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류 | 온도 | 시간 | 길이 | 질량 | 광도 | 몰질량 |
A 암페어 |
K 켈빈 |
s 초 |
m 미터 |
kg 킬로그램 |
cd 칸델라 |
mol 몰 |
×
미터 meter | |
단위의 종류 |
|
측정 대상 |
|
기호 |
m |
단위 환산 |
|
1 m |
동등 환산값 |
선박 단위 |
≈ 0.00053996 nmi (해리) |
미터(영국 영어: metre, 미국 영어: meter, 문화어: 메터, 기호 m)는 길이나 거리의 SI 단위이다. 1m는 현재 진공에서 빛이 1/299,792,458초 동안 진행한 거리로 정의한다.
1m는 1793년 적도에서 북극까지 거리의 1/10,000,000 로 처음 정의되었다.[1] 이 정의를 따르면 지구의 적도에서 북극까지 거리는 10,000,000 m = 10,000 km가 되며, 따라서 북극과 남극을 지나는 대원(great circle, 大圓)의 둘레는 40,000 km가 된다. 지구의 반경은 이를 2π로 나눈 값이다 (완전한 구로 볼 때).
19세기말 정밀 측정에 의해 광속이 c = 299,792,458 m/s 이고, 광원이나 관찰자의 운동 속도와 무관하게 일정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사실로부터 1983년에 1m의 정의를 보다 정밀하게 하기 위해 위와 같이 광속을 기준으로 바꾸었다.[1] 이에따라 광속은 측정치가 아니라 c = 299,792,458 m/s 로 정의된 값이며, 측정오차는 없다.
(대강 광속은 c = 3억 m/s 이며, 따라서 1m 는 빛이 3억분의 1초 동안 간 거리라고 말해도 오차는 0.07% 이내로 그리 크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