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글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김성애(金聖愛, 1924년 12월 29일 ~ 2014년 9월)는 북한의 김일성의 세 번째 아내로 알며져있다. 출생지는 평안남도 강서군에서 태어났다. 김일성 타자비서 출신으로<ref>[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4071400329103005&editNo=15&printCount=1&publishDate=1994-07-14&officeId=00032&pageNo=3&printNo=15141&publishType=00010 人物(인물)탐구 金正日(김정일) (2) 전문가들이 말하는「모든것」 出生(출생)·성장환경 : 蘇領(소령) 연해주 병영서 태어나] 1994.07.14 경향신문 3면</ref><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0051300209205001&edtNo=2&printCount=1&publishDate=1990-05-13&officeId=00020&pageNo=5&printNo=21116&publishType=00020 비화 김일성과 북한 : 전 북한군 사단 정치위원 여정(呂政) 수기 <4> 김성애는 시종비서 여군 출신] 1990.05.13 동아일보 5면</ref> 처음 이름은 김성팔(金星八)이다.<ref>[[:파일:1951-03-01 부산일보 2면 조옥희 기사.jpg|김일성 전속 간호사 조옥희(趙玉姬, 25세)의 기자회견 기사]] : 부산일보 1951년 3월 1일자 2면</ref><ref name="yusc">[http://www.hankookilbo.com/News/Read/199011080057393135 6ㆍ25때 북한군 작전국장/유성철 “나의 증언”:7] 한국일보  1990.11.08 </ref> <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1864 여성들 최고회의 대의원 20%나 차지] 중앙일보 1990.11.14 종합 11면</ref>
[[파일:1994-06 김일성-카터.jpg|300픽셀|섬네일|오른쪽|1994년 6월 15일부터 18일까지 나흘간 북한을 개인 자격으로 방문한 [[지미 카터]] 전 미국대통령 부부와 김일성 부부.<ref name="fut">[http://www.future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538 카터의 세 차례 방북(訪北)이 남긴 교훈] 미래한국 2016.04.20</ref> 김일성은 당시 카터에게 미국 방문을 희망한다고 말했다.<ref>[https://www.yna.co.kr/view/AKR20170215146751001 "김정남과 낚시 즐긴 김일성, 카터에 '아끼는 손자'라고 말해"(종합)] 연합뉴스 2017-02-15</ref> 이때가 김성애가 공개 석상에 나타난 마지막이며, 며칠 후인 7월 8일 김일성이 돌연 사망하자 후처 김성애는 이후 김정일 집권기 내내 연금당해 있다 2014년 사망했다고 한다.]]
'''김성애'''(金聖愛, 1924년 12월 29일 ~ 2014년 9월)는 북한의 [[김일성]]의 세 번째 아내로 알려져있다. 출생지는 평안남도 강서군이다. 김일성 타자비서 출신으로<ref>[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4071400329103005&editNo=15&printCount=1&publishDate=1994-07-14&officeId=00032&pageNo=3&printNo=15141&publishType=00010 人物(인물)탐구 金正日(김정일) (2) 전문가들이 말하는「모든것」 出生(출생)·성장환경 : 蘇領(소령) 연해주 병영서 태어나] 1994.07.14 경향신문 3면</ref><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0051300209205001&edtNo=2&printCount=1&publishDate=1990-05-13&officeId=00020&pageNo=5&printNo=21116&publishType=00020 비화 김일성과 북한 : 전 북한군 사단 정치위원 여정(呂政) 수기 <4> 김성애는 시종비서 여군 출신] 1990.05.13 동아일보 5면</ref> 처음 이름은 김성팔(金星八)이다.<ref>[[:파일:1951-03-01 부산일보 2면 조옥희 기사.jpg|김일성 전속 간호사 조옥희(趙玉姬, 25세)의 기자회견 기사]] : 부산일보 1951년 3월 1일자 2면</ref><ref name="yusc">[http://www.hankookilbo.com/News/Read/199011080057393135 6ㆍ25때 북한군 작전국장/유성철 “나의 증언”:7] 한국일보  1990.11.08 </ref><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1864 여성들 최고회의 대의원 20%나 차지] 중앙일보 1990.11.14 종합 11면</ref>


==생애==


자녀로는 김경숙, 김경진, 김평일, 김영일등이 있다.
김일성은 1949년 9월, [[김정숙 (김일성처)|김정숙(金正淑)]]과 사별하고 1950년 1월, [[홍명희#홍명희의 딸이 김일성과 결혼|홍영숙(洪永淑)]]과 재혼하였지만 1950년 8월 사망하였으며, 1951년 6.25 전쟁 중에 자기의 비서였던 김성애와 12월 결혼하였다.


김일성은 1949년 9월, 김정숙(金正淑)과 사별하고 1950년 1월, 홍영숙(洪永淑)과 재혼하였지만 1950년 8월 사망하였으며1951년 6.25 전쟁 중에 자기의 비서였던 김성애와 12월 결혼하였다.
자녀로는 김경숙(金敬淑, 1951 ~ ), 김경진(金經進, 1952 ~ ), [[김평일|김평일(金平日, 1954 ~ )]], 김영일(金英日, 1955~2000) 등 2남 2녀가 있다.


