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申榮福 | |
![]() 신영복 (2007년) |
|
작가 정보 |
|
출생 |
1941년 8월 23일 |
출생지 |
|
사망 |
2016년 1월 15일 |
사망지 |
|
성향 |
종북 좌파 |
국적 |
|
학력 |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석사 |
활동기간 |
|
장르 |
경제교육학 저술 |
웹사이트 |
신영복(申榮福, 1941.08.23 ~ 2016.01.15)은 마르크스 경제학자, 작가, 대학교수 등으로 활동했다. 간첩사건에서 유죄를 받고 복역한 간첩이다.
위장전향을 한것으로 보인다. 북한에서 외교관등 포로 교환을 할 때 신영복을 원한다고 했을정도.. 당시 신영복이 가짜로 전향서를 작성한 것이라는 사실을 알지못해서 북송하지 못했다. 신영복이 대한민국에 끼친 해악을 생각하면 당시 박청희 대통령이 신영북 북으로 보냈어야한다는 의견이다. 박정희 대통령은 대한민국 국민을 어떻게 북으로 보낼 수 있는가라며 그의 북송을 반대했다고 한다.
간첩인 신영복을 존경한다는 사람들이 문재인을 비롯하여 고민정 전 대변인등 한국에는 많은 정치인들이 있다.
알게 모르게 유명하고 의미 있는 도처에 신영복의 글씨가 장식 되어 있다. 구로구에는 신영복 거리가 있는것으로 알려져있다.
간첩을 존경하고 기념하는 사람이 많은 나라 한국은 제정신이 아니다.
생애
신영복 사망 당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대표는 빈소찾아 조문하며 "선생께서 나에게는 '처음처럼'을 주시고 노무현 대통령에게는 우공이산을 주었고, 우리 당에 '더불어'라는 이름을 주고 가셨다라고 말했다.
또 선생의 '더불어' 정신, 공존과 연대의 정신을 늘 간직하고 실천하겠다"고도 했다.
비판
- 故신영복 교수, 북한 저널지에 글 게재 가능성 뉴스와 논단(News & Review) 2022/09/08
- 문재인대통령의 신영복 발언과 문제점
- 문 대통령이 北 김영남 앞에서 존경한다 말한 신영복은 누구? 월간조선 뉴스룸 2018.02.11
- 과거 반체제 지하조직 '통혁당'에서 활동, 사상 전향 부인해
- 김문수 ‘간첩’ 주장한 故 신영복은? ‘시대의 지성인’ ·소주 ‘처음처럼’ 서체 원작자 동아일보 2018-05-03
- 김문수 "문대통령은 김일성 사상 존경하는 분…신영복은 간첩" 2018-05-03
- 한국당 정종섭 의원 주최 '남북정상회담 진단' 토론회서 주장
- 제3기 진보정권 文정부...국가정체성의 표류를 우려한다
- 더불어민주당의 당명은 김일성 회고록 『세기와 더불어』와도 관련이 있다는 주장이 있다[2].
신영복 대해부
- [신영복 대해부 ①] “대한민국은 지금 내전(內戰) 상황이다” 김철홍 장로회신학대학교 부교수 뉴데일리 2016-01-26
- "맞다, 신영복은 본디 붉은 사람이다"
- 한겨레신문의 대담한 도발 "신영복, 그는 본디 붉은 경제학자였다"에 대해
- [신영복 대해부 ②] "마르크스 경제학자로 남긴게 뭐 있나?" 박성현 뉴데일리 주필/저술가 뉴데일리 2016-01-26
- "신영복은 학자가 아니라 마르크스레닌주의 혁명가"
- "입과 손으로 온갖 세련된 것들 쏟아냈지만 대동강 하구 바닷물 들이킨 탓"
- [신영복 대해부 ③] "동양고전 인문학 포장 속에 [붉은 사상] 숨어 있었다" 양동안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 뉴데일리 2016-01-20
- '복면지성' 신영복의 두 얼굴 실체! 해부해보니?
- 전향 부정·북한 옹호·혁명투쟁 선동…포장된 가면속 진면목은 무엇?
