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남위키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최신 | 오래됨) (다음 250개 | 이전 2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2025년 5월 8일 (목) 22:0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溫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溫 |훈음= 따뜻할 온 |부수= 水 |나머지 획수= 10획 |총 획수= 13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温 |일본어 음독= オン, ウン |일본어 훈독= あたた-か, あたた-かい, ぬく-い, ぬく-まる, ぬる-い, たず-ねる, つつ-む |간체자= 温 |표준 중국어= wēn |이체 = }} ==개요== <b>溫</b>(따뜻할 온)는 부수가 水이고 나머지 획수는 10획이다. 총...)
- 2025년 5월 8일 (목) 22:0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式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式 |훈음= 법 식 |부수= 弋 |나머지 획수= 3획 |총 획수= 6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シキ, ショク |일본어 훈독= のっと-る, のり |간체자= - |표준 중국어= shì |이체 = }} ==개요== <b>式</b>(법 식)는 부수가 弋이고 나머지 획수는 3획이다. 총 획수는 6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
- 2025년 5월 8일 (목) 22:0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速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速 |훈음= 빠를 속 |부수= 辵 |나머지 획수= 7획 |총 획수= 11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速 |일본어 음독= ソク |일본어 훈독= はや-い, はや-める, |간체자= 0 |표준 중국어= 速 |이체 = }} ==개요== <b>速</b>(빠를 속)는 부수가 辵이고 나머지 획수는 7획이다. 총 획수는 11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
- 2025년 5월 8일 (목) 22:0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朴 |훈음= 성 박 |부수= 木 |나머지 획수= 2획 |총 획수= 6획 |교육용= 중학교[1]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ボク, ハク |일본어 훈독= すなお, ほお, えのぎ |간체자= - |표준 중국어= piáo, pò, pú |이체 = }} ==개요== <b>朴</b>(성 박)는 부수가 木이고 나머지 획수는 2획이다. 총 획수는 6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1]...)
- 2025년 5월 8일 (목) 22:01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綠 |훈음= 푸를 록 |부수= 糸 |나머지 획수= 8획 |총 획수= 14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緑 |일본어 음독= リョク, (ロク) |일본어 훈독= みどり |간체자= 绿 |표준 중국어= lù, lǜ |이체 = }} ==개요== <b>綠</b>(푸를 록)는 부수가 糸이고 나머지 획수는 8획이다. 총 획수는 14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
- 2025년 5월 8일 (목) 22:01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度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度 |훈음= 법도 도, 헤아릴 탁 |부수= 广 |나머지 획수= 6획 |총 획수= 9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ド, (ト, タク) |일본어 훈독= たび, のり, はか-る, めもり, わた-る |간체자= - |표준 중국어= dù, duó |이체 = }} ==개요== <b>度</b>(법도 도, 헤아릴 탁)는 부수가 广이고 나머지 획수는 6획이다. 총 획수는 9획으로 이...)
- 2025년 5월 8일 (목) 22:01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根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根 |훈음= 뿌리 근 |부수= 木 |나머지 획수= 6획 |총 획수= 10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コン |일본어 훈독= ね |간체자= - |표준 중국어= gēn |이체 = }} ==개요== <b>根</b>(뿌리 근)는 부수가 木이고 나머지 획수는 6획이다. 총 획수는 10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6급에...)
- 2025년 5월 8일 (목) 22:0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古 |훈음= 옛 고 |부수= 口 |나머지 획수= 2획 |총 획수= 5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コ |일본어 훈독= ふる-い, ふる-す, いにしえ |간체자= - |표준 중국어= gǔ |이체 = }} ==개요== <b>古</b>(옛 고)는 부수가 口이고 나머지 획수는 2획이다. 총 획수는 5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
- 2025년 5월 8일 (목) 21:5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章 |훈음= 글 장 |부수= 立 |나머지 획수= 6획 |총 획수= 11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ショウ |일본어 훈독= あや, しるし, ふみ |간체자= - |표준 중국어= zhāng |이체 = }} ==개요== <b>章</b>(글 장)는 부수가 立이고 나머지 획수는 6획이다. 총 획수는 11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 2025년 5월 8일 (목) 21:5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晝 |훈음= 낮 주 |부수= 日 |나머지 획수= 7획 |총 획수= 11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昼 |일본어 음독= チュウ |일본어 훈독= ひる |간체자= 昼 |표준 중국어= zhòu |이체 = }} ==개요== <b>晝</b>(낮 주)는 부수가 日이고 나머지 획수는 7획이다. 총 획수는 11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6급...)
- 2025년 5월 8일 (목) 21:5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合 |훈음= 합할 합 |부수= 口 |나머지 획수= 3획 |총 획수= 6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ゴウ, ガッ, (カッ), コウ |일본어 훈독= あ-う, あ-わす, あ-わせる |간체자= - |표준 중국어= gě, hé |이체 = }} ==개요== <b>合</b>(합할 합)는 부수가 口이고 나머지 획수는 3획이다. 총 획수는 6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
- 2025년 5월 8일 (목) 21:5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油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油 |훈음= 기름 유 |부수= 水 |나머지 획수= 5획 |총 획수= 8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ユ |일본어 훈독= あぶら |간체자= - |표준 중국어= yóu |이체 = }} ==개요== <b>油</b>(기름 유)는 부수가 水이고 나머지 획수는 5획이다. 총 획수는 8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6급에...)
- 2025년 5월 8일 (목) 21:5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永 |훈음= 길 영 |부수= 水 |나머지 획수= 1획 |총 획수= 5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エイ, ヨウ |일본어 훈독= なが-い, とこしえ |간체자= - |표준 중국어= yǒng |이체 = }} ==개요== <b>永</b>(길 영)는 부수가 水이고 나머지 획수는 1획이다. 총 획수는 5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
- 2025년 5월 8일 (목) 21:5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野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野 |훈음= 들 야 |부수= 里 |나머지 획수= 4획 |총 획수= 11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ヤ, ショ |일본어 훈독= の, いなかや, いや-しい |간체자= - |표준 중국어= yě |이체 = }} ==개요== <b>野</b>(들 야)는 부수가 里이고 나머지 획수는 4획이다. 총 획수는 11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 2025년 5월 8일 (목) 21:5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勝 |훈음= 이길 승 |부수= 力 |나머지 획수= 10획 |총 획수= 12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勝[1] |일본어 음독= ショウ |일본어 훈독= か-つ, まさ-る, すぐ-れる, た-える |간체자= 胜 |표준 중국어= shèng |이체 = }} ==개요== <b>勝</b>(이길 승)는 부수가 力이고 나머지 획수는 10획이다. 총 획수는 12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
- 2025년 5월 8일 (목) 21:5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服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服 |훈음= 옷 복 |부수= 月 |나머지 획수= 4획 |총 획수= 8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フク |일본어 훈독= きもの, き-る, したが-う, の-む |간체자= - |표준 중국어= fú, fù |이체 = }} ==개요== <b>服</b>(옷 복)는 부수가 月이고 나머지 획수는 4획이다. 총 획수는 8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
- 2025년 5월 8일 (목) 21:5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路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路 |훈음= 길 로 |부수= 足 |나머지 획수= 6획 |총 획수= 13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ロ |일본어 훈독= じ, くるま, みち |간체자= - |표준 중국어= lù |이체 = }} ==개요== <b>路</b>(길 로)는 부수가 足이고 나머지 획수는 6획이다. 총 획수는 13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 2025년 5월 8일 (목) 21:5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待 |훈음= 기다릴 대 |부수= 彳 |나머지 획수= 6획 |총 획수= 9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タイ |일본어 훈독= ま-つ |간체자= - |표준 중국어= dāi, dài |이체 = }} ==개요== <b>待</b>(기다릴 대)는 부수가 彳이고 나머지 획수는 6획이다. 총 획수는 9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
- 2025년 5월 8일 (목) 21:5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郡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郡 |훈음= 고을 군 |부수= 邑 |나머지 획수= 7획 |총 획수= 10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グン |일본어 훈독= こおり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ùn |이체 = }} ==개요== <b>郡</b>(고을 군)는 부수가 邑이고 나머지 획수는 7획이다. 총 획수는 10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6급...)
