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서울특별시 관악구에 소재한 4년제 국립대학교이다. 종합대학으로서는 대한민국 최고 대학 학벌의 정점이라고 볼 수 있다.(카이스트나 포항공대가 여러 학과가 있기는 하지만(그중에서는 인문계 학부 등도 존재) 학과 등 대학 규모로 보면 온전한 종합대학이라고 보기는 좀 힘들다 공학 좀 비율이 크다. 서울대는 종합대학에서도 별의 별 학과가 다 있는 맘모스급대학이다.)
역사
1945년 10월 15일 경성제국대학(京城帝國大學, Keijo Imperial University)[1]을 서울대학교(Seoul University)로 개칭하였다.[2]
경성제국대학과 그 외 여러 대학을 1946년 서울대학교로 통합하고 개편한 것이 그 시초이다.
국립서울대학교안 반대운동(약칭 국대안 파동)
1946년 미군정은 국립서울대학교안을 발표했다. 이는 경성제국대학 및 경성치과대학, 경성의학전문학교, 경성공업전문학교, 경성경제전문학교 등 서울에 위치하던 수많은 국립 교육기관들을 통폐합하여 서울대학교로 개편하는 법안이었다. 그런데 이에 대해 각 학교의 재학생들은 자신의 학교가 최고학부로 편입되는 것이라 반대할 이유가 전혀 없었는데 좌익 세력들은 각 학교의 자율성이 침해받고 미군정에 의해 학교가 장악당한다는 이유를 들며 동맹휴학을 선동했다. 이에 따라 수 개월 동안 각 학교는 수업을 제대로 하지 못할 정도의 진통을 겪었는데 명분이 부족했던 이런 선동의 결과는 결국 미군정안의 수용이었다. 이러한 국대안 파동이 실패로 돌아간 이후 서울대학교 내 좌익세력의 주축이었던 경제학자 백남운 등은 월북한다.
6.25 남침 인민군의 서울대 병원 부상병ㆍ환자 대학살
- 김일성·김정일·김정은 3代 紙上 戰犯재판 : 金씨 3代는 국제형사재판소에 보내야 할 범죄자들 월간조선 2019년 6월호
국제법 위반 내용: 부상병 학살은 명백한 ‘전쟁범죄’
캠퍼스 분립 시기
국립서울대학교가 출범하면서 단과대학별 캠퍼스는 종전 연고에 따라 서울 시내 각지에 분산되어 있었다. 학생과 교수들도 소속 단과대에 따라 위치가 제각각인 캠퍼스에서 학교를 다녀 같은 대학 소속이라는 느낌도 희박했다. 전교생이 한 자리에 모이는 일은 대학본부가 있는 문리과대학 운동장에서 열리는 입학식과 졸업식 뿐이었다.
- 대학본부와 문리과대학 : 종로구 동숭동 (대학로 현 서울의대 동쪽 맞은 편.)
- (본부 건물만 보존되어 있고, 문리대 건물은 없어짐. 대학로라는 도로명은 당시에는 없었고, 이전 후에 생김.)
- 법과대학 : 종로구 이화동
- 의과대학 : 종로구 연건동 현위치 그대로임.
- 치과대학 : 의과대 캠퍼스
- 약학대학 : 의과대 캠퍼스
- 미술대학 : 의과대학 남쪽편
- 사범대학 : 동대문구 제기동
- 가정대학 : 사범대 캠퍼스
- 공과대학 : 성북구(당시 소속구) 공릉동
- 상과대학 : 성북구 종암동
- 음악대학 : 을지로
- 농과대학 : 수원
캠퍼스가 단과대학별로 분리되어 소속 학생들간에 동창이라는 느낌도 거의 갖지 못한 채 졸업하는 폐단을 줄이기 위해 1960년대 후반 공릉동 공과대학 캠퍼스에 교양과정부를 설치하고, 1학년 학생들을 대부분 수용하여 계열별로 학과구분없이 반을 편성하여 1년간 교양과목 강의를 듣도록 하였다.
