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임시정부
大韓民國 臨時政府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1919년 ~ 1948년

대한제국

대한민국 제1공화국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기.png
정부 형태
민주공화정

-대통령제 (1919-25)
-내각책임제 (1925-27)
-집단지도체제 (1927-40)

-주석제 (1940-48)
임시 대통령
이승만 (1919-25)
국무령
이동녕 (1927-33)
주석
김구 (1940-47)
이승만 (1947-48)
김규식 (1940-47)
기본 정보
수도
서울(정식 수도)

임시정부 소재지
상하이 (1919~1932)
항저우 (1932~1935)
자싱 (1935)
난징 (1935~1937)
창사 (1937~1938)
광저우 (1938~1939)
치장 (1939~1940)
충칭 (1940~1945)
서울 (1945~1948)

대한민국 임시정부 위치.jpg

1919년 독립선언
1919년 상해임시정부 수립
1919년 한성정부 수립
1919년 임시정부 통합
1919년 임시헌법 공포
1940년 한국 광복군 창설
1941년 대일선전포고
1945년 광복
1948년 정부수립 선포

이전 이후 국가
존속기간
1919년 ~ 1948년
이전 국가
이후 국가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는 1919년 3·1운동 이후 일본통치에 조직적으로 대항햐기 위하여 설립한 대한민국의 망명 정부이다.

수립 과정

편집중 아이콘.png 빈문단 입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주요 활동

여권 발행(?)

상해 임시정부 외교부에서 대한민국 2년 (1920년) 김정극(金正極)에게 발급한 여행증서 제14호가 1986년에 미국에서 발견되었다. 영어나 불어로 Passport라고 적혀 있어 여권으로 볼 수는 있다.

성남광복회 김영강 회원, 선친 김정극 지사의 여권 소개

그러나 당시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승인한 국가는 전무했으므로 이 증서가 실제로 여권의 구실을 할 수는 없었을 것으로 보인다. 김정극이 미국에 유학가서 공부하기 위해 발급받은 여권이라고 하는데, 그는 해당 여권을 미국에 두고 왔다. 실제로 통용된 여권이라면 입출국시 반드시 제시되어야 하므로 미국에 두고 올 수는 없었을 것이다. 이 여권은 제 역할을 할 수 없는 상징적인 것이고, 실제 입출국에는 중국 여권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수반


국무총리제 (1919. 4 ~ 1919. 9)


대통령제 (1919. 9 ~ 1925. 7)


국무령제 (1925. 7 ~ 1927. 4)


국무위원제 (1927. 8 ~ 1940. 10)


주석제 (1940. 10 ~ 1948.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