- 2025년 5월 8일 (목) 21:5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京 |훈음= 서울 경 |부수= 亠 |나머지 획수= 6획 |총 획수= 8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ョウ, ケイ, キン |일본어 훈독= みやこ |간체자= 京 |표준 중국어= jīng |이체 = }} ==개요== <b>京</b>(서울 경)는 부수가 亠이고 나머지 획수는 6획이다. 총 획수는 8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
- 2025년 5월 8일 (목) 21:5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神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神 |훈음= 귀신 신 |부수= 示 |나머지 획수= 5획 |총 획수= 10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준6급 |신자체= 神 |일본어 음독= シン, ジン |일본어 훈독= かみ, (かん, こう), たましい |간체자= 神 |표준 중국어= shén |이체 = }} ==개요== <b>神</b>(귀신 신)는 부수가 示이고 나머지 획수는 5획이다. 총 획수는 10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 2025년 5월 8일 (목) 21:51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會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會 |훈음= 모일 회 |부수= 曰 |나머지 획수= 9획 |총 획수= 13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준6급 |신자체= 会 |일본어 음독= カイ, エ |일본어 훈독= あ-う, あつ-まる, あつ-める |간체자= 会 |표준 중국어= huì, kuài |이체 = }} ==개요== <b>會</b>(모일 회)는 부수가 曰이고 나머지 획수는 9획이다. 총 획수는 13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 2025년 5월 8일 (목) 21:51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集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集 |훈음= 모을 집 |부수= 隹 |나머지 획수= 4획 |총 획수= 12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준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シュウ |일본어 훈독= あつ-まる, あつ-める, つど-う, |간체자= 0 |표준 중국어= 集 |이체 = }} ==개요== <b>集</b>(모을 집)는 부수가 隹이고 나머지 획수는 4획이다. 총 획수는 12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 2025년 5월 8일 (목) 21:51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戰 |훈음= 싸움 전 |부수= 戈 |나머지 획수= 12획 |총 획수= 16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준6급 |신자체= 戦 |일본어 음독= セン |일본어 훈독= いくさ, たたか-う, おのの-く, そよ-ぐ |간체자= 战 |표준 중국어= zhàn |이체 = }} ==개요== <b>戰</b>(싸움 전)는 부수가 戈이고 나머지 획수는 12획이다. 총 획수는 16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
- 2025년 5월 8일 (목) 21:51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飮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飮 |훈음= 마실 음 |부수= 食 |나머지 획수= 4획 |총 획수= 13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준6급 |신자체= 飲[1] |일본어 음독= イン, オン |일본어 훈독= の-む |간체자= 饮 |표준 중국어= yǐn, yìn |이체 = }} ==개요== <b>飮</b>(마실 음)는 부수가 食이고 나머지 획수는 4획이다. 총 획수는 13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 2025년 5월 8일 (목) 21:51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業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業 |훈음= 업 업 |부수= 木 |나머지 획수= 9획 |총 획수= 13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준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ギョウ, ゴウ |일본어 훈독= わざ |간체자= 业 |표준 중국어= yè |이체 = }} ==개요== <b>業</b>(업 업)는 부수가 木이고 나머지 획수는 9획이다. 총 획수는 13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
- 2025년 5월 8일 (목) 21:5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省 |훈음= 살필 성, 덜 생 |부수= 目 |나머지 획수= 4획 |총 획수= 9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준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セイ, ショウ |일본어 훈독= かえり-みる, はぶ-く |간체자= - |표준 중국어= shěng, xǐng |이체 = }} ==개요== <b>省</b>(살필 성, 덜 생)는 부수가 目이고 나머지 획수는 4획이다. 총 획수는 9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
- 2025년 5월 8일 (목) 21:5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社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社 |훈음= 모일 사 |부수= 示 |나머지 획수= 3획 |총 획수= 8획 |교육용= 고등학교 |어문회 급수= 준6급 |신자체= 社[A] |일본어 음독= シャ |일본어 훈독= やしろ |간체자= 社[A] |표준 중국어= shè |이체 = }} ==개요== <b>社</b>(모일 사)는 부수가 示이고 나머지 획수는 3획이다. 총 획수는 8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고등학교 한자이고, 어문...)
- 2025년 5월 8일 (목) 21:4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班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班 |훈음= 나눌 반 |부수= 玉 |나머지 획수= 6획 |총 획수= 10획 |교육용= 고등학교 |어문회 급수= 준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ハン |일본어 훈독= かえ-す, わ-ける |간체자= - |표준 중국어= bān |이체 = }} ==개요== <b>班</b>(나눌 반)는 부수가 玉이고 나머지 획수는 6획이다. 총 획수는 10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고등학교 한자이고,...)
- 2025년 5월 8일 (목) 21:4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理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理 |훈음= 다스릴 리 |부수= 玉 |나머지 획수= 7획 |총 획수= 11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준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リ |일본어 훈독= おさ-める, ことわり, すじ |간체자= - |표준 중국어= lǐ |이체 = }} ==개요== <b>理</b>(다스릴 리)는 부수가 玉이고 나머지 획수는 7획이다. 총 획수는 11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
- 2025년 5월 8일 (목) 21:4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讀 |훈음= 읽을 독, 구절 두 |부수= 言 |나머지 획수= 15획 |총 획수= 22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준6급 |신자체= 読 |일본어 음독= ドク, トク, (トウ) |일본어 훈독= よ-む |간체자= 读 |표준 중국어= dòu, dú |이체 = }} ==개요== <b>讀</b>(읽을 독, 구절 두)는 부수가 言이고 나머지 획수는 15획이다. 총 획수는 22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
- 2025년 5월 8일 (목) 21:4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短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短 |훈음= 짧을 단 |부수= 矢 |나머지 획수= 7획 |총 획수= 12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준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タン |일본어 훈독= みじか-い |간체자= - |표준 중국어= duǎn |이체 = }} ==개요== <b>短</b>(짧을 단)는 부수가 矢이고 나머지 획수는 7획이다. 총 획수는 12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
- 2025년 5월 8일 (목) 21:4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髙 |훈음= 높을 고 |부수= 高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10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준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コウ |일본어 훈독= たか-い, たか, たか-まる, たか-める |간체자= - |표준 중국어= gāo |이체 = }} ==개요== <b>髙</b>(높을 고)는 부수가 高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10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
- 2025년 5월 8일 (목) 18:0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틀:서울특별시의 대학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틀:서울특별시의 대학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5년 5월 8일 (목) 18:0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장로회신학대학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좌표|37|33|1.7|N|127|6|12.5|E|type:edu|display=title}} {{대학 정보 |이름 = 장로회신학대학교<br />{{lang|en|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로고 = |그림 = |설명 = |표어 = 경건과 학문 |건학이념 = |설립 = {{시작 날짜|1901}} |개교 = 1961년 2월 2일 |폐교 = |해체 = |종류 = 사립 |설립자 = 새뮤얼 오스틴 모펫 |총장 = 김운용 |부...)
- 2025년 5월 8일 (목) 17:5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총신대학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대학 정보 |이름 = 총신대학교<br/>{{lang|en|Chongshin University}} |그림 = 총신대학교.jpg |설명 = 총신대학교 본관 |표어 = 세상의 빛이 되는 젊은 지성 |건학이념 = 신자가 되라, 학자가 되라, 성자가 되라,{{-}} 전도자가 되라, 목자가 되라 |설립 = {{시작 날짜|1901|5|15}} |개교 = 1967년 6월 2일 |종류 = 사립대학 |설립자 = 새뮤얼 오스틴 모펫(Samuel A. Moffet) |총장 = 박성규 |국...)
- 2025년 5월 8일 (목) 17:4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용인대학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대학 정보 |이름 = 용인대학교<br/>{{lang|en|Yong In University}} |그림 = |설명 = 용인대학교 대학본부 |표어 = 재능을 꽃 피우다 |건학이념 = 道義相磨 欲而爲人<br />(도의를 갈고 닦아 사회에 이바지할 수 있는 인간이 되자) |설립 = {{시작 날짜|1953|6|15}} |개교 = 1953년 6월 15일 |종류 = 사립 대학<br />종합대학 |총장 = 한진수 |국가 = 대한민국 |학문제휴=OCUC |위치 = ...)
- 2025년 5월 8일 (목) 17:43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수원가톨릭대학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좌표|37|11|37.5|N|126|56|3.1|E|type:edu|display=title}} {{대학 정보 |이름 = 수원가톨릭대학교 |로고 = |그림 = |설명 = |교훈 = |설립 = 1983년 |개교 = 1984년 |폐교 = |해체 = |종류 = 사립 |설립자 = |총장 = 박찬호(필립보) 신부 |부총장 = |학장 = |국가 = {{KOR}} |위치 =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왕림1길 67 |규모...)
- 2025년 5월 8일 (목) 17:4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성결대학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대학 정보 |이름 = 성결대학교<br />{{lang|en|Sungkyul University}} |그림 = 성결대학술정보관.png |설명 = 성결대학교 학술정보관 |표어 = 기독교 문화 중심의 교육 혁신 대학 도시 |건학이념 = 전인적인 하나님의 사람 양성 |설립 = {{시작 날짜|1962|09|20}} |개교 = 1965년 1월 13일 |종류 = 사립 |총장 = 김상식 |국가 = 대한민국 |위치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 2025년 5월 8일 (목) 17:3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서울장신대학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대학 정보 | 이름 = 서울장신대학교<br />{{lang|en|Seoul Jangsin University}} | 종류 = 사립 | 설립 = {{시작 날짜|1954|4}} | 개교 = 1984년 12월 21일 | 표어 = 한알의 밀이 땅이 떨어져 죽지 아니하면 한 알 그대로 있고 죽으면 많은 열매를 맺느니라(요 12:24) | 총장 = 한홍신 | 설립자 =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2025년 5월 8일 (목) 17:3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광주시 (경기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광주시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5년 5월 8일 (목) 17:2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서울신학대학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대학 정보 |그림 = |이름 = 서울신학대학교<br />서울神學大學校<br />{{lang|en|Seoul Theological University}} |표어 = 미래를 창조하려면 세계를 꿈꿔라 |건학이념 = 서울신학대학교는 웨슬리안 복음주의 성결운동의 전통과 기독교대한성결교회의 헌법에 입각하여 기독교 사역자 및 전문인을 양성하는 교육기관으로서 높은 학문적 수준과 깊은 신앙생활을 강조하여 성경적 세...)
- 2025년 5월 8일 (목) 17:2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틀:경기도의 대학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틀:경기도의 대학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5년 5월 8일 (목) 11:1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삼육대학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대학 정보 | 이름 = 삼육대학교<br />Sahmyook University | 그림 = | 설명 = 삼육대학교 100주년 기념관 | 표어 = 사람을 변화시키는 교육<br />세상을 변화시키는 대학 | 설립 = 1906년 10월 10일 | 개교 = | 종류 = 사립 | 총장 = 제해종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 815<Br> {{좌표|37|38|34.6|N|127|6|19.7|E|}} | 상징 = | 종교 = 개신교(...)