1928년생이라는 설도 있으며, 정확한 일자는 미상이나 2014년에 사망했다고 한다.<ref>[https://www.yna.co.kr/view/AKR20181227070051504 北노동당 '금고지기'에 한광상…김일성 부인 김성애 2014년 사망(종합)] 연합뉴스 2018-12-27 16:47 : 1928년생이라는 설도 있다고 함.</ref><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3241750 통일부 “김정일 의붓 어머니, 김성애 2014년 사망”] 중앙일보 2018.12.27</ref> 


[[김정일]]이 계모를 극도로 미워하여 1994년 7월 [[김일성]] 사후에는 연금되어 감시를 받으며 살았고,<ref>[https://www.rfa.org/korean/weekly_program/ae40c528-c77cac00c758-ac70c9d3acfc-c9c4c2e4/co-jj-09182012095814.html <nowiki>[김씨 일가의 실체]</nowiki> 김일성의 부인 김성애 실성하다] RFA 2012-09-18</ref> 사망 소식도 공식적으로 발표된 적이 없으며 지금은 거의 잊혀졌다. 북한의 최고 권력이 [[김정숙 (김일성처)|김정숙(金正淑)]]의 아들 [[김정일]]과 손자 [[김정은]]으로 이어진 탓에 오늘날 김성애는 거론되는 일조차 없다. 김일성 생전에는 상당기간 김일성의 처로 대외활동을 하여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은 김일성의 처로는 김정숙만 거론될 뿐이다.
==김성애의 출신 가계==
김성애의 부친은 [[6.25 전쟁]] 중에 내각 사무국에서 참사로 근무하는 사람이었다고 한다.<ref name="lyoks">[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0051300209205001&edtNo=2&printCount=1&publishDate=1990-05-13&officeId=00020&pageNo=5&printNo=21116&publishType=00020 『비화(秘話) 김일성(金日成)과 북한(北韓) : 전(前) 북한군(北韓軍) 사단(師團) 정치위원 여정 수기(呂政 手記) <4>』 : 金聖愛(김성애)는 시종비서 女軍(여군) 출신 戰爭(전쟁) 와중 姙娠(임신)┉소문나자 극비 결혼] 동아일보 1990년 5월 13일 5면<br>여정(呂政),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pageNum=1&pageSize=30&srchTarget=total&kwd=KMO199113346 『붉게 물든 대동강 : 前 인민군 사단 정치위원의 수기』] (동아일보사, 1991.07.01)</ref>
김성애가 김일성의 빨치산 동료였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8733 김광협(金光俠, 1915~ ?)]의 동생이라는 설이 있으나 사실로 보기 어렵다. 김광협의 부친이라면 아들보다 낮은 직급에서 일했다고 보기 어렵고, 김성애의 남동생들 김성호, 김성갑 등은 성자를 항렬자로 썼다. 또 김성애의 출생지는 평안남도 강서군이나, 김광협은 함경북도 회령군 출신이므로 이들이 남매간일 가능성은 희박하다.
김광협은 요직을 거쳤지만 김일성 유일체제를 반대하다 1970년경 숙청되었다고 알려져 있다.<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0871808 <nowiki>[인민무력부장傳(2)]</nowiki> 김평일 때문에 숙청된 김광협] 중앙일보 2016.11.15</ref>
==함께 보기==
* [[김일성]]
* [[김정숙 (김일성처)]]
* [[한영애]]
* [[한성희]]
* [[김혜순]]
* [[김일성#김일성의 처와 자녀|김일성의 처와 자녀]]


==가계도==
==가계도==

2024년 6월 28일 (금) 17:39 기준 최신판

1994년 6월 15일부터 18일까지 나흘간 북한을 개인 자격으로 방문한 지미 카터 전 미국대통령 부부와 김일성 부부.[1] 김일성은 당시 카터에게 미국 방문을 희망한다고 말했다.[2] 이때가 김성애가 공개 석상에 나타난 마지막이며, 며칠 후인 7월 8일 김일성이 돌연 사망하자 후처 김성애는 이후 김정일 집권기 내내 연금당해 있다 2014년 사망했다고 한다.

김성애(金聖愛, 1924년 12월 29일 ~ 2014년 9월)는 북한의 김일성의 세 번째 아내로 알려져있다. 출생지는 평안남도 강서군이다. 김일성 타자비서 출신으로[3][4] 처음 이름은 김성팔(金星八)이다.[5][6][7]

생애

김일성은 1949년 9월, 김정숙(金正淑)과 사별하고 1950년 1월, 홍영숙(洪永淑)과 재혼하였지만 1950년 8월 사망하였으며, 1951년 6.25 전쟁 중에 자기의 비서였던 김성애와 12월 결혼하였다.

자녀로는 김경숙(金敬淑, 1951 ~ ), 김경진(金經進, 1952 ~ ), 김평일(金平日, 1954 ~ ), 김영일(金英日, 1955~2000) 등 2남 2녀가 있다.

