ㄱ.ㄴ.ㄷ |
|
ㄹ.ㅁ |
|
ㅂ |
|
ㅅ |
|
ㅇ |
|
ㅈ.ㅊ.ㅋ |
|
ㅌ.ㅎ |
×
그로스톨코인 Groestlcoin GRS | |
설립년도 |
2014년 |
최초발생일 |
2014년 3월 22일 |
총발행한도 |
105,000,000 |
현재유통량 |
78,837,714 |
시가총액 |
957.1억원(21.11.25 기준) |
블럭생성주기 |
1분 |
블록조회 |
|
백서 |
|
웹사이트 |
개요
그로스톨코인(영어: Groestlcoin, GRS)는 암호화폐의 한 종류이이다. 최초발생일은 2014년 3월 22일이다.
- 블럭 생성주기 : 1분
- 현재유통량 : 78,837,714
- 시가 총액 : 957.1억원(21.11.25 기준)
특징
1. 보안이 상대적으로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압축된 해시 함수로서 압축 기능이 두개의 고정된 큰 순열을 사용해 압축되는데, 사용된 두개의 순열은 넓은 경로 설계 전략을 사용하여 생성된다. 이에 따라 해시 함수에 대한 공격이 훨씬 더 어려운 것으로 평가받다.
2. 그로스톨은 ASIC이 아닌 그래픽카드처리장치인 GPU를 통해 채굴된다. 때문에 그로스톨 채굴은 ASIC 채굴기를 따로 장만할 필요가 없이 개인이 적은 비용으로 쉽게 GPU를 통해 채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설명
그로스톨코인은 세그윗(SegWit)을 활성화한 최초의 코인으로 불린다. 세그윗은 'Segregated Witnesses'의 줄임말로, 거래 시 생성된 블록 내의 거래 데이터에서 서명 데이터만 따로 분리해 낸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블록 내 용량이 증가하는 효과가 나타나 상대적으로 더 많은 거래 처리가 가능하다. 그래서 네트워크 내에서 송금 속도는 더욱 빨라진다.
그로스톨(Grøstl)은 NIST(미국표준기술연구소)이 발표한 암호화 해시 알고리즘에 대응하여 설계된 새로운 암호 해시 함수로 덴마크의 기술 대학교(DTU)와 TU그라즈의 암호화 팀에 의해 고안됐다. 그로스톨은 이 대회에서 최종 다섯 후보 중 하나로, 이전 공모전에 제출한 원래 버전인 그레스톨-0를 수정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