- 2025년 5월 7일 (수) 19:2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勍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勍 |훈음= 굳셀 경 |부수= 力 |나머지 획수= 8획 |총 획수= 10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ケイ |일본어 훈독= つよ-い |간체자= - |표준 중국어= qíng |이체 = }} ==개요== <b>勍</b>(굳셀 경)는 부수가 力이고 나머지 획수는 8획이다. 총 획수는 10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
- 2025년 5월 7일 (수) 19:1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倞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倞 |훈음= 굳셀 경 |부수= 人 |나머지 획수= 8획 |총 획수= 10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ケイ, リョウ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ìng |이체 = }} ==개요== <b>倞</b>(굳셀 경)는 부수가 人이고 나머지 획수는 8획이다. 총 획수는 10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
- 2025년 5월 7일 (수) 19:1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箝 |훈음= 재갈 겸 |부수= 竹 |나머지 획수= 8획 |총 획수= 14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ン, ケン |일본어 훈독= くびかせ, つぐ-む, はさ-む |간체자= - |표준 중국어= qián |이체 = }} ==개요== <b>箝</b>(재갈 겸)는 부수가 竹이고 나머지 획수는 8획이다. 총 획수는 14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
- 2025년 5월 7일 (수) 19:1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鉗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鉗 |훈음= 집게 겸 |부수= 金 |나머지 획수= 5획 |총 획수= 13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ン, ケン |일본어 훈독= かなばさみ, くびかせ, と-じる, はさ-む |간체자= 钳 |표준 중국어= qián |이체 = }} ==개요== <b>鉗</b>(집게 겸)는 부수가 金이고 나머지 획수는 5획이다. 총 획수는 13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
- 2025년 5월 7일 (수) 19:1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慊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慊 |훈음= 앙심먹을 겸/족할 협 |부수= 心 |나머지 획수= 10획 |총 획수= 13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ョウ, ケン |일본어 훈독= あきた-りない, あきた-りる |간체자= - |표준 중국어= qiàn |이체 = }} ==개요== <b>慊</b>(앙심먹을 겸/족할 협)는 부수가 心이고 나머지 획수는 10획이다. 총 획수는 13획으로 이루...)
- 2025년 5월 7일 (수) 19:1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黔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黔 |훈음= 검을 검 |부수= 黑 |나머지 획수= 4획 |총 획수= 16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ケン |일본어 훈독= くろ-い, くろ-む |간체자= - |표준 중국어= qián |이체 = }} ==개요== <b>黔</b>(검을 검)는 부수가 黑이고 나머지 획수는 4획이다. 총 획수는 16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
- 2025년 5월 7일 (수) 19:1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劒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劍 |훈음= 칼 검 |부수= 刀 |나머지 획수= 13획 |총 획수= 15획 |교육용= 고등학교 |어문회 급수= 준3급 |신자체= 剣 |일본어 음독= ケン |일본어 훈독= つるぎ |간체자= 剑 |표준 중국어= jiàn |이체 = }} ==개요== <b>劍</b>(칼 검)는 부수가 刀이고 나머지 획수는 13획이다. 총 획수는 15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고등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급...)
- 2025년 5월 7일 (수) 19:1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迲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迲 |훈음= 자래 겁 |부수= 辵 |나머지 획수= 5획 |총 획수= 9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 |이체 = }} ==개요== <b>迲</b>(자래 겁)는 부수가 辵이고 나머지 획수는 5획이다. 총 획수는 9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준특급에 해...)
- 2025년 5월 7일 (수) 19:1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抉 |훈음= 도려낼 결 |부수= 手 |나머지 획수= 4획 |총 획수= 7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ケツ |일본어 훈독= えぐ-る, こ-じる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ué |이체 = }} ==개요== <b>抉</b>(도려낼 결)는 부수가 手이고 나머지 획수는 4획이다. 총 획수는 7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 2025년 5월 7일 (수) 19:1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鎌 |훈음= 낫 겸 |부수= 金 |나머지 획수= 10획 |총 획수= 18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鎌[1] |일본어 음독= レン |일본어 훈독= かま |간체자= 镰 |표준 중국어= lián |이체 = }} ==개요== <b>鎌</b>(낫 겸)는 부수가 金이고 나머지 획수는 10획이다. 총 획수는 18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
- 2025년 5월 7일 (수) 19:1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瞼 |훈음= 눈시울 검 |부수= 目 |나머지 획수= 13획 |총 획수= 18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𥇥 |일본어 음독= - |일본어 훈독= まぶた |간체자= 睑 |표준 중국어= jiǎn |이체 = }} ==개요== <b>瞼</b>(눈시울 검)는 부수가 目이고 나머지 획수는 13획이다. 총 획수는 18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 2025년 5월 7일 (수) 19:1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鈐 |훈음= 자물쇠 검 |부수= 金 |나머지 획수= 4획 |총 획수= 12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ケン |일본어 훈독= - |간체자= 钤 |표준 중국어= qián |이체 = }} ==개요== <b>鈐</b>(자물쇠 검)는 부수가 金이고 나머지 획수는 4획이다. 총 획수는 12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
- 2025년 5월 7일 (수) 19:1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蹇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蹇 |훈음= 절 건 |부수= 足 |나머지 획수= 10획 |총 획수= 17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 |일본어 훈독= あしなえ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iǎn |이체 = }} ==개요== <b>蹇</b>(절 건)는 부수가 足이고 나머지 획수는 10획이다. 총 획수는 17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준...)
- 2025년 5월 7일 (수) 19:1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祛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祛 |훈음= 떨어없앨 거 |부수= 示 |나머지 획수= 5획 |총 획수= 10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ョ |일본어 훈독= - |간체자= 祛 |표준 중국어= qū |이체 = }} ==개요== <b>祛</b>(떨어없앨 거)는 부수가 示이고 나머지 획수는 5획이다. 총 획수는 10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
- 2025년 5월 7일 (수) 19:1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据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据 |훈음= 일할/의거할 거 |부수= 手 |나머지 획수= 8획 |총 획수= 11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ョ |일본어 훈독= す-える, す-わる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ū |이체 = }} ==개요== <b>据</b>(일할/의거할 거)는 부수가 手이고 나머지 획수는 8획이다. 총 획수는 11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 2025년 5월 7일 (수) 19:1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愆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愆 |훈음= 허물 건 |부수= 心 |나머지 획수= 9획 |총 획수= 13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ケン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qiān |이체 = }} ==개요== <b>愆</b>(허물 건)는 부수가 心이고 나머지 획수는 9획이다. 총 획수는 13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준특...)
- 2025년 5월 7일 (수) 19:1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遽 |훈음= 급할 거 |부수= 辵 |나머지 획수= 13획 |총 획수= 17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ョ |일본어 훈독= あわただ-しい, あわ-てる, おそ-れる, |간체자= 0 |표준 중국어= - |이체 = }} ==개요== <b>遽</b>(급할 거)는 부수가 辵이고 나머지 획수는 13획이다. 총 획수는 17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
- 2025년 5월 7일 (수) 19:1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炬 |훈음= 횃불 거 |부수= 火 |나머지 획수= 5획 |총 획수= 9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ョ, コ |일본어 훈독= かがりび, たいまつ, ともしび, や-く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ù |이체 = }} ==개요== <b>炬</b>(횃불 거)는 부수가 火이고 나머지 획수는 5획이다. 총 획수는 9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 2025년 5월 7일 (수) 19:1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踞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踞 |훈음= 걸어앉을 거 |부수= 足 |나머지 획수= 8획 |총 획수= 15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ョ, コ |일본어 훈독= うずくま-る, おご-る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ù |이체 = }} ==개요== <b>踞</b>(걸어앉을 거)는 부수가 足이고 나머지 획수는 8획이다. 총 획수는 15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
- 2025년 5월 7일 (수) 19:1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盖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蓋 |훈음= 덮을 개 |부수= 艸 |나머지 획수= 10획 |총 획수= 14획 |교육용= 고등학교 |어문회 급수= 준3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ガイ, コウ |일본어 훈독= ふた, おお-う, かさ, けだ-し |간체자= 盖[1] |표준 중국어= gài, gě |이체 = }} ==개요== <b>蓋</b>(덮을 개)는 부수가 艸이고 나머지 획수는 10획이다. 총 획수는 14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
- 2025년 5월 7일 (수) 19:13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鎧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鎧 |훈음= 갑옷 개 |부수= 金 |나머지 획수= 10획 |총 획수= 18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ガイ |일본어 훈독= よろい, よろ-う |간체자= 铠 |표준 중국어= kǎi |이체 = }} ==개요== <b>鎧</b>(갑옷 개)는 부수가 金이고 나머지 획수는 10획이다. 총 획수는 18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
- 2025년 5월 7일 (수) 19:13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愷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愷 |훈음= 즐거울 개 |부수= 心 |나머지 획수= 10획 |총 획수= 13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ガイ |일본어 훈독= - |간체자= 恺 |표준 중국어= kǎi |이체 = }} ==개요== <b>愷</b>(즐거울 개)는 부수가 心이고 나머지 획수는 10획이다. 총 획수는 13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
- 2025년 5월 7일 (수) 19:13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羌 |훈음= 오랑캐 강 |부수= 羊 |나머지 획수= 2획 |총 획수= 8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ョウ |일본어 훈독= えびす |간체자= - |표준 중국어= qiāng |이체 = }} ==개요== <b>羌</b>(오랑캐 강)는 부수가 羊이고 나머지 획수는 2획이다. 총 획수는 8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 2025년 5월 7일 (수) 19:1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强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強 |훈음= 강할 강 |부수= 弓 |나머지 획수= 8획 |총 획수= 11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ョウ, ゴウ |일본어 훈독= つよ-い, つよ-まる, つよ-める, |간체자= したた-か, つと-める |표준 중국어= 0 |이체 = }} ==개요== <b>強</b>(강할 강)는 부수가 弓이고 나머지 획수는 8획이다. 총 획수는 11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 2025년 5월 7일 (수) 19:1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胛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胛 |훈음= 어깻죽지 갑 |부수= 肉 |나머지 획수= 5획 |총 획수= 9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コウ |일본어 훈독= かいがね, かいがらぼね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iǎ |이체 = }} ==개요== <b>胛</b>(어깻죽지 갑)는 부수가 肉이고 나머지 획수는 5획이다. 총 획수는 9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 2025년 5월 7일 (수) 19:11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龕 |훈음= 감실 감 |부수= 龍 |나머지 획수= 6획 |총 획수= 22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ン, ガン |일본어 훈독= か-つ, ずし |간체자= 龛 |표준 중국어= kān |이체 = }} ==개요== <b>龕</b>(감실 감)는 부수가 龍이고 나머지 획수는 6획이다. 총 획수는 22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
- 2025년 5월 7일 (수) 19:1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疆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疆 |훈음= 지경 강 |부수= 田 |나머지 획수= 14획 |총 획수= 19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2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ョウ |일본어 훈독= かぎ-る, さかい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iāng |이체 = }} ==개요== <b>疆</b>(지경 강)는 부수가 田이고 나머지 획수는 14획이다. 총 획수는 19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
- 2025년 5월 7일 (수) 19:1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畺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畺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5년 5월 7일 (수) 19:0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舡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舡 |훈음= 배 강 |부수= 舟 |나머지 획수= 3획 |총 획수= 9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コウ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 |이체 = }} ==개요== <b>舡</b>(배 강)는 부수가 舟이고 나머지 획수는 3획이다. 총 획수는 9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준특급에 해...)
