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강 미하일 이바노비치'''(Кан Михаил Иванович, Kang Michail Ivanovich, 1910~1961)는 소련의 고려인으로 소련군 장교였으며, 해방 직후 평양의 [[소련 군정]]에서 통역 등의 일을 담당했다. 해방 직후 1945년 10월 15일 평양민보가 창간되기 전 북한의 유일한 신문이었던 소련군 기관지 조선신문(朝鮮新聞)의 편집장을 지냈다.<ref name="vas">[https://ko.wikipedia.org/wiki/%EB%A0%88%EC%98%A4%EB%8B%88%ED%8A%B8_%EB%B0%94%EC%8B%A0 레오니트 바신(Leonid Vasin, 1915~2006)], [https://dlps.nanet.go.kr/SearchDetailView.do?cn=KINX1992032339&sysid=nhn 《「날조된 영웅(英雄)」김일성(金日成)》], 『신동아(新東亞)』 1992년 11월호, pp. 486–488</ref>
'''강 미하일 이바노비치'''(Кан Михаил Иванович, Khan Mikhail Ivanovich, 1910.08.12 ~ 1961.01.03)는 소련의 고려인으로 소련군 장교였으며, 해방 직후 평양의 [[소련 군정]]에서 통역 등의 일을 담당했다. 해방 직후 1945년 10월 15일 평양민보가 창간되기 전 북한의 유일한 신문이었던 소련군 기관지 조선신문(朝鮮新聞)의 편집장을 지냈다.<ref name="vas">[https://ko.wikipedia.org/wiki/%EB%A0%88%EC%98%A4%EB%8B%88%ED%8A%B8_%EB%B0%94%EC%8B%A0 레오니트 바신(Leonid Vasin, 1915~2006)], [https://dlps.nanet.go.kr/SearchDetailView.do?cn=KINX1992032339&sysid=nhn 《「날조된 영웅(英雄)」김일성(金日成)》], 『신동아(新東亞)』 1992년 11월호, pp. 486–488</ref> 소련 군정 당시 그의 계급은 소좌(소령)였고, 중좌(중령)까지 진급했다.<ref name="kz">[https://koreans.kz/news/kan-mihail-sovetskiy-podpolkovnik-s-generalskimi-polnomochiyami.html Кан Михаил – советский подполковник с генеральскими полномочиями] koreans.kz</ref> 그는 잠시나마 소련에 의해 ‘잠재적인’ 북한의 지도자로 고려된 적이 있다.<ref>[https://kr.nknews.org/%EC%BB%AC%EB%9F%AC%EC%82%AC%EC%A7%84%EC%9C%BC%EB%A1%9C-%EB%90%98%EB%8F%8C%EC%95%84%EB%B3%B4%EB%8A%94-%EA%B9%80%EC%9D%BC%EC%84%B1-%EC%8B%9C%EB%8C%80%EC%9D%98-%EC%82%B6/ 컬러사진으로 되돌아보는 김일성 시대의 삶] Fyodor Tertitskiy, NK News 2015년 03월 17일</ref>




==생애==
==생애==
* [http://www.okpedia.kr/Contents/ContentsView?localCode=cis&contentsId=GC95300556 강 미하일 이바노비치] 세계한민족 문화대전
* [http://www.okpedia.kr/Contents/ContentsView?localCode=cis&contentsId=GC95300556 강 미하일 이바노비치] 세계한민족 문화대전
{{인용문|강 미하일 이바노비치는 1910년 8월 12일 러시아 연해주 니콜스크우수리스크에서 태어났다. 한국 이름은 강용구이다.<ref name="kz"/> 1925년부터 1927년까지 니콜스크우수리스크에 있는 학교에서 수학했다. 1931년 11월 러시아 공산당에 입당했으며 1937년 가을부터 1941년까지 카자흐스탄 크질오르다에서 한글 신문 『레닌기치』의 대표로 근무했다. 1941년 4월 카자흐스탄 크질오르다 노동적군으로 입대하여, 소련군 제25군 7호정치국 소좌가 되었다. 1945년 종전 후 북한으로 가서 소련군정 민정사령부의 수석 통역관으로 일했다. 이후 북한 정국 수습과 치안 유지 활동을 했으며, 1948년 12월 북한 주둔 소련군이 철수할 때 소련으로 귀환했다. 강 미하일 이바노비치는 1961년 1월 3일 모스크바에서 사망했다.}}


