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북한어(北韓語), 북한말(北韓말)
북한말: 문화어(文化語)
개요
북한말은 북한의 표준어를 말한다. 북한에서는 문화어라 하는데 표준국어와 비슷한 의미이며 조선말대사전(1992년)에 의하면 “주권을 잡은 로동계급의 당의 령도밑에 혁명의 수도를 중심지로 하고 수도의 말을 기본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로동계급의 지향과 생활감정에 맞게 혁명적으로 세련되고 아름답게 가꾸어진 언어”라고 되어있다. 또 《조선말규범집》(1998년) 중의 《문화어발음법》 총칙에 따르면 “조선말발음법은 혁명의 수도 평양을 중심지로 하고 평양말을 토대로 하여 이룩된 문화어의 발음에 기준한다”라고 한다.
용어 논란
언어로 분류해야 되는지 지역방언으로 해석해야되는지 논란이 있다. 한국어의 경우 제주도 방언을 제주도어라 따로 분류하기도하지만 북한말과 남한의 표준어는 일반적으로 같은 언어로 분류한다.
기타 외국어를 참고하자면 스페인어, 아랍어처럼 방언차이가 있고 국가, 민족이 달라도 하나의 언어로 묶는 경우가 있는 반면, 북유럽이나 발칸 반도의 언어는 민족정체성에 따라서 전자의 방언보다 차이점이 적음에도 서로 다른 언어로 분류한다.
대한민국은 현재 한반도의 유일한 합법정부를 표방하고있으므로, 북한어(語)보단 북한말 또는 북한 방언을 사용하는 편이 바람직하겠지만 해외의 사례를 보듯이 별다른 차이는 없다.
음운
평양을 포함한 옛 평안도 일대에서 사용되는 서북 방언(평안도 방언)의 특징으로 /ㄷ/의 비구개음화가 있다. 이 현상은 근대 한국어 시기에 /i/ 또는 반모음 /j/에 앞선 /ㄷ/이 /ㅈ/으로 바뀐 현상이다. 예를 들면 중세 한국어 ‘둏다’는 서울 방언에서 /ㄷ/이 구개음화되어 ‘좋다’가 되지만 평양 방언에서는 ‘돟다’와 같이 /ㄷ/이 유지된다. 또 평양 방언에서는 /i/ 또는 반모음 /j/에 앞선 어두 자음 /ㄴ/이 탈락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서울 방언 ‘이’(齒)에 대해 평양 방언은 ‘니’다. 하지만 문화어는 이와 같은 평양 방언의 전형적인 음운적 특징을 반영하지 않고 원칙적으로는 조선어학회가 정한 표준어와 동일한 음운적 특정, 즉 서울 방언과 동일한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다.
참고로 ‘로동’ 등 어두의 /ㄹ/을 유지하는 발음 규칙은 1954년의 조선어철자법에서 이미 인정되어 있다.
문법
문법 항목을 보아도 평양 방언의 특징은 문화어에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바다이(=바닷가)’와 같이 모음으로 끝나는 명사에 붙는 주격 조사 ‘-이’, 낮춤 의문형 ‘봔(=봤니)’ 등 평양 방언에서 볼 수 있는 문법 형식은 그 대부분이 문화어에 채택되지 않았다. 평양 방언에 연유된 문법 형식 중 문화어에 채택된 것으로는 과거 계속을 나타내는 ‘-더랬-’ 등이 있다.
- 학창시절에 권투를 하더랬다.
문화어에는 중부 방언에 유래된다고 추정되는 형식이더라도 대한민국(이하 ‘한국’)의 표준어와 미묘하게 차이가 나는 형식이 몇 가지가 있다. 예를 들면 한국의 표준어형 ‘-고자 하다’에 대해 문화어형은 ‘-고저 하다’이다. ‘-고저 하다’라는 형식 자체는 한국에서도 구어에서 나타날 수 있는 형식인데 이러한 형식을 문화어에서는 채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어휘
어휘는 한국 표준어와의 차이가 많이 나는 부분이다. 그 요인으로 (1) 사회 제도의 차이로 인해 갖가지 사회적인 용어들이 달라졌다, (2) 서로 다른 국어 순화로 인해 어휘에 차이가 생겼다, 라는 두 가지 점을 들 수 있겠다.