- 2025년 5월 7일 (수) 19:0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堈 |훈음= 독 강 |부수= 土 |나머지 획수= 8획 |총 획수= 11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コウ |일본어 훈독= おか, かめ |간체자= - |표준 중국어= gāng |이체 = }} ==개요== <b>堈</b>(독 강)는 부수가 土이고 나머지 획수는 8획이다. 총 획수는 11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 2025년 5월 7일 (수) 19:0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鑑 |훈음= 거울 감 |부수= 金 |나머지 획수= 14획 |총 획수= 22획 |교육용= 고등학교 |어문회 급수= 준3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ン |일본어 훈독= かんが-みる, かがみ |간체자= 鉴 |표준 중국어= jiàn |이체 = }} ==개요== <b>鑑</b>(거울 감)는 부수가 金이고 나머지 획수는 14획이다. 총 획수는 22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고등학교 한...)
- 2025년 5월 7일 (수) 19:0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鑒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鑑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5년 5월 7일 (수) 19:0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絳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絳 |훈음= 짙게붉을 강 |부수= 糸 |나머지 획수= 6획 |총 획수= 12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コウ |일본어 훈독= あか, あか-い |간체자= 绛 |표준 중국어= jiàng |이체 = }} ==개요== <b>絳</b>(짙게붉을 강)는 부수가 糸이고 나머지 획수는 6획이다. 총 획수는 12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
- 2025년 5월 7일 (수) 19:03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橄 |훈음= 감람나무 감 |부수= 木 |나머지 획수= 12획 |총 획수= 16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ン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gǎn |이체 = }} ==개요== <b>橄</b>(감람나무 감)는 부수가 木이고 나머지 획수는 12획이다. 총 획수는 16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
- 2025년 5월 7일 (수) 19:03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坎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坎 |훈음= 구덩이 감 |부수= 土 |나머지 획수= 4획 |총 획수= 7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ン |일본어 훈독= あな |간체자= - |표준 중국어= kǎn |이체 = }} ==개요== <b>坎</b>(구덩이 감)는 부수가 土이고 나머지 획수는 4획이다. 총 획수는 7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
- 2025년 5월 7일 (수) 19:03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嵌 |훈음= 끼울 감 |부수= 山 |나머지 획수= 9획 |총 획수= 12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ン |일본어 훈독= あな, けわ-しい, ちりば-める, |간체자= 0 |표준 중국어= - |이체 = }} ==개요== <b>嵌</b>(끼울 감)는 부수가 山이고 나머지 획수는 9획이다. 총 획수는 12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
- 2025년 5월 7일 (수) 19:03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乫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乫 |훈음= 땅이름 갈 |부수= 乙 |나머지 획수= 5획 |총 획수= 6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 |이체 = }} ==개요== <b>乫</b>(땅이름 갈)는 부수가 乙이고 나머지 획수는 5획이다. 총 획수는 6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준특급...)
- 2025년 5월 7일 (수) 19:0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曷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曷 |훈음= 어찌 갈 |부수= 曰 |나머지 획수= 5획 |총 획수= 9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ツ |일본어 훈독= いずく-んぞ, いつ, なに, なん-ぞ |간체자= - |표준 중국어= hé |이체 = }} ==개요== <b>曷</b>(어찌 갈)는 부수가 曰이고 나머지 획수는 5획이다. 총 획수는 9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 2025년 5월 7일 (수) 19:0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碣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碣 |훈음= 비석 갈 |부수= 石 |나머지 획수= 9획 |총 획수= 14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ケツ |일본어 훈독= いしぶみ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ié |이체 = }} ==개요== <b>碣</b>(비석 갈)는 부수가 石이고 나머지 획수는 9획이다. 총 획수는 14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
- 2025년 5월 7일 (수) 19:0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侃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侃 |훈음= 강직할 간 |부수= 人 |나머지 획수= 6획 |총 획수= 8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ン |일본어 훈독= つよ-い |간체자= - |표준 중국어= kǎn |이체 = }} ==개요== <b>侃</b>(강직할 간)는 부수가 人이고 나머지 획수는 6획이다. 총 획수는 8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
- 2025년 5월 7일 (수) 19:01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桿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稈 |훈음= 볏짚 간 |부수= 禾 |나머지 획수= 7획 |총 획수= 12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 |일본어 훈독= - |간체자= 秆 |표준 중국어= gǎn |이체 = }} ==개요== <b>稈</b>(볏짚 간)는 부수가 禾이고 나머지 획수는 7획이다. 총 획수는 12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준특급...)
- 2025년 5월 7일 (수) 19:01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澗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澗 |훈음= 산골물 간 |부수= 水 |나머지 획수= 12획 |총 획수= 15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1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ン, ケン |일본어 훈독= たに, たにみず |간체자= 涧 |표준 중국어= jiàn |이체 = }} ==개요== <b>澗</b>(산골물 간)는 부수가 水이고 나머지 획수는 12획이다. 총 획수는 15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
- 2025년 5월 7일 (수) 19:0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磵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5년 5월 7일 (수) 18:5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稈 |훈음= 볏짚 간 |부수= 禾 |나머지 획수= 7획 |총 획수= 12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 |일본어 훈독= - |간체자= 秆 |표준 중국어= gǎn |이체 = }} ==개요== <b>稈</b>(볏짚 간)는 부수가 禾이고 나머지 획수는 7획이다. 총 획수는 12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준특급...)
- 2025년 5월 7일 (수) 18:5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慤 |훈음= 정성/삼갈 각 |부수= 心 |나머지 획수= 11획 |총 획수= 15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 |일본어 훈독= - |간체자= 悫 |표준 중국어= què |이체 = }} ==개요== <b>慤</b>(정성/삼갈 각)는 부수가 心이고 나머지 획수는 11획이다. 총 획수는 15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
- 2025년 5월 7일 (수) 18:5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跏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跏 |훈음= 책상다리할 가 |부수= 足 |나머지 획수= 5획 |총 획수= 12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 |일본어 훈독= あぐら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iā |이체 = }} ==개요== <b>跏</b>(책상다리할 가)는 부수가 足이고 나머지 획수는 5획이다. 총 획수는 12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
- 2025년 5월 7일 (수) 18:5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訶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訶 |훈음= 꾸짖을 가 |부수= 言 |나머지 획수= 5획 |총 획수= 12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 |일본어 훈독= - |간체자= 诃 |표준 중국어= hē |이체 = }} ==개요== <b>訶</b>(꾸짖을 가)는 부수가 言이고 나머지 획수는 5획이다. 총 획수는 12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준...)
- 2025년 5월 7일 (수) 18:5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茄 |훈음= 가지 가 |부수= 艸 |나머지 획수= 5획 |총 획수= 9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 |일본어 훈독= なす, なすび, はす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iā, qié |이체 = }} ==개요== <b>茄</b>(가지 가)는 부수가 艸이고 나머지 획수는 5획이다. 총 획수는 9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 2025년 5월 7일 (수) 18:5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珂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珂 |훈음= 옥이름 가 |부수= 玉 |나머지 획수= 5획 |총 획수= 9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kē |이체 = }} ==개요== <b>珂</b>(옥이름 가)는 부수가 玉이고 나머지 획수는 5획이다. 총 획수는 9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준특...)
