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대명천지 숭정일월'''(大明天地 崇禎日月)은 조선후기 사대부들의 망하고 없는 중국 명(明)나라에 대한 끝없는 흠모를 요약 표현한 말이다.  
'''대명천지 숭정일월'''(大明天地 崇禎日月)은 조선후기 사대부들의 망하고 없는 중국 명(明)나라에 대한 한없는 흠모를 요약 표현한 말이며, 바위에 각자로 새겨져 남아있다.  


==대명천지 숭정일월(大明天地 崇禎日月) 각자==
==대명천지 숭정일월(大明天地 崇禎日月) 각자==

2019년 1월 20일 (일) 13:21 판

대명천지 숭정일월(大明天地 崇禎日月)은 조선후기 사대부들의 망하고 없는 중국 명(明)나라에 대한 한없는 흠모를 요약 표현한 말이며, 바위에 각자로 새겨져 남아있다.

대명천지 숭정일월(大明天地 崇禎日月) 각자

이 각자는 송시열(宋時烈, 1607~1685)이 화양동 계곡에 새긴 것이 널리 알려져 있으나, 채득기(蔡得沂, 1604~1645)가 새긴 것이 시기적으로 그보다 약간 앞서는 것 같다.

채득기(蔡得沂)가 새긴 상주 경천대 각자

송시열(宋時烈)이 새긴 화양동 계곡 각자


면암 최익현(崔益鉉)의 각자

항일지사로 알려진 면암 최익현(崔益鉉, 1834 ~ 1907)도 같은 취지의 표현을 약간 달리한 각자를 두 곳에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