방언에 연유되는 차이를 보면 약간의 어휘에서 평양 방언형으로 추정되는 어휘를 볼 수 있다.
- 강냉이 (북) ― 옥수수 (남)
- 마스다 (북) ― 부수다 (남)
- 눅다 (북) ― 싸다 (남)
특징
외래어를 문화어로 바꾼 예
남한에서는 영어 등 외래어를 그대로 사용하는 어휘를 북한에서는 순수한 고유어나 한자어로 바꾸어 쓰는 경우가 많다.
- 봉사기 (奉仕機, 표준어: 서버, 영어: server)
- (쟈바)각본 (脚本, 표준어: (자바)스크립트, 영어: (Java) script)
- 건늠길 (표준어: 횡단보도, 橫斷步道)
- 꽂아넣기 (표준어: 덩크 슛, 영어: Dunk Shoot)
- 건발기 (乾髮器, 표준어: 헤어드라이어, 영어: Hair Dryer)
- 텔레비죤통로 (텔레비죤通路, 표준어: 텔레비전채널, 영어: Television Channel)
- 녀성고음 (女性高音, 표준어: 소프라노, 이탈리아어: Soprano)
- 녀성중음 (女性中音, 표준어: 메조소프라노, 이탈리아어: Mezzo-soprano)
- 녀성저음 (女性低音, 표준어: 알토, 이탈리아어: Alto)
- 남성고음 (男性高音, 표준어: 테너, 영어: Tenor)
- 남성중음 (男性中音, 표준어: 바리톤, 영어: Baritone)
- 남성저음 (男性低音, 표준어: 베이스, 영어: Bass)
- 외동옷, 달린옷 (표준어: 원피스, 영어: One-piece dress)
- 나리옷 (표준어: 드레스, 영어: dress)
- 어깨벌림옷 (표준어: 오프숄더 네크라인, 영어: off shoulder neckline)
- 직승기 (直升機, 표준어: 헬리콥터)
- 담합경기 (표준어: 승부조작, 勝負造作)
- 점수이김 (표준어: 판정승, 判定勝)
- 벌차기 (표준어: 프리킥, 페널티킥, 영어: Free Kick, Penalty Kick)
- 손다치기 (표준어: 핸들링, 영어: Handling)
- 공몰기 (표준어: 드리블, 영어: dribble)
- 구석(모서리)차기, 코너뽈, 모서리공 (표준어: 코너킥, 영어: corner kick)
- 손다지기 (표준어: 핸들링, handling)
- 공넘기기 (표준어: 패스, 영어: Pass)
- 록화기(錄畵機, 표준어: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영어: Video Tape Recorder, VTR)
- 세평방 정리 (표준어: 피타고라스의 정리, 영어: Pythagoras's Theorem)
- 사람비김법 (표준어: 의인법, 영어: impersonation)
- 기둥춤 (표준어: 폴댄스, 영어: Pole Dance)
- 그림분필 (표준어: 파스텔, 영어: pastel)
- 원주필 (圓珠筆, 표준어: 볼펜, 영어: ball pen)
- 눈썹먹 (표준어: 마스카라, Mascara)
- 흉대, 유방대, 젖가슴띠, 가슴띠, 젖싸개, (표준어: 브래지어, 영어: brassiere)
- 얼음보숭이, 에스키모[1] (표준어: 아이스크림, 영어: Ice Cream)
- 단감자 (표준어: 고구마)
- 설기과자 (표준어: 카스텔라, 영어: castela)
- 고기순대 (표준어: 소시지, 영어: sausage)
- 기름사탕 (표준어: 캐러멜, 영어: Caramel)
- 고기 겹빵(표준어: 햄버거, 영어: Hamburger)
- 밥곽, 곽밥 (표준어: 도시락)