- 2025년 5월 7일 (수) 18:5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疥 |훈음= 옴 개 |부수= 疒 |나머지 획수= 4획 |총 획수= 9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イ |일본어 훈독= おこり, はたけ, ひぜん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iè |이체 = }} ==개요== <b>疥</b>(옴 개)는 부수가 疒이고 나머지 획수는 4획이다. 총 획수는 9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
- 2025년 5월 7일 (수) 18:5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粳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粳 |훈음= 메벼 갱 |부수= 米 |나머지 획수= 7획 |총 획수= 13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コウ |일본어 훈독= うるち, ぬか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īng |이체 = }} ==개요== <b>粳</b>(메벼 갱)는 부수가 米이고 나머지 획수는 7획이다. 총 획수는 13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 2025년 5월 7일 (수) 18:5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鉅 |훈음= 톱/클 거 |부수= 金 |나머지 획수= 5획 |총 획수= 13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ョ |일본어 훈독= いず-くんぞ, おお-い, |간체자= 0 |표준 중국어= 钜 |이체 = }} ==개요== <b>鉅</b>(톱/클 거)는 부수가 金이고 나머지 획수는 5획이다. 총 획수는 13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 2025년 5월 7일 (수) 18:5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騫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騫 |훈음= 이지러질 건 |부수= 馬 |나머지 획수= 10획 |총 획수= 20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ケン |일본어 훈독= か-ける, かか-げる, あやま-る, と-ぶ |간체자= 骞 |표준 중국어= qiān |이체 = }} ==개요== <b>騫</b>(이지러질 건)는 부수가 馬이고 나머지 획수는 10획이다. 총 획수는 20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 2025년 5월 7일 (수) 18:53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楗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楗 |훈음= 문빗장 건 |부수= 木 |나머지 획수= 9획 |총 획수= 13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ケン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iàn |이체 = }} ==개요== <b>楗</b>(문빗장 건)는 부수가 木이고 나머지 획수는 9획이다. 총 획수는 13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 2025년 5월 7일 (수) 18:53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鋸 |훈음= 톱 거 |부수= 金 |나머지 획수= 8획 |총 획수= 16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ョ |일본어 훈독= のこ, のこぎり |간체자= 锯 |표준 중국어= jù |이체 = }} ==개요== <b>鋸</b>(톱 거)는 부수가 金이고 나머지 획수는 8획이다. 총 획수는 16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
- 2025년 5월 7일 (수) 18:5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喀 |훈음= 토할 객 |부수= 口 |나머지 획수= 9획 |총 획수= 12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ク |일본어 훈독= は-く |간체자= - |표준 중국어= kā |이체 = }} ==개요== <b>喀</b>(토할 객)는 부수가 口이고 나머지 획수는 9획이다. 총 획수는 12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 2025년 5월 7일 (수) 18:5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襁 |훈음= 포대기 강 |부수= 衣 |나머지 획수= 11획 |총 획수= 16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ョウ |일본어 훈독= お-う, せおいおび, むつき |간체자= - |표준 중국어= qiǎng |이체 = }} ==개요== <b>襁</b>(포대기 강)는 부수가 衣이고 나머지 획수는 11획이다. 총 획수는 16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
- 2025년 5월 7일 (수) 18:5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鱇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鱇 |훈음= 아귀 강 |부수= 魚 |나머지 획수= 11획 |총 획수= 22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コウ |일본어 훈독= - |간체자= 𩾌 |표준 중국어= kāng |이체 = }} ==개요== <b>鱇</b>(아귀 강)는 부수가 魚이고 나머지 획수는 11획이다. 총 획수는 22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 2025년 5월 7일 (수) 18:51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戡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戡 |훈음= 이길 감 |부수= 戈 |나머지 획수= 9획 |총 획수= 13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ン |일본어 훈독= か-つ, ころ-す |간체자= - |표준 중국어= kān |이체 = }} ==개요== <b>戡</b>(이길 감)는 부수가 戈이고 나머지 획수는 9획이다. 총 획수는 13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 2025년 5월 7일 (수) 18:51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蝎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蝎 |훈음= 전갈 갈 |부수= 虫 |나머지 획수= 9획 |총 획수= 15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ツ |일본어 훈독= きくいむし, さそり, すくもむし |간체자= - |표준 중국어= xiē |이체 = }} ==개요== <b>蝎</b>(전갈 갈)는 부수가 虫이고 나머지 획수는 9획이다. 총 획수는 15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 2025년 5월 7일 (수) 18:5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柬 |훈음= 가릴 간 |부수= 木 |나머지 획수= 5획 |총 획수= 9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ン |일본어 훈독= えら-ぶ, えりわ-ける, てがみ, なふだ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iǎn |이체 = }} ==개요== <b>柬</b>(가릴 간)는 부수가 木이고 나머지 획수는 5획이다. 총 획수는 9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
- 2025년 5월 7일 (수) 18:4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枷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枷 |훈음= 칼/도리깨 가 |부수= 木 |나머지 획수= 5획 |총 획수= 9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 |일본어 훈독= かせ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iā |이체 = }} ==개요== <b>枷</b>(칼/도리깨 가)는 부수가 木이고 나머지 획수는 5획이다. 총 획수는 9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
- 2025년 5월 7일 (수) 18:4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痂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痂 |훈음= 헌데딱지 가 |부수= 疒 |나머지 획수= 5획 |총 획수= 10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 ケ |일본어 훈독= かさぶた, ひぜん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iā |이체 = }} ==개요== <b>痂</b>(헌데딱지 가)는 부수가 疒이고 나머지 획수는 5획이다. 총 획수는 10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
- 2025년 5월 7일 (수) 18:33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특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본문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 다음은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 1급 한자 1,145자이다. ==급수별 배정 한자== {|class="wikitable" style="width:300px" ! 급수 !! 배정한자 !! 누적합계 |- | 8급 || 50자 || 50자 |- | 7급Ⅱ || 50자 || 100자 |- | 7급 ||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7급 한자 목록|50...)
- 2025년 5월 7일 (수) 16:0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분류:대한민국의 수사기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ㅂ |수사기관 |대한민국의 국가행정조직|}})
- 2025년 5월 7일 (수) 16:01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준특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본문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 다음은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 1급 한자 1,145자이다. __목차__ ==급수별 배정 한자== {|class="wikitable" style="width:300px" ! 급수 !! 배정한자 !! 누적합계 |- | 8급 || 50자 || 50자 |- | 7급Ⅱ || 50자 || 100자 |- | 7급 ||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7급 한자...)
- 2025년 5월 6일 (화) 20:4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당용한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개요== 당용한자는 1946년에 일본 정부가 공표한 ‘당용한자표(當用漢字表)’에 포함된 한자들이다. 당용한자에는 총 1,850자가 수록되어 있었으며, 공문서와 교육, 언론 등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제한되었다. 당용한자의 목적은 문자 사용의 표준화를 통한 문맹 퇴치와 행정 효율화였다. 그러나 당용한자에는 신자체와 구자체가 혼재되어 있다. == 당용한자...)
- 2025년 5월 6일 (화) 17:4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분류:일본의 한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ㅂ |한자 | 일본||}})
- 2025년 5월 6일 (화) 06:4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분류:나미비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ㅂ |아프리카 | |}})
- 2025년 5월 6일 (화) 06:4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분류:말라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ㅂ |아프리카 | |}})
- 2025년 5월 6일 (화) 06:4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분류:모잠비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ㅂ |아프리카 | |}})
- 2025년 5월 6일 (화) 06:4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분류:앙골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ㅂ |아프리카 | |}})
- 2025년 5월 6일 (화) 06:4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분류:잠비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ㅂ |아프리카 | |}})
- 2025년 5월 5일 (월) 23:4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분류:10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ㅂ |정수 || }})
- 2025년 5월 5일 (월) 23:4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분류:9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ㅂ |정수 || }})
- 2025년 5월 5일 (월) 23:4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분류:8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ㅂ |정수 || }})
- 2025년 5월 5일 (월) 23:4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분류:5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ㅂ |정수 || }})
- 2025년 5월 5일 (월) 23:4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분류:3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ㅂ |정수 || }})
- 2025년 5월 5일 (월) 23:4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분류:2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ㅂ |정수 || }})
- 2025년 5월 5일 (월) 23:4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분류:1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ㅂ |정수 || }})
- 2025년 5월 5일 (월) 23:4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분류:6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ㅂ |정수 || }})
- 2025년 5월 5일 (월) 22:3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畫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畫 |훈음= 그림 화, 그을 획 |부수= 田 |나머지 획수= 7획 |총 획수= 12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画 |일본어 음독= ガ, カク |일본어 훈독= え, えが-く, か-く |간체자= 画 |표준 중국어= huà |이체 = }} ==개요== <b>畫</b>(그림 화, 그을 획)는 부수가 田이고 나머지 획수는 7획이다. 총 획수는 12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 2025년 5월 5일 (월) 22:3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特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特 |훈음= 특별할 특 |부수= 牛 |나머지 획수= 6획 |총 획수= 10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トク, ドク |일본어 훈독= おうし, とりわ-け, ひと-つ, ひと-り |간체자= - |표준 중국어= tè |이체 = }} ==개요== <b>特</b>(특별할 특)는 부수가 牛이고 나머지 획수는 6획이다. 총 획수는 10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
- 2025년 5월 5일 (월) 22:3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族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族 |훈음= 겨레 족 |부수= 方 |나머지 획수= 7획 |총 획수= 11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ぞく zoku |일본어 훈독= やから yakara |간체자= - |표준 중국어= zú |이체 = }} ==개요== <b>族</b>(겨레 족)는 부수가 方이고 나머지 획수는 7획이다. 총 획수는 11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급...)
- 2025년 5월 5일 (월) 22:3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者 |훈음= 놈 자 |부수= 老 |나머지 획수= 5획 |총 획수= 9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者[A] |일본어 음독= シャ |일본어 훈독= もの |간체자= 者[A] |표준 중국어= zhě |이체 = }} ==개요== <b>者</b>(놈 자)는 부수가 老이고 나머지 획수는 5획이다. 총 획수는 9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6급...)
- 2025년 5월 5일 (월) 22:3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由 |훈음= 말미암을 유, 여자의 웃는 모양 요 |부수= 田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5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ユ, ユウ, (ユイ) |일본어 훈독= よし, なお, よ-る |간체자= - |표준 중국어= yóu |이체 = }} ==개요== <b>由</b>(말미암을 유, 여자의 웃는 모양 요)는 부수가 田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5...)
- 2025년 5월 5일 (월) 22:3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英 |훈음= 꽃부리 영 |부수= 艸 |나머지 획수= 5획 |총 획수= 9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エイ |일본어 훈독= はなぶさ, ひい-でる |간체자= - |표준 중국어= yīng |이체 = }} ==개요== <b>英</b>(꽃부리 영)는 부수가 艸이고 나머지 획수는 5획이다. 총 획수는 9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 2025년 5월 5일 (월) 22:3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夜 |훈음= 밤 야 |부수= 夕 |나머지 획수= 5획 |총 획수= 8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ヤ |일본어 훈독= よ, よる |간체자= - |표준 중국어= yè |이체 = }} ==개요== <b>夜</b>(밤 야)는 부수가 夕이고 나머지 획수는 5획이다. 총 획수는 8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6급에 해당...)
