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8년 9월 9일 공식 출범한 북한 정권 초대 내각의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1][2][3][4][5][6]
직책 | 성명 | 소속당 | 전력 | 비고 |
---|---|---|---|---|
수상(首相) | 김일성(金日成, 1912~1994) | 북로당 | 소련군 대위, 만주 빨치산 | 고령 사망 |
부수상(副首相) | 박헌영(朴憲英, 1900~1956?) | 남로당 | 일제하 공산주의 운동 | 숙청 처형 |
부수상(副首相) | 홍명희(洪命熹, 1888~1968) | 민주독립당 | 항일, 친일 | 고령 사망 |
부수상(副首相) | 김책(金策, 1903~1951) | 북로당 | 소련군, 만주 빨치산 | 의문사 |
국가기획위원회장(國家企劃委員會長) | 정준택(鄭準澤, 1911~1973) | 북로당 | 친일 전력 | 고령 사망 |
민족보위상(民族保衛相) | 최용건(崔庸健, 1900~1976) | 민주당 | 소련군, 만주 빨치산 | 고령 사망 |
국가검열상(國家檢閱相 국방상(國防相)) | 김원봉(金元鳳, 1898~1958) | 인민공화당 | 중국서 항일 운동 | 숙청 처형 |
내상(內相) | 박일우(朴一禹)[7] | 북로당 | 독립동맹 간부 | .... |
외상 겸임(外相 兼任) | 박헌영(朴憲英, 1900~1956?) | 남로당 | 일제하 공산주의 운동 | 숙청 처형 |
산업상 겸임(産業相 兼任) | 김책(金策, 1903~1951) | 북로당 | 소련군, 만주 빨치산 | 의문사 |
농림상(農林相) | 박문규(朴文圭, 1906~?) | 남로당 | .... | .... |
상상(商相) | 장시우(張時雨, 1891~1953) | 북로당 | .... | 숙청 처형 |
교통상(交通相) | 주영하(朱寧河, 1908~?) | 북로당 | .... | 숙청 |
재정상(財政相) | 최창익(崔昌益, 1896~1957) | 북로당 | 중국서 항일투쟁 | 숙청 처형 |
교육상(敎育相) | 백남운(白南雲, 1894~1979) | 前근로인민당 | .... | 고령 사망 |
체신상(遞信相) | 김정규(金정규) / 김정주(?) | 청우당 | .... | 숙청[8] |
사법상(司法相) | 이승엽(李承燁, 1905~1954) | 남로당 | .... | 숙청 처형 |
문화선전상(文化宣傳相) | 허정숙(許貞淑, 1902~1991) | 북로당 | .... | 고령 사망 |
노동상(勞動相) | 허성택(許成澤, 1908~?) | 남로당 | .... | .... |
보건상(保健相) | 이병남(李炳南, 1903~?) | 남로당 | .... | .... |
도시경영상(都市經營相) | 이용(李鏞, 1888~1954) | 신한민족당 | .... | .... |
무임소상(無任所相) | 이극로(李克魯, 1893~1978) | 어학회장 | .... | 고령 사망 |
- 체신상은 당시 남한 신문에는 김정규(金정규)로 나오나[2][3], 김정주로 기록한 곳이 많다.[5][9] 일제하 여성 공산주의 운동가로 일명 김정주(金貞柱)로 불렸던 고명자(高明子, 1904~?)와 동일 인물이라고 한 곳도 있으나 사실로 보기 어렵다. 탈북자가 올린 글에 그는 분명히 남자로 나오고, 이름도 김정규라 하였다.[8]
- 도시경영상은 당시 남한 신문에는 이영(李英)으로 나오나[2][3], 이용(李鏞)으로 기록한 곳이 많고, 이것이 맞다.[5][10] 이영(李英, 1889~1960)은 아니며, 이준(李儁)열사의 아들 이용(李鏞, 1888~1954)이다.
기타 요직
직책 | 성명 | 소속당 | 전력 | 비고 |
---|---|---|---|---|
최고인민회의(最高人民會議) 상임위원장[1][11] | 김두봉(金枓奉, 1891~1961?) | 북로당 | 중국서 항일투쟁 | 숙청 |
최고재판소 소장[4][5] | 김익선(金翊善) | 북로당 | .... | .... |
최고 검사총장[6] | 장해우(張海友, 1901~?)[12][13] | 북로당 | .... | .... |
... | ... | ... | ... | ... |
함께 보기
-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 북조선인민위원회
- 북한 내각 - 제1차 ~ 4차 내각 NK조선 2013-10-30
- 1949 The Korean Government Delegation's Visit to Moscow (Korean Version) Wilson Center Digital Archive
- 북한의 친일파 청산
- 김일성, 정권 잡으려 반대파 가차없이 숙청… 친일파가 득세 /“남로당 출신 등 학살하고 빨치산 동료 35% 박해 문화일보 : 2013년 08월 13일
- 北 초대내각, "'항일파' 아닌 '眞性 친일파' 집단" - 조선닷컴 2013. 8. 13
- 윤응렬(尹應烈) 장군 증언: "日軍출신 조종사들이 북한공군 창설에 대거 참여" 조갑제닷컴 2007-06-01
- 조갑제, 김일성 "친일파도 뉘우치면 중용" New Daily 2009.11.17
- 정진석, 북으로 간 언론인들의 비참한 말로 : 형장의 이슬로 사라져간 박헌영, 임화, 이승엽… 신동아 2010-02-03
- 남북한 초대내각의 친일성향 분석 이문호 (프라임칼럼 대표)
각주
- ↑ 1.0 1.1 北韓人民共和國(북한인민공화국) 首相(수상)에 金日成氏(김일성씨) 동아일보 1948-09-10 1면
- ↑ 2.0 2.1 2.2 北韓組閣完了(북한조각완료) 동아일보 1948-09-11 1면
- ↑ 3.0 3.1 3.2 金日成內閣(김일성내각) 組閣(조각)을完了(완료) 경향신문 1948-09-11 1면
- ↑ 4.0 4.1 북한 연표 : 1948년 09월 09일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 5.0 5.1 5.2 5.3 신편 한국사 52 대한민국의 성립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립 > 5) 헌법 제정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립 > (2) 북한에서의 분단정부 수립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 6.0 6.1 해외사료총서 10권 쉬띄꼬프일기 > 쉬띄꼬프 일기(번역) > 쉬띄꼬프 일기 Ⅳ부 > 1948년 8월 30일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 1947년 9월 16일자 38도선 경비에 대한 내무국장 박일우의 지시 러시아연방 국방성중앙문서보관소
- ↑ 8.0 8.1 "3대 망하는 묏자리"라고? 풍수에 빠진 북한
- ↑ 1949 The Korean Government Delegation's Visit to Moscow (Korean Version) Wilson Center Digital Archive
- ↑ 신진당(新進黨)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 國史館論叢 第96輯 > 북한 최고인민회의 연구(이주철) > Ⅲ. 상임위원회(상설회의) 분석 > 1. 상임위원회 위원장단(상설회의 의장단) 국사편찬위원회 2001-06-30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검사총장 장해우 평정서 발신자 레베데프, 1948.12.25
- ↑ 신편 한국사 52 대한민국의 성립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립 > 1) 해방 후 북한 각 지역의 인민위원회 수립과 소련군 주둔 > (2) 각 지역 인민위원회의 성립과 개편 국사편찬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