儒敎
개요
유교는 중국 춘추시대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이다.
유교의 특징 또는 핵심 사상은 수기치인(修己治人)으로, 유교가 실현하고자 하는 진리 구현의 방식이 수기치인이다. 수기치인은 자신의 몸과 마음을 닦은 후에 남을 다스리는 것으로서 위정자가 갖추어야 할 덕목이다. 즉, 유교는 자기 자신의 수양에 힘쓰고 천하를 이상적으로 다스리는 것을 목표로 하는 학문이며 또한 그것을 향한 실천이라고도 할 수 있다.
비판적인 시각에서는 지극히 이상주의적이고, 복고주의적이라고 비판한다.
(공자는 신화적인 요순시대를 이상향으로 여기고, 주나라 질서로 돌아갈 것을 주장했다. 김용삼 기자 같은 경우는 철기 시대 때 청동기 시대를 그리워하며 그때로 돌아가야 한다는 게 공자의 유교다 라고 비판한다.)
일본에서는 중국과 조선이 유교의 저주로 망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다.
연관 문서
함께보기
|
- ↑ 천주교계 이단
- ↑ 기독교계 신흥 종교는 개신교 교단에서 이단 지정이 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단 목록은 교단의 정체성에 따라 지정되 수 있으므로 일부 다른부분이 있을 수 있다.-이단사이비대책위원회 주요 결의(2018년 9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