- 2025년 5월 5일 (월) 22:33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習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習 |훈음= 익힐 습 |부수= 羽 |나머지 획수= 5획 |총 획수= 11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習[1] |일본어 음독= シュウ, ジュウ |일본어 훈독= なら-う |간체자= 习 |표준 중국어= xí |이체 = }} ==개요== <b>習</b>(익힐 습)는 부수가 羽이고 나머지 획수는 5획이다. 총 획수는 11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 2025년 5월 5일 (월) 22:33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席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席 |훈음= 자리 석 |부수= 巾 |나머지 획수= 7획 |총 획수= 10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セキ |일본어 훈독= むしろ |간체자= - |표준 중국어= xí |이체 = }} ==개요== <b>席</b>(자리 석)는 부수가 巾이고 나머지 획수는 7획이다. 총 획수는 10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6급...)
- 2025년 5월 5일 (월) 22:33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美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美 |훈음= 아름다울 미 |부수= 羊 |나머지 획수= 3획 |총 획수= 9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ビ, ミ |일본어 훈독= うつく-しい, ほ-める, よ-い |간체자= - |표준 중국어= měi |이체 = }} ==개요== <b>美</b>(아름다울 미)는 부수가 羊이고 나머지 획수는 3획이다. 총 획수는 9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
- 2025년 5월 5일 (월) 22:3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禮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禮 |훈음= 예도 례 |부수= 示 |나머지 획수= 13획 |총 획수= 18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礼 |일본어 음독= レイ, ライ |일본어 훈독= うやま-う, のり |간체자= 礼 |표준 중국어= lǐ |이체 = }} ==개요== <b>禮</b>(예도 례)는 부수가 示이고 나머지 획수는 13획이다. 총 획수는 18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 2025년 5월 5일 (월) 22:3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多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多 |훈음= 많을 다 |부수= 夕 |나머지 획수= 3획 |총 획수= 6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タ |일본어 훈독= おお-い |간체자= - |표준 중국어= duō |이체 = }} ==개요== <b>多</b>(많을 다)는 부수가 夕이고 나머지 획수는 3획이다. 총 획수는 6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6급에...)
- 2025년 5월 5일 (월) 22:3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區 |훈음= 구분할/지경 구 |부수= 匸 |나머지 획수= 9획 |총 획수= 11획 |교육용= 고등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区 |일본어 음독= ク, オウ |일본어 훈독= まち |간체자= 区 |표준 중국어= ōu, qū |이체 = }} ==개요== <b>區</b>(구분할/지경 구)는 부수가 匸이고 나머지 획수는 9획이다. 총 획수는 11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고등학교...)
- 2025년 5월 5일 (월) 22:31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開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開 |훈음= 열 개 |부수= 門 |나머지 획수= 4획 |총 획수= 12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イ |일본어 훈독= ひら-く, ひら-ける, あ-く, あ-ける, |간체자= 0 |표준 중국어= 开 |이체 = }} ==개요== <b>開</b>(열 개)는 부수가 門이고 나머지 획수는 4획이다. 총 획수는 12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
- 2025년 5월 5일 (월) 22:31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號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號 |훈음= 이름 호 |부수= 虍 |나머지 획수= 7획 |총 획수= 13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号 |일본어 음독= ゴウ |일본어 훈독= さけ-ぶ, よびな |간체자= 号 |표준 중국어= háo, hào |이체 = }} ==개요== <b>號</b>(이름 호)는 부수가 虍이고 나머지 획수는 7획이다. 총 획수는 13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 2025년 5월 5일 (월) 22:3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通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通 |훈음= 통할 통 |부수= 辵 |나머지 획수= 7획 |총 획수= 11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通 |일본어 음독= ツウ, (ツ) |일본어 훈독= とお-る, とお-す, かよ-う |간체자= 通[A] |표준 중국어= tōng, tòng |이체 = }} ==개요== <b>通</b>(통할 통)는 부수가 辵이고 나머지 획수는 7획이다. 총 획수는 11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 2025년 5월 5일 (월) 22:3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朝 |훈음= 아침 조 |부수= 月 |나머지 획수= 8획 |총 획수= 12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チョウ |일본어 훈독= あさ, あした |간체자= - |표준 중국어= cháo, zhāo |이체 = }} ==개요== <b>朝</b>(아침 조)는 부수가 月이고 나머지 획수는 8획이다. 총 획수는 12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
- 2025년 5월 5일 (월) 22:3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遠 |훈음= 멀 원 |부수= 辵 |나머지 획수= 10획 |총 획수= 14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遠[1] |일본어 음독= エン, (オン) |일본어 훈독= とお-い |간체자= 远 |표준 중국어= yuǎn |이체 = }} ==개요== <b>遠</b>(멀 원)는 부수가 辵이고 나머지 획수는 10획이다. 총 획수는 14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 2025년 5월 5일 (월) 22:3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愛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愛 |훈음= 사랑 애 |부수= 心 |나머지 획수= 9획 |총 획수= 13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アイ |일본어 훈독= いと-しい, う-い, お-しむ, |간체자= 0 |표준 중국어= 爱 |이체 = }} ==개요== <b>愛</b>(사랑 애)는 부수가 心이고 나머지 획수는 9획이다. 총 획수는 13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 2025년 5월 5일 (월) 22:3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樹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樹 |훈음= 나무 수 |부수= 木 |나머지 획수= 12획 |총 획수= 16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ジュ |일본어 훈독= う-える, き, た-てる, いつき |간체자= 树 |표준 중국어= shù |이체 = }} ==개요== <b>樹</b>(나무 수)는 부수가 木이고 나머지 획수는 12획이다. 총 획수는 16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
- 2025년 5월 5일 (월) 22:3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死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死 |훈음= 죽을 사 |부수= 歹 |나머지 획수= 2획 |총 획수= 6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シ |일본어 훈독= し-ぬ |간체자= - |표준 중국어= sǐ |이체 = }} ==개요== <b>死</b>(죽을 사)는 부수가 歹이고 나머지 획수는 2획이다. 총 획수는 6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6급에 해...)
- 2025년 5월 5일 (월) 22:2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別 |훈음= 다를/나눌 별 |부수= 刀 |나머지 획수= 5획 |총 획수= 7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ベツ |일본어 훈독= わか-れる, わか-つ, わ-ける |간체자= 别[1] |표준 중국어= bié |이체 = }} ==개요== <b>別</b>(다를/나눌 별)는 부수가 刀이고 나머지 획수는 5획이다. 총 획수는 7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 2025년 5월 5일 (월) 22:2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例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例 |훈음= 법식 례 |부수= 人 |나머지 획수= 6획 |총 획수= 8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レイ |일본어 훈독= たと-える, たぐい, たと-えば, ためし |간체자= - |표준 중국어= lì |이체 = }} ==개요== <b>例</b>(법식 례)는 부수가 人이고 나머지 획수는 6획이다. 총 획수는 8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 2025년 5월 5일 (월) 22:2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級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級 |훈음= 등급 급 |부수= 糸 |나머지 획수= 4획 |총 획수= 10획 |교육용= 고등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ュウ |일본어 훈독= くび, しな |간체자= 级 |표준 중국어= jí |이체 = }} ==개요== <b>級</b>(등급 급)는 부수가 糸이고 나머지 획수는 4획이다. 총 획수는 10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고등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 2025년 5월 5일 (월) 22:2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交 |훈음= 사귈 교 |부수= 亠 |나머지 획수= 4획 |총 획수= 6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コウ |일본어 훈독= まじ-わる, まじ-える, ま-じる, ま-ざる, |간체자= 0 |표준 중국어= 交 |이체 = }} ==개요== <b>交</b>(사귈 교)는 부수가 亠이고 나머지 획수는 4획이다. 총 획수는 6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
- 2025년 5월 5일 (월) 22:2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強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強 |훈음= 강할 강 |부수= 弓 |나머지 획수= 8획 |총 획수= 11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ョウ, ゴウ |일본어 훈독= つよ-い, つよ-まる, つよ-める, |간체자= したた-か, つと-める |표준 중국어= 0 |이체 = }} ==개요== <b>強</b>(강할 강)는 부수가 弓이고 나머지 획수는 8획이다. 총 획수는 11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 2025년 5월 5일 (월) 22:2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向 |훈음= 향할 향 |부수= 口 |나머지 획수= 3획 |총 획수= 6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コウ |일본어 훈독= む-く, む-ける, む-かう, む-こう |간체자= - |표준 중국어= xiàng |이체 = }} ==개요== <b>向</b>(향할 향)는 부수가 口이고 나머지 획수는 3획이다. 총 획수는 6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
- 2025년 5월 5일 (월) 22:2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太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太 |훈음= 클 태 |부수= 大 |나머지 획수= 1획 |총 획수= 4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タイ, タ |일본어 훈독= ふと-い, ふと-る |간체자= - |표준 중국어= tài |이체 = }} ==개요== <b>太</b>(클 태)는 부수가 大이고 나머지 획수는 1획이다. 총 획수는 4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급...)
