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불가][1]
북핵실험 일지[2]
실험명 | 날짜 | 중국지도자 | 비고 |
---|---|---|---|
제 1차 핵실험 | 2006년 10월 09일 | 후진타오 | 폭발력 1kt 추정, 히로시마의 1/6 수준 |
제 2차 핵실험 | 2009년 05월 25일 | 후진타오 | 폭발력 6kt 추정 |
제 3차 핵실험 | 2013년 02월 12일 | 후진타오 | 폭발력 6-16kt 추정 |
제 4차 핵실험 | 2016년 01월 06일 | 시진핑 | 수소폭탄, 폭발력 6-12tk 추정 |
광명성 4호 발사실험 | 2016년 02월 07일 | 시진핑 | 정상미사일 아님, 로켓으로 추정 |
제 5차 핵실험 | 2016년 09월 09일 | 시진핑 | 4차와 동일 |
화성 12형(kn-17) 발사실험 | 2017년 05월 14일 | 시진핑 | 사거리 4500km 추정 |
화성 14형(kn-20) 발사실험 | 2017년 07월 04일 | 시진핑 | 사거리 9000km 추정 |
제 6차 핵실험 | 2017년 09월 03일 | 시진핑 | 핵실험 성공 추정, 폭발력 50(한국)-250kt(미국) 추정 |
화성 15형(kn-22) 발사실험 | 2017년 11월 29일 | 시진핑 | 사거리 1만3000km 추정 |
북핵일지의 의미
상기 표에서 확인되듯 중공 시진핑 집권 이후 북한은 비약적인 유도탄 및 핵무기 기술발전을 이룸. 추론컨데 북한-중공간 긴밀한 기술협조가 이루졌음을 암시함. 현재 북한은 대기권 재진입기술에 대한 실험을 남겨 둔 상태임. 대기권 재진입 성공의 믜미는 동북아시아의 핵정글을 의미하는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