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燕山君[1] | |
지위 |
|
재위 |
1494년 12월 29일 ~ 1506년 9월 2일 (음력) |
즉위식 |
|
재위 |
1483년 2월 6일 ~ 1494년 12월 29일 (음력) |
이름 |
|
휘 |
이융(李漋) |
존호 |
헌천홍도경문위무대왕 (憲天弘道經文緯武大王) |
신상정보 |
|
출생일 |
1476년 11월 7일 (음력) |
출생지 |
|
사망일 |
1506년 11월 6일 (음력) |
사망지 |
|
배우자 |
|
자녀 |
연산군(燕山君, 1476년 11월 23일 ~ 1506년 11월 20일)은 조선의 제10대 왕이다.
생애
빈문단 입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평가
즉위기간 중 폭주한 것은 사실 전체 즉위기간 중 후반 몇년이고, 즉위 기간 초중반 까지는 그래도 정상적인 왕이었다. 막나갔지만 어떤 면에서 조선 역대 왕 중 왕권이 제일 강했던 왕이었다 폭주기간 만이라도, 이에 대한 반동으로 반정 이후 왕들은 신하한테 심심하면 연산군 처럼 될 것이라며 뻑하면 연산군이 소환 되는 바람에 군약신강에 어느정도 기여하였다. 다음 왕 중종 부터 반정공신이 다해 먹고 중종은 꼭두각시 얼굴마담 식의 왕이었으니
폐위 되었으니 광해궁과 더불어 시호가 없다. 사실 단종도 그랬는데 단종은 노산군으로 불리다가 여러 동정적인 여론이 많아 사후 단종으로 추존 되었다.
광해군은 제평가 되서 무슨 중립 외교를 했다며 과대평가도 받지만, 연산군은 거의 폭군의 대명사처럼 되서 그런 것도 없다.
사실 광해군도 실정을 많이 저질렀다. 물론 무슨 유교사당을 기생집으로 바꾼다던지 그런 식으로 막나가는 아니었지만, 광해군도 조선 성리학자 입장에서는 다른 의미에서 막나가긴 했다.
드라마에서는 친모인 폐비윤씨의 대한 내용을 처음 알고 그 이후 흑화 된 것 처럼 묘사되는데, 글쎄 왜 흑화 했는지는 현재로서는 본인이외에는 정확히 알 길이 없다.
가족관계
다음은 연산군의 가족관계이다.[2]
부모
본관 | 생몰년 | 부모 | 비고 | ||
---|---|---|---|---|---|
부 | 성종대왕 成宗大王 | 전주 | 1457년 - 1494년 | 덕종대왕 德宗大王 소혜왕후 한씨 昭惠王后 韓氏 |
제9대 국왕 |
모 | 폐비 윤씨 廢妃 尹氏 제헌왕후 齊獻王后[3][4] |
함안 | 1455년 - 1482년 | 윤기견 尹起畎 고령 신씨 高靈 申氏 |
성종 10년(1479년) 폐위[5] 성종 13년(1482년) 사사[6] |
왕비
정비 | 본관 | 생몰년 | 부모 | 비고 | |
---|---|---|---|---|---|
폐비 신씨 廢妃 愼氏 | 거창 | 1476년 - 1537년 | 거창부원군 신승선 居昌府院君 愼承善 중모현주 이씨 中牟縣主 李氏[7] |
중종반정으로 폐위 |
후궁
작호 | 이름 | 본관 | 생몰년 | 부모 | 비고 | |
---|---|---|---|---|---|---|
숙의 | 숙의 이씨 淑儀 李氏 | 정이 貞伊 | 양성 | 미상 | 이공 李拱 이공의 첩 |
|
숙의 윤씨 淑儀 尹氏 | 해평 | 1481년 - 1568년[8] | 윤훤 尹萱 부안 김씨 扶安 金氏 |
|||
숙의 곽씨 淑儀 郭氏 | 현풍 | 미상 | 곽인 郭璘 안동 권씨 安東 權氏[9] |
중종 17년(1522년) 이후 사망 | ||
숙의 권씨 淑儀 權氏 | 안동 | ? - 1519년[10] | 권영 權齡 충주 박씨 忠州 朴氏 |
|||
숙의 민씨 淑儀 閔氏 | 여흥 | 미상 | 민효손 閔孝孫 파평 윤씨 坡平 尹氏 |
중종 14년(1519년) 이전 사망 | ||
숙용 | 숙용 장씨 淑容 張氏 장녹수 張綠水 |
녹수 綠水 | 흥덕 | ? - 1506년 | 장한필 張漢弼 미상 |
