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F6F 헬캣은 미국의 그루먼에서 설계하고 미 해군항공대에서 운용하던 함재 전투기로, 미국에서 제로센을 압도적으로 이길수 있는 항공기로선 처음의 항공기이며, F4F 와일드캣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상세

F6F 헬캣은 일본군의 제로센을 모든 미군기가 압도하지 못하던 때, 처음으로 제로센을 압도적으로 이기는 항공기로 출시되었다. F6F는 복렬 18기통의 2200마력 슈퍼차저 엔진을 탑재하였으며, 주 무장으로는 12.7mm M2 브라우닝 6정 또는 20mm 기관포 2문, 12.7mm M2 브라우닝 4정이 주익에 장착되었고 7.7mm 기관총에 대한 완전방호 능력, 20mm 99식 항공기총에 대한 제한적인 방어능력을 갖췄다. F6F는 대량생산되며 일본군을 압도하였고, 일본군이 신형 항공기를 개발하게 되는 이유가 된다.

장점

압도적인 방어력

기존 F4F는 제로센의 탄환을 제대로 방어하지 못해 많이 격추당했는데, F6F는 제로센의 7.7mm 기총에 대한 완전방어, 20mm 기관포에 대한 제한적인 방어능력을 갖추고 방탄유리까지 사용해 제로센의 공격을 모조리 도탄시켜버리거나 비관통시킬 정도로 단단했다. 항공기가 적기의 기총을 완전히 방어하는건 이례적인 일이라, F6F는 일본군에게 격추되지 않는 공포로 여겨졌다.

높은 출력

F6F은 아주 단단한 강판으로 이루어진 동체에도 불구하고 준수한 상승력과 빠른 속도를 보여줬는데 이는 F6F가 2200마력급 18기통 엔진을 장착했기 때문이다. F6F는 2200마력의 출력에서 전투에 필요한 최소한의 출력만을 비행성능에 할당하고 여유출력을 모조리 방탄판에 할당하였으며, 압도적인 방어력을 갖게 되었다.

강력한 무장

F6F는 주로 제로센을 상대했는데 제로센은 작약이 없는 50구경 기관총도 조금만 맞으면 바로 관짝으로 직행하기에 미국의 전투기들은 강력한 한방보단 빠른 연사력과 사격각을 잡기 쉽도록 빠른 롤링을 필요로 했으며, F6F는 6정의 12.7mm 브라우닝을 6정 장착해 제로센을 상대로 대량의 탄을 뿌려 화망을 형성해 쉽게 격추시킬수 있었다.

좋은 급강하 성능

F6F는 에너지 파이팅을 중시한 미국의 전투기 답게 IAS 기준 800km/h까지를 버틸수 있었으며, 제로센을 공격하는걸 실패하면 바로 하강도주를 선택할수 있었다.

싼 가격

F6F는 생산성이 좋고 가격이 쌌다. 1대당 36500달러였으며, 그 싸다는 P-51보다도 저렴했다.

단점

낮은 기동성

F6F는 고속 기동성은 좋은 편이었지만 너무 무거워서 저속 기동성이 나빴다. 그래서 미군은 F6F로 턴파이팅을 하지 않고 붐앤줌을 했다.

낮은 함상 운용성

F6F는 함재기 치고는 너무 무거워서 항모에서의 이착륙이 매우 어렵기로 악명높다.

어려운 시야 확보

F6F는 후방 시야가 막혀있어서 시야 확보에 있어선 제로센에 비해 떨어졌다.

떨어지는 최고속도

F6F의 최고속도는 620km/h로 제로센보다 80km/h 빨랐지만, 생산성을 위해 유선형 부위를 모조리 없애는 바람에 비행 성능도 나빴고 최고속도 또한 2200마력 항공기중 최악이었다.

F6F-5N

F6F-5N은 F6F의 야간 전투기형이며 레이더가 장착되어 색적에 도움을 줬고, 무장의 차이점으론 50구경 기총 2정이 20mm M3 기관포 2문으로 변경되었다는 점이 있다.

전술

F6F는 붐앤줌 전술을 주로 사용했는데, 자신에게 피해를 치명적으로 입힐수 없는 Ki-43, A6M같은 저화력의 기체들을 상대할땐 2인 1조로 운용되었고 1대는 적기의 탄환을 높은 방어력으로 모조리 씹어버리고 다른 1대가 적기가 정신이 팔린 상태일때 격추시켜버리는 식이었다. 단, 제로센의 20mm 기관포는 완전히 방어하지 못하고 제한적으로만 막을수 있어 이 작전을 쓸땐 주의해야 했다.

이후

F6F는 미 해군항공대를 구한 전투기었지만, 비행성능이 나빴기에 모든 면에서 F6F보다 우수한 F4U 콜세어에게 자리를 물려주게 되며, 전후에는 훈련용 표적으로 개조되어서 소모되었다. 하지만 F6F는 각종 미사일을 발사하는 플랫폼으로도 개조되었고, AIM-7 스패로우를 최초로 발사해본 기체가 되기도 했다. 그때 AIM-7을 발사한 기체는 레이더가 달린 야간 전투기형 F6F-5N이었다.

같이 보기

F8F 베어캣

F4U 콜세어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