* [https://www.arirang.ru/veterans/kang_mi.htm КАН МИХАИЛ ИВАНОВИЧ] - Arirang.ru
* [https://koreans.kz/news/kan-mihail-sovetskiy-podpolkovnik-s-generalskimi-polnomochiyami.html Кан Михаил – советский подполковник с генеральскими полномочиями] koreans.kz
: (Khan Mikhail - Soviet lieutenant colonel with general powers)


==참고 자료==
==참고 자료==
13번째 줄: 17번째 줄:
==[[소련 군정]] 당시 사진==
==[[소련 군정]] 당시 사진==
<gallery widths="270px" heights="230px">
<gallery widths="270px" heights="230px">
파일:1945-10-14 Kim Il-sung.jpg|1945년 10월 14일 오후 1시 평양 기림리 공설운동장에서 개최된 '평양시 민중대회'에서 "소련군 진지첸(Цзин Жи-чэн, Jing Zhichen)  대위"가 "항일영웅 김일성 장군"을 자칭하며 처음으로 대중들 앞에 나선 모습. 김일성의 왼편은 소련군 강 미하일 소좌 (소련의 고려인)이고, 뒷줄 소련군 장성들은 맨 오른 쪽부터 [[니콜라이 레베데프]] 소장, [https://ko.wikipedia.org/wiki/%EC%95%88%EB%93%9C%EB%A0%88%EC%9D%B4_%EB%A1%9C%EB%A7%88%EB%84%A8%EC%BD%94 안드레이 로마넨코] 소장, 25군 사령관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B%B0%98_%EC%B9%98%EC%8A%A4%EC%B0%A8%EC%BD%94%ED%94%84 이반 치스차코프] 상장이다.
파일:1945-10-14 Kim Il-sung.jpg|1945년 10월 14일 오후 1시 평양 기림리 공설운동장에서 개최된 '평양시 민중대회'에서 "소련군 진지첸(Цзин Жи-чэн, Jing Zhichen)  대위"가 "항일영웅 김일성 장군"을 자칭하며 처음으로 대중들 앞에 나선 모습. 김일성 왼편은 강 미하일 소좌이고, 뒷줄 소련군 장성들은 맨 오른 쪽부터 [[니콜라이 레베데프]] 소장, [https://ko.wikipedia.org/wiki/%EC%95%88%EB%93%9C%EB%A0%88%EC%9D%B4_%EB%A1%9C%EB%A7%88%EB%84%A8%EC%BD%94 안드레이 로마넨코] 소장, 25군 사령관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B%B0%98_%EC%B9%98%EC%8A%A4%EC%B0%A8%EC%BD%94%ED%94%84 이반 치스차코프] 상장이다.