- 바삭과자 (표준어: 비스킷, 영어: biscuit)
- 과일단물, 과즙물, 과실단물 (표준어: 주스, 영어: juice)
- 문지기 (표준어: 골키퍼, 영어: Goal Keeper)
- 살양말 (표준어: 스타킹, 영어: Stocking)
- 양말바지 (표준어: 팬티스타킹, 영어: Pantyhose)
외래어 표기
외래어로 유입된 외국어 낱말들은 러시아어, 중국어, 영어, 일본어가 쓰이며, 다른 나라의 이름 표기법은 러시아어 발음과 비슷하게 한다. 이는 대한민국의 표준어는 미국의 언어인 영어의 영향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표준어인 문화어는 러시아 등의 구 공산권이던 동유럽 국가들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국가명 표기도 표준어는 영어의 영향을 받은 반면, 문화어는 원어를 존중하여 표기하는 경향이 있다. (스페인/에스빠냐)
- 찰칵 (영어: click, 표준어: 딸깍)
- 뜨락또르 (러시아어: трактор, 표준어: 트랙터)
- 꼴바싸 (러시아어: колбаса, 표준어: 소시지)
- 쌤 해밍톤 (영어: Sam Hammington, 표준어: 샘 해밍턴)
- 고뿌 (일본어: コップ, 표준어: 컵)
- 깜빠니아 (러시아어: кампания, 표준어: 캠페인)
- 레루 (일본어: レール, 표준어: 레일)
- 콤퓨터 (영어: Computer, 표준어: 컴퓨터)
- 실리카트벽돌살림집 (표준어: 실리케이트벽돌아파트)
- 라지오 (일본어: ラジオ, 표준어: 라디오)
- 비데오 (영어: Video, 표준어: 비디오)
- 에네르기 (일본어: エネルギー, 표준어: 에너지)
- 키로 (일본어: キロ, 표준어: 킬로)
- 텔레비죤 (영어: Television, 표준어: 텔레비전)
- 페지 (일본어: ページ, 표준어: 페이지)
- 보이라 (일본어: ボイラー, 표준어: 보일러)
- 확스 (일본어: ファックス, 표준어: 팩스)
- 인터네트 (영어: Internet, 표준어: 인터넷)
- 초콜레트 (일본어: チョコレート, 표준어: 초콜릿)
- 웨브페지 (일본어: ウェブページ, 표준어: 웹페이지)
- 비루스 (영어: Virus, 표준어: 바이러스)
- 왁찐 (일본어: ワクチン, 표준어: 백신)
나라이름표기
- 쓰르비아 (세르비아어: Србија, 세르비아)
- 카나다 (영어: Canada, 프랑스어: Canada, 캐나다)
- 로씨야 (러시아어: Россия, 러시아)
- 이딸리아 (이탈리아어: Italia, 이탈리아)
- 또고 (러시아어: Того, 토고)
- 오스트랄리아 (영어: Australia, 오스트레일리아)
- 아랍추장국 (아랍酋長國, 아랍에미리트)
- 마쟈르 (헝가리어: Magyarország, 헝가리)
- 서부사모아 (영어: Westen Samoa, 사모아)
- 에스빠냐 (스페인어: España, 에스파냐)
- 앵귈러 (영어: Anguilla, 앵귈라)
- 벨라루씨 (벨라루스어: Беларусь, 벨라루스)
- 체스꼬슬로벤스꼬 (체코어: Československo, 구 체코슬로바키아)
- 쏘베트사회주의공화국련맹, 쏘련 (러시아어: Советский Союз, 구 소비에트 연방, 소련)
- 뽈스까 (폴란드어: Polska, 폴란드)
- 타이 (태국어: ประเทศไทย, 태국)
- 애급 또는 에짚트 (埃及, 러시아어: Египет, 이집트)
