 16명 유격대 전사들은 소련땅에 들어선 다음 김일성 동지가 강위룡과 다른 한 동무를 파견하여 소련 변방 전사들에게 체포당하라고 지시하였다. 체포된 다음에 정황을 소련 당조직에 알리자는 계획인 것 같았다. 그리하여 우리는 체포되어 땅굴 감옥에 감금되었다.”[6]

김일성과의 결혼 배경

만주 유격대 시절 김일성에게는 김혜순(金惠順)이라는 처가 있었고, 김정숙은 김일성의 부하 지갑룡(池甲龍)의 처였다. 그런데 1940년 4월 김혜순이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김일성과 헤어지게 된다[7][8][9]. 또 지갑룡은 모종의 임무를 띄고 부대에서 파견나갔다가 기한이 되어도 돌아오지 않자 죽은 것으로 잘못 알려지게 된다. 이렇게 해서 짝을 잃은 김일성과 김정숙이 결혼하게 된 것이라 한다. 그러나 소련으로 넘어간 뒤 지갑룡이 돌아와보니 김정숙은 이미 김일성과 결혼해 있어, 그꼴을 보면서 같은 부대에 있을 수가 없어 1941년 4월 김일성과 함께 만주로 일시 파견나왔다가 부대로 돌아가지 않고 잠적하였다고 한다.[8][10]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던 김일성의 전처 김혜순은 이후 다른 사람과 결혼했다가 해방 후 북한으로 왔으며, 1994년 김일성 사망 때까지 평양에 생존해 있었다.[11]

사망 원인

김정숙의 사인은 병사(病死)라는 설[12], 아기를 낳다 난산으로 죽었다는 설[13], 김성애와의 관계에 대해 항의하다 임신 중에 김일성에게 배를 차여 죽게 되었다는 설[14], 김성애로 인한 가정불화로 자살했다는 설[15] 등 여러 주장이 있으나 어느 것도 확실하지 않다.

김정숙이 사망했을 당시 남한 신문들은 평양방송을 인용하여 단순히 병사라고 보도했다.

기사 이미지 보기
김일성 처(金日成妻) 병사(病死)
<서울 二十三日發 로이타 合同> 23일(二十三日) 밤 평양방송(平壤放送)에 의(依)하면 북한 괴뢰집단 수상(北韓傀儡集團首相) 김일성(金日成)의 처(妻)가 병사(病死)하였다 한다. 그런데 북한공산당(北韓共産黨) 지도자(指導者) 김일성(金日成)은 한국(韓國)이 일본(日本)에 점령(占領) 당(當)하엿을 때 항일전(抗日戰)을 전개(展開)한 위대(偉大)한 한국(韓國)의 애국자(愛國者)의 성명(姓名)을 사칭(詐稱)한 것이다.


갤러리


함께 보기

각주

  1. 1.0 1.1 김만일 - 위키백과
  2. 北노동당 '금고지기'에 한광상…김일성 부인 김성애 2014년 사망(종합) 연합뉴스 2018-12-27 16:47 : 1928년생이라는 설도 있다고 함.
  3. 통일부 “김정일 의붓 어머니, 김성애 2014년 사망” 중앙일보 2018.12.27
  4. [김씨 일가의 실체] 김일성의 부인 김성애 실성하다 RFA 2012-09-18
  5. 서재진, 《김일성 항일무장투쟁의 신화화 연구》 통일연구원 연구총서 2006-11 pp.206~207
  6. 박창욱 교수 및 권립 교수 인터뷰; 신주백, 《김일성의 만주항일유격운동에 대한 연구》 p. 183.
  7. 제2방면군장 김일성의 처 김혜순이 체포되어 전향했다는 1940년 7월 5일자 조선일보 기사.
  8. 8.0 8.1 장해성, 인간의 운명 : (김일성의 여자, 김정숙 그리고 김혜순의 이야기) NK-PEN 2014-06-28 : Archived 2018.11.06
  9. [생생토크 평양수다] 北, 크리스마스 어떻게 보내나? TV조선 2013. 12. 25 : 김일성 전처 김혜순에 대한 장해성의 이야기가 나옴.
  10. 유순호, 《김일성 평전 하권》, 출간 예정
  11. 문명자(1930 ~ 2008), 《항일무장투쟁 여전사 박정숙, 김혜순 인터뷰 : 나의 사령관 김일성 장군》 월간 말 1994년도 9월호(통권 99호), 1994.9, pp.46-48
  12. 6.25北(북)에서 본 證言(증언) <16> 제4부 開戰準備(개전준비) 진행 (1949년) 1980.07.03. 경향신문 3면
  13. 金日成 전속 간호부 趙玉姬, 체포 후 기자회견 부산일보 1951년 03월 01일
  14. 김일성에게 배를 걷어차여 숨진 본처 김정숙 premium.chosun 2014.09.24
  15. "「金正日(김정일) 백두산出生(출생)」은 거짓말" : 蘇(소)「콤소몰스카야 프라브다」紙(지) 보도 1991.12.26 동아일보 15면
  16. 小林和子(旧姓:萩尾) 著, 『나는 김일성 수상의 하녀였다 (私は金日成首相の小間使いだった)』 : 奥村芳太郎編, 在外邦人引揚の記録 ― この祖国への切なる慕情, (毎日新聞社, 1970)에 수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