관악산 종합 캠퍼스로 이전
1970년대 초 현재 서울대가 위치한 관악산에 종합 캠퍼스 터를 잡고 캠퍼스 종합화 마스터 플랜을 세우게 된다. 원래는 골프장이 있던 곳이었고, 당시는 서울 시내에서 상당히 먼 외진 곳이라 논란이 많았다. 그 무렵에는 학생들의 반정부 시위가 잦았던 때라 데모를 막기 위해 일부러 외진 곳으로 보낸다는 비판도 받았다. 그런 목적이 실제로 있었는지는 모르나 시내 중심가 가까운 곳에 넓은 터를 확보하기가 거의 불가능한 것도 사실이었다.
관악 캠퍼스가 일부 완공되어 1975년 봄 대학본부, 문리대, 법대, 상대, 사범대, 가정대, 약대 등이 먼저 이전하고, 이어 다른 단과대학들도 건물이 완공되는대로 차차 이전하게 된다. 의과대학과 농과대학은 아직도 옛날 캠퍼스에 그대로 있다. 문리대는 관악산으로 이전하면서 인문대, 사회대, 자연대의 3개 단과대학으로 분리되었다. 일부 단과대학과 학과의 개편도 있었다.
정치적인 행보
국립대학교인 서울대가 대한민국 최고 학부라는 명성에 걸맞지 않게 정치관과 연관된 비리논란이 불거지면서 학교의 명성을 끌어 내렸다.
박원순 딸 미대에서 법대 전과 특혜
국토교통위원회 서울시 국정감사에서 송언석 자유한국당 의원은 박시장의딸 의혹을 제기했다.[3]
서울시장 박원순의 딸 미대에서 법대 전과 특혜가 불거졌는데 박원순은 딸의 서울 법대 전과 논란이 거론되자 “무책임하고 비열한 행위”라며 반박했다.
- 학점, 면접점수 등 박원순 시장 딸의 서울대 법대 전과 논란과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아들의 서울시 청소년참여위원회 참여 의혹을 연관 지어 언급했다.
- 조 전 장관은 박 시장과 참여연대 사법감시센터 부소장을 할 때 같이 근무했고 개인적으로도 친하다고 알려져 있다.
- 박 시장 딸이 서울대 미대에서 법대로 전과하는데 논란이 있었고 조 장관 아들도 청소년참여위 부실 참여 의혹이 있다
- 박 시장 딸은 평균 학점이 4.3만점에 3.68점이었다. 면접 점수도 20점 만점에 16점이다.
- 학장 추천 여부도 불분명하다. 인터넷에 여러 보도가 있다. 조 전 장관 아들도 2013년 서울시 청소년참여위에 서류에서 탈락하고 이후 추가 모집 공고에 4명 지원해 선정됐다고 이후 19차례 회의에 무려 15번 불참했으나 (서울시는) 해촉하지 않았다. 서명도 달라 대리 출석 의혹도 있다.
조국의 1심선고 후에도 교수직 인정
2023년 2월 자녀 입시비리 혐의 등으로 기소된 지 3년6개월 만에 1심 판결이 나왔다. 이를 핑계로 조국의 징계절차를 미뤄 온 서울대는 4개월간의 기나긴 논의를 거쳐 이 같은 결론을 내렸단다. 국민이 보면 쉽게 판결할 수 있는 제판을 문재인의 똘마니 김명수 사법부나 국립대학교 서울대나 조국재판은 정치적결정을 내리기 어려웠단 비판이다.[4]
그는 법대 교수로서 강의를 하지않는데도 꼬박꼬박 급여를 받은것으로 알려지면서 조국은 물론 이를 공정하게 판단해야할 국립대가 그를 두둔했다는 비난을 피하기 어럽다.