- 팔레스티나 (아랍어: جمهورية فلسطين, 팔레스타인)
- 캄보쟈 (러시아어: Камбоджа, 캄보디아)
- 수리아 (아랍어: سوريا, 시리아)
- 까타르 (아랍어: دولة قطر, 카타르)
- 윁남 (베트남어: Việt Nam, 베트남)
- 윁남사회주의공화국 (월남사회주의공화국)
- 뻬루 (스페인어: Perú, 페루)
- 메히꼬 (스페인어: México, 멕시코)
- 꾸바 (스페인어: Cuba, 쿠바)
- 벌가리야 (불가리아어: България, 불가리아)
- 방글라데슈 (벵골어: বাংলাদেশ, 방글라데시)
- 네데를란드 (네덜란드어: Nederland, 네덜란드)
- 뽀르뚜갈 (포르투갈어: Portugal, 포르투갈)
- 우즈베끼스딴 (러시아어: Узбекистан, 우즈베키스탄)
- 아이띠 (프랑스어: Haïti, 아이티)
- 뜌니지 (러시아어: Тунис, 튀니지)
- 로므니아 (루마니아어: România, 루마니아)
- (북)조선 ((北)朝鮮, 한국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한)
- 남조선 (南朝鮮, 한국어: 대한민국, 대한민국, 남한)
- 뛰르끼예 (터키어: Türkiye, 튀르키예)
- 스웨리예 (스웨덴어: Sverige, 스웨덴)
도시명 표기
- 브류쎌 (네덜란드어: Brussel, 브뤼셀, 벨기에의 수도)
- 쁘라하 (체코어: Praha, 프라하, 체코의 수도)
- 와르샤와 (폴란드어: Warszawa, 바르샤바, 폴란드의 수도)
- 도꾜 (일본어: 東京, 도쿄, 동경, 일본의 수도)
- 울라지보스또크 (러시아어: Владивосток, 블라디보스토크, 러시아의 도시)
- 밸리(영어: Valley, 더밸리, 앵귈라의 수도)
- 후꾸오까 (일본어: 福岡, 후쿠오카, 일본 규슈 지방의 도시)
한자어의 두음법칙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언어 정책에서는 형태주의를 한자음에도 적용해, 동일 한자의 한자음은 단어의 어느 위치에서든 항상 동일하게 발음하기로 했기 때문에, 어두에 오는 음소의 제약(어두에는 'ㄹ'이나 '녀, 뇨, 뉴, 니'가 올 수 없다.)인 두음 법칙을 적용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따라서 문화어는 한자음 본연의 소리 그대로를 적는 방식을 채택한다. 그런데 대한민국에서는 한자어도 두음 법칙을 적용하므로, 이러한 차이에서 오는 언어적인 혼란을 줄이기 위해서 2004년 이후 남·북 한국어 단일 사전인 《겨레말큰사전》 편찬을 준비하는 등, 다방면으로 언어 통합을 위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2]
예시
- 녀성 (표준어: 여성, 女性)
- 조선민주녀성동맹 (표준어: 조선민주여성동맹, 朝鮮民主女性同盟)
- 랭면 (표준어: 냉면, 冷麵)
- 려인숙 (표준어: 여인숙, 旅人宿)
- 려권 (표준어: 여권, 旅券)
- 련결 (표준어: 연결, 聯結)
- 렬차 (표준어: 열차, 列車)
- 련맹 (표준어: 연맹, 聯盟)
- 련합 (표준어: 연합, 聯合)
- 로동자 (표준어: 노동자, 勞動者)
- 로인 (표준어: 노인, 老人)
- 롱구 (표준어: 농구, 籠球)
- 례의 (표준어: 예의, 禮義)
