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
(→개요) |
||
19번째 줄: | 19번째 줄: | ||
사방이 막힌 수에다 상대가 두면 무조건 잡히는 곳을 호랑이 아가리라고 한다고. | 사방이 막힌 수에다 상대가 두면 무조건 잡히는 곳을 호랑이 아가리라고 한다고. | ||
일본에서는 비슷한 의미로 카모(야생오리)라는 말을 쓰기도 한다. 야생오리는 있던 곳으로 반드시 돌아오기에 있던 곳을 기억해서 기다리기만 하면 잡기 쉽다고 | 일본에서는 비슷한 의미로 카모(야생오리)라는 말을 쓰기도 한다. 야생오리는 있던 곳으로 반드시 돌아오기에 있던 곳을 기억해서 기다리기만 하면 잡기 쉽다고 혹은 미끼만 있으면 쉽게 잡을 수 있다는 의미에서 호구같이 속이기 쉬운 상대를 카모라고 한다고 한다. | ||
[[분류:용어해설]] | [[분류:용어해설]] |
2025년 4월 26일 (토) 16:14 판
×
![]() |
우남위키는 자유민주주의, 공정한 세계시장 그리고 북한해방을 지향합니다. |
한국어: 진실, 공정, 인간 존엄성을 위한 파수꾼 일본어: 真実、公正、人間の尊厳のための番人 영어: a watchman fae truth, fairness, and human dignity.
|
虎口
개요
어수룩하여 이용하기 좋은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호랑이의 아가리를 비유적으로 쓴 말.
바독용어라는 썰도 있다.
사방이 막힌 수에다 상대가 두면 무조건 잡히는 곳을 호랑이 아가리라고 한다고.
일본에서는 비슷한 의미로 카모(야생오리)라는 말을 쓰기도 한다. 야생오리는 있던 곳으로 반드시 돌아오기에 있던 곳을 기억해서 기다리기만 하면 잡기 쉽다고 혹은 미끼만 있으면 쉽게 잡을 수 있다는 의미에서 호구같이 속이기 쉬운 상대를 카모라고 한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