중종반정 때 참수됨 |
숙용 전씨 淑容 田氏 전전비 田田非 |
전비 田非 | 담양 | ? - 1506년 | 미상 | ||
숙용 조씨 淑容 趙氏 | 한양 | 미상 | 조위 趙瑋 조위의 첩 |
|||
숙원 | 숙원 최씨 淑媛 崔氏 | 보비 寶非 | 미상 | 황윤헌의 첩[11] | ||
숙원 장씨 淑媛 張氏 | ||||||
숙원 이씨 淑媛 李氏 | ||||||
숙원 김씨 淑媛 金氏 | 귀비 貴非 | ? - 1506년 | 중종반정 때 참수됨 | |||
나인 | 나인 최씨 內人 崔氏 | 전향 田香 | ? - 1504년 | 연산군 10년(1504년) 처형됨[12] | ||
나인 內人 | 수근비 水斤非 | |||||
나인 정씨 內人 鄭氏 | 금 今 | 미상 | ||||
나인 김씨 內人 金氏 | 숙화 淑華 | ? - 1506년 | 김의 金依 미상 |
나주 기생 백견(白犬) 중종반정 때 참수됨 | ||
기타 | 여완 월하매 麗婉 月下梅 | ? - 1505년 | 미상 | |||
여원 안씨 麗媛 安氏 | 미상 | |||||
장씨 張氏 | ||||||
의녀 강씨 醫女 姜氏 | 금 今 |
왕자
작호 | 이름 | 생몰년 | 생모 | 배우자 | 비고 | |
---|---|---|---|---|---|---|
1 | 원손[13][14] | 1494년 - 1494년 | 폐비 신씨 | |||
2 | 폐세자 廢世子 | 황 𩔇 | 1497년 - 1506년 | 미혼[주 1] | 중종 원년(1506년) 사사됨[15] | |
3 | 양평대군 陽平君[태지 1] | 인 仁 | 1498년 - 1506년 | 숙의 이씨 | ||
4 | 창녕대군 昌寧大君[태지 2] | 성 誠 | 1500년 - 1506년 | 폐비 신씨 | ||
5 | 왕자[태지 3] | 돈수 敦壽 | 1501년 - 1506년 | 미상 | ||
6 | 대군[태지 4][16] | 인수 仁壽 | 1501년 - 1503년 | 폐비 신씨 | ||
7 | 대군[17] | 1502년 - ? | ||||
- | 왕자[16] | 총수 聰壽 | ? - 1503년 | 미상 | [주 2] | |
- | 왕자[16] | 영수 榮壽 | ? - 1503년 | |||
8 | 왕자[태지 5] | 태수 泰壽 | 1506년 - 1506년 |
왕녀
작호 | 이름 | 생몰년 | 생모 | 배우자 | 비고 | |
---|---|---|---|---|---|---|
1 | 휘신공주 徽愼公主[태지 6] 휘순공주 徽順公主 |
수억 壽億 | 1491년 - ? | 폐비 신씨 | 능양위 綾陽尉 구문경 具文璟[18] | 중종반정으로 폐서인 |
2 | 공주[19] | 생몰년 미상[주 3] | ||||
3 | 공주[20][21] | 1495년 - ? | ||||
4 | 옹주[태지 7] | 복억 福億 | 1499년 - ? | 미상 | 미상 | |
5 | 옹주[태지 8] | 복합 福合 | 1501년 - ? | |||
6 | 옹주[22][23] | 영수 靈壽 | 1502년 - ? | 숙용 장씨 | 권한 權鷴인용 오류: <ref> 태그를 닫는 </ref> 태그가 없습니다의 딸 【폐주(廢主)의 숙원 녹주(綠珠)가 폐주에게 굄을 받아 낳은 딸이다.】 에게 은밀히 장가들었으니 지극히 놀라운 일로, 본사(本司)가 추문하다가 형장 추문하기를 청하였습니다. 이는 보통 사람들의 예(例)가 아니기에 아룁니다."
| |
7 | 옹주[태지 9] | 정수 貞壽 | 1505년 - ? | 미상 | 연산군의 서녀 중 한명은 신거홍(愼居弘)과 혼인하였으나 누군지 알 수 없다. | |
- | 옹주[22][23] | 함금 咸今 | 생몰년 미상 | 정금 | ||
- | 옹주[24] | 숙용 전씨 |
기타
빈문단 입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각주
- ↑ 자세한 사용법은 틀:군주 정보 참조.