- 리유 (표준어: 이유, 理由)
- 락원 (표준어: 낙원, 樂園)
- 리발소 (표준어: 이발소, 理髮所)
- 락동강 (표준어: 낙동강, 洛東江)
- 리성계 (표준어: 이성계, 조선 초대 군주)
- 량세봉 (표준어: 양세봉, 일제 강점기 조선의 독립운동가)
- 리승만 (표준어: 이승만, 제1·2·3대 대한민국 대통령)
- 로태우 (표준어: 노태우, 제 13대 대한민국 대통령)
- 로무현 (표준어: 노무현, 제 16대 대한민국 대통령)
- 리명박 (표준어: 이명박, 제 17대 대한민국 대통령)
- 리동국 (표준어: 이동국, 대한민국 축구 선수)
- 리천수 (표준어: 이천수, 대한민국 축구 선수)
- 리정길 (표준어: 이정길, 대한민국 배우)
- 류승준 (표준어: 유승준, 대한민국 가수)
- 락화생 (표준어: 낙화생, 땅콩)
지명
- 서울특별시 룡산구, 로원구 (표준어: 서울특별시 용산구, 노원구 서울特別市 龍山區, 蘆原區)
- 부산광역시 련제구 (표준어: 부산광역시 연제구 釜山廣域市 蓮堤區)
- 인천광역시 련수구 (표준어: 인천광역시 연수구 仁川廣域市 延壽區)
- 경기도 리천시, 룡인시, 려주시, 련천군 (표준어: 경기도 이천시, 용인시, 여주시, 연천군, {京畿道 利川市, 龍仁市, 驪州市, 漣川郡)
- 강원도 린제군, 녕월군, (표준어: 강원도 인제군, 영월군, 江原道 麟蹄郡, 寧越郡)
- 충청남도 론산시, 례산군 (표준어: 충청남도 논산시, 예산군, 忠淸南道論山市, 禮山郡)
- 경상북도 례천군 (표준어: 경상북도 영천시, 영주시, 영양군, 영덕군, 예천군, 慶尙北道 醴泉郡)
- 경상남도 량산시 (표준어: 경상남도 양산시, 慶尙南道 梁山市)
- 전라남도 라주시, 려수시, 령암군, 령광군 (표준어: 전라남도 나주시, 여수시, 영암군, 영광군, 全羅南道 羅州市, 麗水市, 靈巖郡, 靈光郡)
- 평양시 락랑구역, 룡성구역, 력포구역 (표준어: 평양시 낙랑구역, 용성구역, 역포구역, 平壤直轄市樂浪區域, 龍城區域, 力浦區域)
- 평안북도 녕변군 (표준어: 평안북도 영변군, 平安北道 寧邊郡)
- 황해북도 린산군 (표준어: 황해북도 인산군, 黃海北道 麟山郡)
- 량강도 (표준어: 양강도, 兩江道)
- 길림성 룡정시 (통용: 길림성 용정시, 표준어: 지린 성 룽징 시, 중국어: 吉林省龍井市, 중화인민공화국 연변 조선족 자치주의 지급시)
문장
- 우리는 로동계급이다. (표준어: 우리는 노동계급이다.)
- 리(李) 동지의 리론은 리해가 잘 안 된다. (표준어: 이 동지의 이론은 이해가 잘 안 된다.)
- 녕변군 토박이인 그 녀성동무는 리원군을 잘 모른다. (표준어: 영변군 토박이인 그 여성 동무는 이원군을 잘 모른다.)
자음동화
문화어에서는 자음동화가 없기 때문에 거의 글자대로 발음한다.[출처 필요]
각주
- ↑ 북한에서는 말다듬기 사업을 정부가 시행하여 외래어를 순화했지만, 지금은 얼음과자보다는 아이스크림을 더 많이 사용한다. 언중 곧 언어를 쓰는 대중들이 정부가 다듬은 외래어를 받아들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자도 학교, 학생, 비행기처럼 굳어진 한자어는 그대로 사용하는 등 어느정도 융통성을 가지고 있다.
- ↑ “흩어진 겨레말 찾다보면 통일도 가능”, 《서울신문》, 2006.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