- 2025년 5월 5일 (월) 22:2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定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定 |훈음= 정할 정 |부수= 宀 |나머지 획수= 5획 |총 획수= 8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テイ, ジョウ |일본어 훈독= さだ-める, さだ-まる, さだ-か, き-まる |간체자= - |표준 중국어= dìng |이체 = }} ==개요== <b>定</b>(정할 정)는 부수가 宀이고 나머지 획수는 5획이다. 총 획수는 8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
- 2025년 5월 5일 (월) 22:2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醫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醫 |훈음= 의원 의 |부수= 酉 |나머지 획수= 11획 |총 획수= 18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医 |일본어 음독= イ |일본어 훈독= いや-す, くすし |간체자= 医 |표준 중국어= yī |이체 = }} ==개요== <b>醫</b>(의원 의)는 부수가 酉이고 나머지 획수는 11획이다. 총 획수는 18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 2025년 5월 5일 (월) 22:2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園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園 |훈음= 동산 원 |부수= 囗 |나머지 획수= 10획 |총 획수= 13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エン, オン |일본어 훈독= その, にわ |간체자= 园 |표준 중국어= yuán |이체 = }} ==개요== <b>園</b>(동산 원)는 부수가 囗이고 나머지 획수는 10획이다. 총 획수는 13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
- 2025년 5월 5일 (월) 22:2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洋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洋 |훈음= 큰바다 양 |부수= 水 |나머지 획수= 6획 |총 획수= 9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ヨウ |일본어 훈독= うみ, なだ, ひろ-い |간체자= - |표준 중국어= yáng |이체 = }} ==개요== <b>洋</b>(큰바다 양)는 부수가 水이고 나머지 획수는 6획이다. 총 획수는 9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 2025년 5월 5일 (월) 22:2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失 |훈음= 잃을 실 |부수= 大 |나머지 획수= 2획 |총 획수= 5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シツ |일본어 훈독= うしな-う, う-せる, な-くす |간체자= - |표준 중국어= shī |이체 = }} ==개요== <b>失</b>(잃을 실)는 부수가 大이고 나머지 획수는 2획이다. 총 획수는 5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
- 2025년 5월 5일 (월) 22:2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孫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孫 |훈음= 손자 손 |부수= 子 |나머지 획수= 7획 |총 획수= 10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ソン |일본어 훈독= まご |간체자= 孙 |표준 중국어= sūn |이체 = }} ==개요== <b>孫</b>(손자 손)는 부수가 子이고 나머지 획수는 7획이다. 총 획수는 10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6급...)
- 2025년 5월 5일 (월) 22:2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使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使 |훈음= 하여금/부릴 사 |부수= 人 |나머지 획수= 6획 |총 획수= 8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シ |일본어 훈독= つか-う, つか-わす |간체자= - |표준 중국어= shǐ |이체 = }} ==개요== <b>使</b>(하여금/부릴 사)는 부수가 人이고 나머지 획수는 6획이다. 총 획수는 8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
- 2025년 5월 5일 (월) 22:2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番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番 |훈음= 차례 번 |부수= 田 |나머지 획수= 7획 |총 획수= 12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バン, ハ, ハン |일본어 훈독= つが-い, つが-う, つが-える |간체자= - |표준 중국어= fān, pān |이체 = }} ==개요== <b>番</b>(차례 번)는 부수가 田이고 나머지 획수는 7획이다. 총 획수는 12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 2025년 5월 5일 (월) 22:2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李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李 |훈음= 성/오얏 리 |부수= 木 |나머지 획수= 3획 |총 획수= 7획 |교육용= 중학교[1]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リ |일본어 훈독= すもも |간체자= - |표준 중국어= lǐ |이체 = }} ==개요== <b>李</b>(성/오얏 리)는 부수가 木이고 나머지 획수는 3획이다. 총 획수는 7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1]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
- 2025년 5월 5일 (월) 22:2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頭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頭 |훈음= 머리 두 |부수= 頁 |나머지 획수= 7획 |총 획수= 16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トウ, ズ, (ト), ジュウ |일본어 훈독= あたま, かしら, かぶり, こうべ, ほとり |간체자= 头 |표준 중국어= tóu |이체 = }} ==개요== <b>頭</b>(머리 두)는 부수가 頁이고 나머지 획수는 7획이다. 총 획수는 16획으로 이루어진 한...)
- 2025년 5월 5일 (월) 22:2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近 |훈음= 가까울 근 |부수= 辵 |나머지 획수= 4획 |총 획수= 8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近 |일본어 음독= キン, コン |일본어 훈독= ちか-い |간체자= 近 |표준 중국어= jìn |이체 = }} ==개요== <b>近</b>(가까울 근)는 부수가 辵이고 나머지 획수는 4획이다. 총 획수는 8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
- 2025년 5월 5일 (월) 22:2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苦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苦 |훈음= 쓸/괴로울 고 |부수= 艸 |나머지 획수= 5획 |총 획수= 9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ク |일본어 훈독= くる-しい, くる-しむ,くる-しめる, にが-い, にが-る |간체자= - |표준 중국어= kǔ |이체 = }} ==개요== <b>苦</b>(쓸/괴로울 고)는 부수가 艸이고 나머지 획수는 5획이다. 총 획수는 9획으로 이루어진 한자...)
- 2025년 5월 5일 (월) 22:2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感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感 |훈음= 느낄 감 |부수= 心 |나머지 획수= 9획 |총 획수= 13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ン |일본어 훈독= かま-ける |간체자= - |표준 중국어= gǎn |이체 = }} ==개요== <b>感</b>(느낄 감)는 부수가 心이고 나머지 획수는 9획이다. 총 획수는 13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 2025년 5월 5일 (월) 21:4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黹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黹 |훈음= 바느질할 치 |부수= 黹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12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미배정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チ |일본어 훈독= ぬいとり |간체자= - |표준 중국어= zhǐ |이체 = }} ==개요== <b>黹</b>(바느질할 치)는 부수가 黹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12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
- 2025년 5월 5일 (월) 21:4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黑 |훈음= 검을 흑 |부수= 黑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12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5급 |신자체= 黒 |일본어 음독= コク |일본어 훈독= くろ, くろ-い |간체자= - |표준 중국어= hēi |이체 = }} ==개요== <b>黑</b>(검을 흑)는 부수가 黑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12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
- 2025년 5월 5일 (월) 21:4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黍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黍 |훈음= 기장 서 |부수= 黍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12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1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ショ |일본어 훈독= きび |간체자= - |표준 중국어= shǔ |이체 = }} ==개요== <b>黍</b>(기장 서)는 부수가 黍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12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
- 2025년 5월 5일 (월) 21:41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黃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黃 |훈음= 누를 황 |부수= 黃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12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黄 |일본어 음독= コウ, オウ |일본어 훈독= き, (こ) |간체자= 黄 |표준 중국어= huáng |이체 = }} ==개요== <b>黃</b>(누를 황)는 부수가 黃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12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 2025년 5월 5일 (월) 21:41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麻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麻 |훈음= 삼 마 |부수= 麻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11획 |교육용= 고등학교 |어문회 급수= 준3급 |신자체= 麻 |일본어 음독= マ |일본어 훈독= あさ |간체자= 麻 |표준 중국어= má |이체 = }} ==개요== <b>麻</b>(삼 마)는 부수가 麻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11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고등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급...)
- 2025년 5월 5일 (월) 21:41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麥 |훈음= 보리 맥 |부수= 麥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11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준3급 |신자체= 麦 |일본어 음독= バク |일본어 훈독= むぎ |간체자= 麦 |표준 중국어= mài |이체 = }} ==개요== <b>麥</b>(보리 맥)는 부수가 麥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11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 2025년 5월 5일 (월) 21:4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鹿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鹿 |훈음= 사슴 록 |부수= 鹿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11획 |교육용= 고등학교 |어문회 급수= 3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ロク |일본어 훈독= しか, (か), かのしし, しし |간체자= - |표준 중국어= lù |이체 = }} ==개요== <b>鹿</b>(사슴 록)는 부수가 鹿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11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고등학...)
- 2025년 5월 5일 (월) 21:4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鹵 |훈음= 개펄 로 |부수= 鹵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11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ロ |일본어 훈독= うば-う, おろ-か, おろそ-か, |간체자= 0 |표준 중국어= 卤 |이체 = }} ==개요== <b>鹵</b>(개펄 로)는 부수가 鹵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11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
- 2025년 5월 5일 (월) 21:4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鳥 |훈음= 새 조 |부수= 鳥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11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준4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チョウ |일본어 훈독= とり |간체자= 鸟 |표준 중국어= niǎo |이체 = }} ==개요== <b>鳥</b>(새 조)는 부수가 鳥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11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급...)
- 2025년 5월 5일 (월) 21:4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魚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魚 |훈음= 고기/물고기 어 |부수= 魚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11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5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ギョ |일본어 훈독= うお, さかな |간체자= 鱼 |표준 중국어= yú |이체 = }} ==개요== <b>魚</b>(고기/물고기 어)는 부수가 魚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11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 2025년 5월 5일 (월) 21:3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鬼 |훈음= 귀신 귀 |부수= 鬼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10획 |교육용= 고등학교 |어문회 급수= 준3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 |일본어 훈독= おに |간체자= 鬼 |표준 중국어= guǐ |이체 = }} ==개요== <b>鬼</b>(귀신 귀)는 부수가 鬼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10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고등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 2025년 5월 5일 (월) 21:3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鬲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鬲 |훈음= 솥 력, 가로막을 격 |부수= 鬲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10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レキ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gé, lì |이체 = }} ==개요== <b>鬲</b>(솥 력, 가로막을 격)는 부수가 鬲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10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 2025년 5월 5일 (월) 21:3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鬯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鬯 |훈음= 향풀 창 |부수= 鬯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10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チョウ |일본어 훈독= においざけ, の-びる |간체자= - |표준 중국어= chàng |이체 = }} ==개요== <b>鬯</b>(향풀 창)는 부수가 鬯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10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
- 2025년 5월 5일 (월) 21:3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鬥 |훈음= 싸울 투 |부수= 鬥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10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미배정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トウ |일본어 훈독= - |간체자= 斗 |표준 중국어= dòu |이체 = }} ==개요== <b>鬥</b>(싸울 투)는 부수가 鬥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10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
- 2025년 5월 5일 (월) 21:3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髟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髟 |훈음= 늘어질 표 |부수= 髟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10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미배정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ヒョウ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biāo |이체 = }} ==개요== <b>髟</b>(늘어질 표)는 부수가 髟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10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
- 2025년 5월 5일 (월) 21:3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髙 |훈음= 높을 고 |부수= 高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10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준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コウ |일본어 훈독= たか-い, たか, たか-まる, たか-める |간체자= - |표준 중국어= gāo |이체 = }} ==개요== <b>髙</b>(높을 고)는 부수가 高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10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
- 2025년 5월 5일 (월) 21:3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骨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骨 |훈음= 뼈 골 |부수= 骨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10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4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コツ |일본어 훈독= ほね |간체자= 骨 |표준 중국어= gū, gǔ |이체 = }} ==개요== <b>骨</b>(뼈 골)는 부수가 骨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10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
- 2025년 5월 5일 (월) 21:3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馬 |훈음= 말 마 |부수= 馬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10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5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バ, マ, メ |일본어 훈독= うま, (ま), むま |간체자= 马 |표준 중국어= mǎ |이체 = }} ==개요== <b>馬</b>(말 마)는 부수가 馬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10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 2025년 5월 4일 (일) 19:4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鼠 |훈음= 쥐 서 |부수= 鼠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13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1급 |신자체= 鼡 |일본어 음독= ショ, ス, ソ |일본어 훈독= ねずみ |간체자= - |표준 중국어= shǔ |이체 = }} ==개요== <b>鼠</b>(쥐 서)는 부수가 鼠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13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
- 2025년 5월 4일 (일) 19:4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鼓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鼓 |훈음= 북 고 |부수= 鼓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13획 |교육용= 고등학교 |어문회 급수= 준3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コ |일본어 훈독= つづみ |간체자= - |표준 중국어= gǔ |이체 = }} ==개요== <b>鼓</b>(북 고)는 부수가 鼓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13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고등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급...)