이재명, 부산대에서 서울대까지 헬기특혜 논란
이재명의 목부위 피습(?)으로 헬기로 부산대응급센터로 이동했으나 알수 없는 이유로 다시 서울대까지 헬기로 이동하면서 특혜 논란이 일었다. 응급구조 시스템상 환자나 환자의 가족 요구대로 자신이 원하는 병원으로 이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 서울대병원으로 이송한 후 서울대 의료진은 응급조치(?)를 취한 후 예정된 브리핑을 돌연 취소하는 일을 벌였다. 비슷한 사건이 박근혜비대위원장 테러사건, 마크 리퍼트 테러사건 때도 집도한 병원측에서 상세 설명을 한 바 있었다. 비판이 일어나자 이틀만에 기자들 앞에서 브리핑을 하였으나 일체의 질문은 받지 않겠다고 하고 퇴장하였다. 이에 기자들이 일방적인 발표를 하려면 브리핑은 왜하냐는 불만이 나오자 잠시 난감해 하더니 잠시 협의하더니 결국 질문은 받겠다. 질문은 서면으로 주시면 답하겠다는 코미디같은 말을 하고 사라졌다. 여기가 바로 그 서울대가 맞나 싶을 정도다.[5]
서울대병원의 이상한 브리핑과 부산대병원 비하 논란
어쩔수 없이 이틀만에 브리핑을 진행한 서울대병원측의 집도의는 이재명 대표님이라며 깍듯이 '님'자를 붙이며 설명을 읽어내려 갔다.
서울대 의료진은 응급조치?를 취한 후 에도 브리핑을 돌연 취소하는 일을 벌였다. 비판이 일어나자 이틀만에 브리핑을 하였는데 담당의 민승기 교수는 준비한 원고만 읽고 일체의 질문을 받지 않겠다면서 퇴장하였다. 상처보위가 좌상이니 열상이니 말이나오는 상황에서 나온 서울대의 이상한 행태로 의문이 많던터라 말대로라면 (이 대표 수술에) 경험이 많은 혈관외과 의사의 수술이 꼭 필요한 상황이었다고 한것이다. 설명대로 라면 부산대병원에 고난도의 내경정맥 손상을 수술할 의료진이 없어 부산대병원의 전원 요청으로 이 대표를 서울대병원으로 이송해 수술을 하게 됐다는 이야기가 된다.[6]
전국 광역단체 의사회에서는 이재명의 내로남불 헬기 특혜 이송 논란에 이어 지역 의료 비하로 발전하며 비난 성명을 발표했다. 심지어 전라북도의사회에서도 동참하고 있다. 또한 이재명과 핵심 당직자들을 형사고발까지 하겠다고 밝혔다.[7][8] 4월 9일 현재 17개 광역자치단체중 충청남북도, 전라남도, 제주도를 제외한 14개 광역자치단체 의사회에서 비난 성명을 밝표하였다.