- ↑ 위키백과 조선 연산군[
][*] 참조
- ↑ 《연산군일기》 52권, 연산 10년(1504년 명 홍치(弘治) 17년) 3월 25일 (병술)
- ↑ 중종반정후 삭탈
- ↑ 《성종실록》 105권, 성종 10년(1479년 명 성화(成化) 15년) 6월 2일 (정해)
- ↑ 《성종실록》 144권, 성종 13년(1482년 명 성화(成化) 18년) 8월 16일 (임자)
- ↑ 세종의 4남 임영대군의 딸
- ↑ 《백화청자 숙의 윤씨 묘지명》
- ↑ 양녕대군의 외손녀
- ↑ 《중종실록》 35권, 중종 14년(1519년 명 정덕(正德) 14년) 2월 27일 (신묘)
- ↑ 《연산군일기》 60권, 연산 11년(1505년 명 홍치(弘治) 18년) 10월 6일 (정사)
왕이 곧 귀여워하고 매우 사랑하여 숙원(淑媛)으로 봉하였는데, 얼굴과 재주가 모두 뛰어나 그보다 나은 후궁이 없었으나 성질이 매우 사납고 괴팍하여 말하기와 웃기를 좋아하지 않았다.
- ↑ 《연산군일기》 54권, 연산 10년(1504년 명 홍치(弘治) 17년) 6월 9일 (무진)
- ↑ 《성종실록》 287권, 성종 25년(1494년 명 홍치(弘治) 7년) 2월 23일 (임오)
- ↑ 《성종실록》 288권, 성종 25년(1494년 명 홍치(弘治) 7년) 3월 29일 (무오)
- ↑ 《중종실록》 1권, 중종 1년(1506년 명 정덕(正德) 1년) 9월 24일 (경자)
- ↑ 16.0 16.1 16.2 《연산군일기》 51권, 연산 9년(1503년 명 홍치(弘治) 16년) 10월 18일 (신해)
"둘째 대군이 졸하였으니, 임사홍을 불러 지리관(地理官)들을 데리고 산소 자리를 가보게 하라. 또 이총수(李聰壽) 아기의 산소 자리 본 관원을 가두고 국문하라.
대저 산소 자리를 보는 것은 동생에게도 모두 길하게 하려는 것인데, 지금 이영수(李榮壽)·총수 두 아이가 잇따라 죽으니, 이는 지리 보는데 조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였다.
- ↑ 《연산군일기》 44권, 연산 8년(1502년 명 홍치(弘治) 15년) 5월 29일 (경자)
(중략)
하였다.
- ↑ 조선
세종의 여덟째 아들인 영응대군의 외손자
- ↑ 《성종대왕 묘지문》
- ↑ 〈연산군부인 신씨 묘지명(燕山君夫人愼氏墓誌銘)〉
(중략) - ↑ 《연산군일기》 3권, 연산 1년(1495년 명 홍치(弘治) 8년) 2월 11일 (을축)
- ↑ 22.0 22.1 《중종실록》 29권, 중종 12년(1517년 명 정덕(正德) 12년) 9월 1일 (갑술)
- ↑ 23.0 23.1 《중종실록》 31권, 중종 13년(1518년 명 정덕(正德) 13년) 1월 17일 (정사)
- ↑ 《연산군일기》 60권, 연산 11년(1505년 명 홍치(弘治) 18년) 10월 12일 (계해)
주해
- ↑ 1506년(연산군 12년) 2월, 정세명(丁世明)의 딸을 세자빈으로 내정하여 납징을 하였으나, 길례를 행하기 전에 중종반정이 일어나 정식으로 세자빈이 되지 못했다. 이후 정세명의 딸은 강희신(姜熙臣)의 아들과 혼인하였다.
- ↑ 폐비 신씨가 1502년 해산에 임박했다는 기록과, 1503년 총수, 영수 왕자가 잇달아 죽었다는 기록만 가지고는 총수, 영수 왕자가 폐비 신씨가 낳은 아들이라고 단정지을 수 없다.
- ↑ 휘신공주(1491년 9월 22일생)와 원손(1494년 2월 23일생)의 출생연도와 생일을 감안하면 1492년 혹은 1493년생으로 1494년 12월 이후에 사망한 것으로 보임
태지석
- ↑ 《왕자 강수아기씨 태지석(王子康壽阿只氏胎誌石)》
- ↑ 《대군 인수(麟壽)아기씨 태지석》
- ↑ 《왕자 돈수아기씨 태지(王子敦壽阿只氏胎誌)》
- ↑ 《대군 인수(仁壽)아기씨 태지》
- ↑ 《왕자 태수아기씨 태지(王子泰壽阿只氏胎誌)》
- ↑ 《세자빈의 딸 수억아기씨 태지(世子嬪女壽億阿只氏胎誌)》
- ↑ 《왕녀 복억아기씨 태지》
- ↑ 《왕녀 복합 태지석》
- ↑ 《왕녀 정수아기씨 태지(王女貞壽阿只氏胎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