논란
- 최영미 '돼지들에게' 등 재조명되는 폭력ㆍ위선 고발 작품들 연합뉴스 2018-02-08
- 최영미 시인에게 바치는 글 뱅모 · @bangmo 7th Feb 2018 from TwitLonger
민주당의 신영복 필체 논란
- 대한민국 국기를 간첩전력자 흔적과 같이 내건 민주당?···세상에 이럴수가 펜앤드마이크 2023-03-18
- 민주당, 오늘도 '신영복 글씨체' 버젓이 내걸고 尹정부 외교 규탄···국가관 논란 자초 펜앤드마이크 2023-03-20
국정원 원훈석 논란
- 신영복 글씨 뺀 국정원, 61년전 '김종필 원훈석' 세웠다 중앙일보 2022.06.24
- 국정원, '원훈석 교체' 박지원 경찰 수사 의뢰 연합뉴스 2023-03-17
바뀐 원훈석에는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20년간 복역한 고(故) 신영복 성공회대 교수의 손 글씨를 본뜬 '신영복체'가 쓰여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정원은 1년 만인 지난해 6월 원훈을 초대 원훈인 '우리는 음지에서 일하고 양지를 지향한다'로 복원하고 옛 원훈석을 꺼냈다.
국정원은 "2021년 6월 변경된 이전 원훈석 서체가 정보기관의 정체성을 훼손한다는 지적에 따라 최근 직원 설문조사를 한 결과 첫 원훈을 다시 사용하자는 의견이 절대 다수였던 점을 반영했다"고 복원 이유를 설명했다.
참고 자료
- [현대사 발굴] 최대 규모 對北 逆공작 ‘Z작전’의 전모 월간조선 2010년 10월호
- 통혁당 간부 구출 시도한 北 간첩선 검거는 한국 中情의 逆공작이었다
- [추적] 韓明淑과 남편 朴聖焌은 통혁당 당원이었나? 월간조선 2006년 5월호
- 「朴聖焌은 통혁당 소조책」(당시 中情 발표) 韓明淑, 통혁당 사건으로 실형
중앙정보부는 그가 『서울 商大를 위시한 각 대학 출신 및 재학 중인 기독교계 학생을 모체로 결성된 「기독청년 경제복지회」를 주도하여 資本主義(자본주의) 경제제도를 비판하고 소위 사회주의적 복지경제를 주장하면서 북괴의 경제제도를 찬양, 이를 연구 보급했다』고 했다.
중앙정보부는 朴聖焌씨가 주도한 「기독청년 경제복지회」 등 8개 서클을 통혁당의 「민족해방전선」 산하 조직 가운데 하나라고 발표했다.
당시 수사발표에 따르면, 통혁당은 金鍾泰(김종태)를 黨首(당수)로 하여 「민족해방전선」과 「조국해방전선」의 양대 조직으로 지도부가 구성됐었다. 「민족해방전선」은 金瓆洛(김질락)이 책임비서, 申榮福이 조직책임비서, 이진영이 교양책임비서를 맡았고,「조국해방전선」은 李文奎(이문규)가 책임비서, 尹相煥(윤상환)·吳炳哲(오병철)이 교양책임비서를 맡았다.
관련 영상
여담
소위 신영복을 존경한다는 좌파들은 술자리에서는 처음처럼 소주를 시킨다.
더불어민주당의 더불어도 신영복의 저서 《더불어 숲》에서 따왔다.
조선일보는 신영복에게 2015년 만해문예대상 수여했다. 만해대상은 독립운동가이자 승려 한용운의 뜻을 기리기 위해 제정되었는데, 부문별 상금이 무려 1억이라고 알려져 있어 논란이 되었다.
각주
- ↑ 野 '故신영복의 추억'…"당명, '더불어숲' 되라는 고인 선물" 연합뉴스 2016-01-16
- ↑ 세기와 더불어 - 위키백과
- ↑ 신영복 글씨 뺀 국정원, 61년전 '김종필 원훈석' 세웠다 중앙일보 2022.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