1928년생이라는 설도 있으며, 정확한 일자는 미상이나 2014년에 사망했다고 한다.[8][9]

김정일이 계모를 극도로 미워하여 1994년 7월 김일성 사후에는 연금되어 감시를 받으며 살았고,[10] 사망 소식도 공식적으로 발표된 적이 없으며 지금은 거의 잊혀졌다. 북한의 최고 권력이 김정숙(金正淑)의 아들 김정일과 손자 김정은으로 이어진 탓에 오늘날 김성애는 거론되는 일조차 없다. 김일성 생전에는 상당기간 김일성의 처로 대외활동을 하여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은 김일성의 처로는 김정숙만 거론될 뿐이다.

김성애의 출신 가계

김성애의 부친은 6.25 전쟁 중에 내각 사무국에서 참사로 근무하는 사람이었다고 한다.[11]

김성애가 김일성의 빨치산 동료였던 김광협(金光俠, 1915~ ?)의 동생이라는 설이 있으나 사실로 보기 어렵다. 김광협의 부친이라면 아들보다 낮은 직급에서 일했다고 보기 어렵고, 김성애의 남동생들 김성호, 김성갑 등은 성자를 항렬자로 썼다. 또 김성애의 출생지는 평안남도 강서군이나, 김광협은 함경북도 회령군 출신이므로 이들이 남매간일 가능성은 희박하다.

김광협은 요직을 거쳤지만 김일성 유일체제를 반대하다 1970년경 숙청되었다고 알려져 있다.[12]

함께 보기

가계도

김형직
金亨稷
1894~1926
강반석
康盤石
1892~1932



한성희
韓聖姫
1914~ ?
김혜순
金惠順
1917~ ?
김정숙
金正淑
1917~1949
김일성
金日成
1912~1994
김성애
金聖愛
1924~2014
제갈씨
諸葛氏
 ? ~ ?



김정일
金正日
1941~2011
김슈라[13]
김만일?
1944~1947
김경희
金敬姬
1946~
김경숙
金敬淑
1951~
김경진
金經進
1952~
김평일
金平日
1954~
김영일
金英日
1955~2000
김백연
사생아
1987~
김현
金現
1971~



홍일천
洪一茜
1942~
성혜림
成蕙琳
1937~2002
김영숙
金英淑
1947~
고용희
高容姬
1952~2004
김옥
金玉
1964~



김혜경
金惠敬
1968 -
김정남
金正男
1971~2017
김설송
金雪松
1974~
김춘송
金春松
1975~
김정철
金正哲
1981 -
김정은
金正恩
1984~
리설주
李雪主
1989 -
김여정
金與正
1988 -



김한솔
金漢率
1995 -
김정주
金○○
2010 -
김주애
金○○
2013 -



범례:


각주

  1. 카터의 세 차례 방북(訪北)이 남긴 교훈 미래한국 2016.04.20
  2. "김정남과 낚시 즐긴 김일성, 카터에 '아끼는 손자'라고 말해"(종합) 연합뉴스 2017-02-15
  3. 人物(인물)탐구 金正日(김정일) (2) 전문가들이 말하는「모든것」 出生(출생)·성장환경 : 蘇領(소령) 연해주 병영서 태어나 1994.07.14 경향신문 3면
  4. 비화 김일성과 북한 : 전 북한군 사단 정치위원 여정(呂政) 수기 <4> 김성애는 시종비서 여군 출신 1990.05.13 동아일보 5면
  5. 김일성 전속 간호사 조옥희(趙玉姬, 25세)의 기자회견 기사 : 부산일보 1951년 3월 1일자 2면
  6. 6ㆍ25때 북한군 작전국장/유성철 “나의 증언”:7 한국일보 1990.11.08
  7. 여성들 최고회의 대의원 20%나 차지 중앙일보 1990.11.14 종합 11면
  8. 北노동당 '금고지기'에 한광상…김일성 부인 김성애 2014년 사망(종합) 연합뉴스 2018-12-27 16:47 : 1928년생이라는 설도 있다고 함.
  9. 통일부 “김정일 의붓 어머니, 김성애 2014년 사망” 중앙일보 2018.12.27
  10. [김씨 일가의 실체] 김일성의 부인 김성애 실성하다 RFA 2012-09-18
  11. 『비화(秘話) 김일성(金日成)과 북한(北韓) : 전(前) 북한군(北韓軍) 사단(師團) 정치위원 여정 수기(呂政 手記) <4>』 : 金聖愛(김성애)는 시종비서 女軍(여군) 출신 戰爭(전쟁) 와중 姙娠(임신)┉소문나자 극비 결혼 동아일보 1990년 5월 13일 5면
    여정(呂政), 『붉게 물든 대동강 : 前 인민군 사단 정치위원의 수기』 (동아일보사, 1991.07.01)
  12. [인민무력부장傳(2)] 김평일 때문에 숙청된 김광협 중앙일보 2016.11.15
  13. 김만일(金萬日, 金萬一, 金万一), Kim Man-il 등으로 알려져있으나 그의 한국식 이름이 김만일이라는 어떤 근거 문헌도 찾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