학부
학부 목록 |
---|
|
대학 순위
QS 대학 순위(2023) |
||||||||||||||||||||||||||||||||||||||||||||||||||||||||||||||||||||||||||||||||||||||||||||||||||||||
---|---|---|---|---|---|---|---|---|---|---|---|---|---|---|---|---|---|---|---|---|---|---|---|---|---|---|---|---|---|---|---|---|---|---|---|---|---|---|---|---|---|---|---|---|---|---|---|---|---|---|---|---|---|---|---|---|---|---|---|---|---|---|---|---|---|---|---|---|---|---|---|---|---|---|---|---|---|---|---|---|---|---|---|---|---|---|---|---|---|---|---|---|---|---|---|---|---|---|---|---|---|---|
|
상징물
상징물 | 이미지 | 설명 |
---|---|---|
월계관 | ![]() |
경기의 승리나 학문 등의 업적에서 명예와 영광을 상징하며, 으뜸가는 학문적 영예의 전당으로서의 서울대학교를 의미한다. |
펜과 횃불 | ![]() |
지식의 탐구를 통해 겨레의 길을 밝히는 데 앞장서겠다는 의지를 나타낸다. |
VERITAS LUX MEA | ![]() |
펼쳐진 책에는 라틴어 'VERITAS LUX MEA'가 적혀있고 이는 '진리는 나의 빛'을 의미한다. |
교문의 심볼 | ![]() |
국립서울대의 머리글자인 'ㄱㅅㄷ'를 상징하는 교문의 심볼이 더해져, 학문과 진리 탐구를 통해 겨레와 함께 미래로 도약하려는 서울대학교의 의지가 함께 담겨있는 문장이다. |
참고 자료
- 서울대학교 개교 70년사 - 자료실 - 대학소개 - 서울대학교
관련 문서
각주
- ↑ 경성제국대학(京城帝國大學)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Official Gazette, Usamgik Table of Contents : Proclamations, Ordinances, Directives, Department orders, Regulations and miscellaneous documents: Headquarters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Department of Justice, Seoul, Korea ; 官報 內容目次 : 布告, 法令, 指令, 部令, 規則其他文書: 在朝鮮美國陸軍司令部軍政廳 (서울 : United States Army Military, 1946) p.2
- ↑ 중앙일보
- ↑ https://www.google.com/amp/s/www.joongang.co.kr/amparticle/25169703
- ↑ 서울대병원이 직접 밝힌 이재명 대표 상태…질문 안 받자 "이럴 거면 왜 브리핑했나" 항의도 (현장영상) / SBS
- ↑ 특혜 이어 '지역의료 비하'로…이재명 헬기이송 논란 키운 말, 중앙일보
- ↑ 소아청소년과의사회, ‘헬기 이송’ 이재명 고발키로, 조선일보
- ↑ “지방병원 무시하나” 이재명 헬기 이송 논란…서울·광주의사회도 사과 촉구, 서울경제
- ↑ 1941년 경성제국대학교에 설치된 이공학부가 시초이다. 해방후 문리과 대학 이학부로 되었다가 1975년 자연과학대학으로 되었다. : 城大理工學部 十六년도에 개교할 준비진행 初部長은 山家博士 速水總長歸城談 매일신보 1938년 12월 14일
같이 보기
대한민국의 대학교 |
|
---|---|
가 |
가야대학교 · 가천대학교 · 가톨릭관동대학교 · 가톨릭대학교 · 감리교신학대학교 · 강남대학교 · 강릉원주대학교 · 강원대학교 · 건국대학교 ·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 건양대학교 · 경기대학교 · 경남대학교 · 경남과학기술대학교 · 경동대학교 · 경북대학교 · 경상대학교 · 경성대학교 · 경운대학교 · 경인교육대학교 · 경일대학교 · 경주대학교 · 경찰대학 · 경희대학교 · 계명대학교 · 고려대학교 ·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 고신대학교 · 공군사관학교 · 공주대학교 · 공주교육대학교 · 광신대학교 · 광운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가톨릭대학교 · 광주과학기술원 · 광주교육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국군간호사관학교 · 국민대학교 · 군산대학교 · 극동대학교 · 금강대학교 · 금오공과대학교 · 김천대학교 · 꽃동네대학교 |
나 · 다 |
|
라 · 마 · 바 |
|
사 |
|
아 |
|
자 |
|
차 |
|
카 · 파 |
|
하 |
한경대학교 · 한국과학기술원 · 한국교원대학교 · 한국교통대학교 · 한국국제대학교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한국산업기술대학교 · 한국성서대학교 · 한국예술종합학교 · 한국외국어대학교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 한국체육대학교 · 한국항공대학교 · 한국해양대학교 · 한남대학교 · 한동대학교 · 한라대학교 · 한려대학교 · 한림대학교 · 한밭대학교 · 한서대학교 · 한성대학교 · 한세대학교 · 한신대학교 · 한양대학교 ·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 한일장신대학교 · 해군사관학교 · 협성대학교 · 호남대학교 · 호남신학대학교 · 호서대학교 · 호원대학교 · 홍익대학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