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본 파일(4,116 × 5,625 픽셀, 파일 크기: 1.32 MB, MIME 종류: application/pdf)

파일의 설명

모스크바 3상회의에서 결정한 한반도에 대한 신탁통치를 지지하는 이북 정당 사회단체 명의의 1946년 1월 2일자 성명서를 보도한 1월 14일자 민성일보(民聲日報) 1면 기사.

성명 발표에 참여한 인물들은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책임비서 김일성(金日成), 조선독립동맹 대표 김두봉(金枓奉),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 북부조선총국 위원장 문창형, 평남 농민위원회 위원장 이관옆, 여성총동맹 위원장 박정애(朴正愛), 민주청년동맹 위원장 방수영(方壽永) 등이다.

한반도에 대한 신탁통치안이 발표된 직후인 1945년 12월 말부터 이듬해 벽두까지 서울에서는 좌우익이 모두 신탁통치에 맹렬히 반대하였다. 그러나 1946년 1월 3일을 기점으로 좌익들은 돌연 찬탁으로 돌아서 신탁통치 반대운동은 좌우 대립양상으로 바뀌게 된다. 좌익들이 일제히 갑자기 태도를 돌변한 데는 소련의 지시가 있었다는 주장이 많으나 명백한 근거를 제시하기는 어려웠다. 그런데 1월 2일에 북한의 김일성 등이 발표한 위와 같은 성명서가 최근 발굴되었고, 아마도 이남 좌익들은 이 성명서를 소련의 의사로 파악하여 1월 3일을 기점으로 태도를 돌변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북한에서는 이 성명서 발표직후인 1월 5일 소련군이 신탁통치 반대를 굽히지 않는 조만식을 고려호텔에 감금하고, 우파들의 정치활동을 전면금지시켰으며, 2월초에는 김일성을 위원장으로하는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를 발족시켜 사실상 분단체제를 만들었다.

p.7의 민성일보(民聲日報) 1946년 1월 14일자 1면

1월 2일에 발표한 위 성명서의 간략한 요지는 것은 1949년 북한 내무성 보안 간부학교가 간행한 『해방 후 조선』이라는 책에도 나온다. 북한서 간행한 『해방후 3년간의 국내외 중요일지(解放後 三年間의 國內外 重要日誌) - 1945.8-1948.9』등에도 발표 사실이 나오지만, 성명서 전문을 수록한 북한 문헌은 알려진 것이 없다.

파일 역사

날짜/시간 링크를 클릭하면 해당 시간의 파일을 볼 수 있습니다.

날짜/시간크기사용자설명
현재2021년 9월 5일 (일) 12:204,116 × 5,625 (1.32 MB)JohnDoe (토론 | 기여)북한의_찬탁성명을 보도한 1946-01-14일자 민성일보 2면

메타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