파일:1945-10-14-김일성과 Mekler 중좌.jpg|1945년 10월 14일 '평양시 민중대회' 당일의 사진. 좌로부터 통역을 맡았던 강미하일 소련군 소좌 (고려인), 김일성 및 소련군 [https://ko.wikipedia.org/wiki/그리고리_메클레르 그리고리 메클레르(Григорий  Меклер, 1909~2006)] 중좌.
파일:1945-10-14-김일성과 Mekler 중좌.jpg|1945년 10월 14일 '평양시 민중대회' 당일의 사진. 좌로부터 통역을 맡았던 강미하일 소련군 소좌 (고려인), 김일성 및 소련군 [https://ko.wikipedia.org/wiki/그리고리_메클레르 그리고리 메클레르(Григорий  Меклер, 1909~2006)] 중좌.
19번째 줄: 23번째 줄:
파일:1945-10-14 만경대를 찾은 김일성.jpg|1945년 10월 14일 평양시 민중대회가 끝난 후 저녁 무렵 만경대를 찾은 김일성. 앞줄 왼쪽 끝이 강미하일 소좌, 오른 쪽 끝이 [https://ko.wikipedia.org/wiki/그리고리_메클레르 그리고리 메클레르] 중좌, 화살표가 김일성. 세 사람의 복장이 민중대회 행사 당일의 것과 동일하며, 김일성은 여전히 적기훈장을 달고 있다.
파일:1945-10-14 만경대를 찾은 김일성.jpg|1945년 10월 14일 평양시 민중대회가 끝난 후 저녁 무렵 만경대를 찾은 김일성. 앞줄 왼쪽 끝이 강미하일 소좌, 오른 쪽 끝이 [https://ko.wikipedia.org/wiki/그리고리_메클레르 그리고리 메클레르] 중좌, 화살표가 김일성. 세 사람의 복장이 민중대회 행사 당일의 것과 동일하며, 김일성은 여전히 적기훈장을 달고 있다.
</gallery>
</gallery>
==가족 관계==
그의 가족 관계는 아래와 같다.<ref name="kz"/>
* 부친 Khan Ivan (died 1947)
* 배우자 Li Lyudmila Alekseevna (1919-1993)
* 장남 Valery (born 1941)
* 차남 Vladimir (born 1943)
* 장녀 Svetlana (1939–1946)
* 차녀 Mariana (born 1947)
* 3녀 Tamara (born 1951)


{{각주}}
{{각주}}
25번째 줄: 39번째 줄:
[[분류:소련 고려인]]
[[분류:소련 고려인]]
[[분류:김일성]]
[[분류:김일성]]
[[분류:북한의 신문]]

2022년 11월 20일 (일) 18:58 기준 최신판

강 미하일 이바노비치(Кан Михаил Иванович, Khan Mikhail Ivanovich, 1910.08.12 ~ 1961.01.03)는 소련의 고려인으로 소련군 장교였으며, 해방 직후 평양의 소련 군정에서 통역 등의 일을 담당했다. 해방 직후 1945년 10월 15일 평양민보가 창간되기 전 북한의 유일한 신문이었던 소련군 기관지 조선신문(朝鮮新聞)의 편집장을 지냈다.[1] 소련 군정 당시 그의 계급은 소좌(소령)였고, 중좌(중령)까지 진급했다.[2] 그는 잠시나마 소련에 의해 ‘잠재적인’ 북한의 지도자로 고려된 적이 있다.[3]


생애

강 미하일 이바노비치는 1910년 8월 12일 러시아 연해주 니콜스크우수리스크에서 태어났다. 한국 이름은 강용구이다.[2] 1925년부터 1927년까지 니콜스크우수리스크에 있는 학교에서 수학했다. 1931년 11월 러시아 공산당에 입당했으며 1937년 가을부터 1941년까지 카자흐스탄 크질오르다에서 한글 신문 『레닌기치』의 대표로 근무했다. 1941년 4월 카자흐스탄 크질오르다 노동적군으로 입대하여, 소련군 제25군 7호정치국 소좌가 되었다. 1945년 종전 후 북한으로 가서 소련군정 민정사령부의 수석 통역관으로 일했다. 이후 북한 정국 수습과 치안 유지 활동을 했으며, 1948년 12월 북한 주둔 소련군이 철수할 때 소련으로 귀환했다. 강 미하일 이바노비치는 1961년 1월 3일 모스크바에서 사망했다.
(Khan Mikhail - Soviet lieutenant colonel with general powers)

참고 자료


소련 군정 당시 사진

가족 관계

그의 가족 관계는 아래와 같다.[2]

  • 부친 Khan Ivan (died 1947)
  • 배우자 Li Lyudmila Alekseevna (1919-1993)
  • 장남 Valery (born 1941)
  • 차남 Vladimir (born 1943)
  • 장녀 Svetlana (1939–1946)
  • 차녀 Mariana (born 1947)
  • 3녀 Tamara (born 1951)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