- 2025년 5월 4일 (일) 19:4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鼎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鼎 |훈음= 솥 정 |부수= 鼎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13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2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テイ |일본어 훈독= かなえ |간체자= - |표준 중국어= dǐng |이체 = }} ==개요== <b>鼎</b>(솥 정)는 부수가 鼎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13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 2025년 5월 4일 (일) 19:4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黽 |훈음= 힘쓸 민, 맹꽁이 맹, 땅이름 면 |부수= 黽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13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ビン, ベン, ボウ |일본어 훈독= あおがえる, つと-める |간체자= 黾 |표준 중국어= mǐn |이체 = }} ==개요== <b>黽</b>(힘쓸 민, 맹꽁이 맹, 땅이름 면)는 부수가 黽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 2025년 5월 4일 (일) 19:43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齒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齒 |훈음= 이 치 |부수= 齒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15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준4급 |신자체= 歯 |일본어 음독= シ |일본어 훈독= は, よわい |간체자= 齿 |표준 중국어= chǐ |이체 = }} ==개요== <b>齒</b>(이 치)는 부수가 齒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15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 2025년 5월 4일 (일) 19:4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齊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齊 |훈음= 가지런할 제 |부수= 齊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14획 |교육용= 고등학교 |어문회 급수= 준3급 |신자체= 斉 |일본어 음독= セイ, サイ |일본어 훈독= ととの-う, ととの-える, |간체자= 齐 |표준 중국어= qí |이체 = }} ==개요== <b>齊</b>(가지런할 제)는 부수가 齊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14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 2025년 5월 4일 (일) 19:4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鼻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鼻 |훈음= 코 비 |부수= 鼻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14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5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ビ |일본어 훈독= はな, はじ-め |간체자= - |표준 중국어= bí |이체 = }} ==개요== <b>鼻</b>(코 비)는 부수가 鼻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14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급...)
- 2025년 5월 4일 (일) 19:4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龜 |훈음= 거북 귀/구, 땅 이름 구, 터질 균 |부수= 龜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16획 |교육용= 고등학교 |어문회 급수= 3급 |신자체= 亀 |일본어 음독= キ, キュウ, キン |일본어 훈독= かめ, あかぎれ |간체자= 龟 |표준 중국어= guī, jūn, qiū |이체 = }} ==개요== <b>龜</b>(거북 귀/구, 땅 이름 구, 터질 균)는 부수가 龜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 2025년 5월 4일 (일) 19:4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龍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龍 |훈음= 용 룡 |부수= 龍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16획 |교육용= 고등학교 |어문회 급수= 4급 |신자체= 竜 |일본어 음독= リュウ, リョウ, リン |일본어 훈독= たつ |간체자= 龙 |표준 중국어= lóng |이체 = }} ==개요== <b>龍</b>(용 룡)는 부수가 龍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16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고등학교 한...)
- 2025년 5월 4일 (일) 19:4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龠 |훈음= 피리 약 |부수= 龠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17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미배정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ヤク |일본어 훈독= ふえ |간체자= - |표준 중국어= yuè |이체 = }} ==개요== <b>龠</b>(피리 약)는 부수가 龠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17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 2025년 5월 4일 (일) 19:3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香 |훈음= 향기 향 |부수= 香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9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준4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コウ, (キョウ) |일본어 훈독= か, かお-り, かお-る, |간체자= - |표준 중국어= |이체 = }} ==개요== <b>香</b>(향기 향)는 부수가 香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9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 2025년 5월 4일 (일) 19:3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首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首 |훈음= 머리 수 |부수= 首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9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준5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シュ |일본어 훈독= くび, こうべ, しるし, はじ-め, もう-す |간체자= - |표준 중국어= shǒu |이체 = }} ==개요== <b>首</b>(머리 수)는 부수가 首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9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
- 2025년 5월 4일 (일) 19:3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飛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飛 |훈음= 날 비 |부수= 飛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9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준4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ヒ |일본어 훈독= と-ぶ, と-ばす |간체자= 飞 |표준 중국어= fēi |이체 = }} ==개요== <b>飛</b>(날 비)는 부수가 飛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9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 2025년 5월 4일 (일) 19:3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風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風 |훈음= 바람 풍 |부수= 風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9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준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フウ, (フ) |일본어 훈독= かぜ, (かざ), すがた, ならわし, ふり |간체자= 风 |표준 중국어= fēng |이체 = }} ==개요== <b>風</b>(바람 풍)는 부수가 風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9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 2025년 5월 4일 (일) 19:3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頁 |훈음= 머리 혈 |부수= 頁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9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ケツ, ヨウ |일본어 훈독= かしら, ページ |간체자= 页 |표준 중국어= yè, xié |이체 = }} ==개요== <b>頁</b>(머리 혈)는 부수가 頁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9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
- 2025년 5월 4일 (일) 19:3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韭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韭 |훈음= 부추 구 |부수= 韭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9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韮 |일본어 음독= キュウ |일본어 훈독= にら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iǔ |이체 = }} ==개요== <b>韭</b>(부추 구)는 부수가 韭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9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 2025년 5월 4일 (일) 19:3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韋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韋 |훈음= 가죽 위 |부수= 韋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9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2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イ |일본어 훈독= なめしがわ |간체자= 韦 |표준 중국어= wéi |이체 = }} ==개요== <b>韋</b>(가죽 위)는 부수가 韋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9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 2025년 5월 4일 (일) 19:3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革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革 |훈음= 가죽 혁 |부수= 革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9획 |교육용= 중학교[1] |어문회 급수= 4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ク |일본어 훈독= かわ, あらた-める |간체자= - |표준 중국어= gé |이체 = }} ==개요== <b>革</b>(가죽 혁)는 부수가 革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9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1] 한자이...)
- 2025년 5월 4일 (일) 19:3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釆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釆 |훈음= 나눌 변 |부수= 釆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7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ハン, ベン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biàn |이체 = }} ==개요== <b>釆</b>(나눌 변)는 부수가 釆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7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
- 2025년 5월 4일 (일) 19:2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酉 |훈음= 닭 유 |부수= 酉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7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3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ユウ |일본어 훈독= とり, ひよみのとり |간체자= - |표준 중국어= yǒu |이체 = }} ==개요== <b>酉</b>(닭 유)는 부수가 酉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7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
- 2025년 5월 4일 (일) 19:2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辵 |훈음= 쉬엄쉬엄갈 착 |부수= 辵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7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미배정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チャク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chuò |이체 = }} ==개요== <b>辵</b>(쉬엄쉬엄갈 착)는 부수가 辵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7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
- 2025년 5월 4일 (일) 19:2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辰 |훈음= 별 진, 때 신 |부수= 辰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7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준3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シン |일본어 훈독= たつ, とき, ひ |간체자= - |표준 중국어= chén |이체 = }} ==개요== <b>辰</b>(별 진, 때 신)는 부수가 辰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7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
- 2025년 5월 4일 (일) 19:29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辛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辛 |훈음= 매울 신 |부수= 辛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7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3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シン |일본어 훈독= から-い, かのと, つら-い |간체자= - |표준 중국어= xīn |이체 = }} ==개요== <b>辛</b>(매울 신)는 부수가 辛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7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
- 2025년 5월 4일 (일) 19:2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走 |훈음= 달릴 주 |부수= 走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7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준4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ソウ |일본어 훈독= はし-る |간체자= - |표준 중국어= zǒu |이체 = }} ==개요== <b>走</b>(달릴 주)는 부수가 走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7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 2025년 5월 4일 (일) 19:2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赤 |훈음= 붉을 적 |부수= 赤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7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5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セキ, (シャク) |일본어 훈독= あか, あか-い, あか-らむ, あか-らめる |간체자= - |표준 중국어= chì |이체 = }} ==개요== <b>赤</b>(붉을 적)는 부수가 赤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7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 2025년 5월 4일 (일) 19:2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貝 |훈음= 조개 패 |부수= 貝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7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3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バイ |일본어 훈독= かい |간체자= 贝 |표준 중국어= bèi |이체 = }} ==개요== <b>貝</b>(조개 패)는 부수가 貝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7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
- 2025년 5월 4일 (일) 19:2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豸 |훈음= 벌레 치 |부수= 豸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7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미배정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タイ, チ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zhài, zhì |이체 = }} ==개요== <b>豸</b>(벌레 치)는 부수가 豸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7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
- 2025년 5월 4일 (일) 19:2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豕 |훈음= 돼지 시 |부수= 豕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7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豕 |일본어 음독= シ |일본어 훈독= - |간체자= 豕 |표준 중국어= shǐ |이체 = }} ==개요== <b>豕</b>(돼지 시)는 부수가 豕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7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
- 2025년 5월 4일 (일) 19:28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豆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豆 |훈음= 콩 두 |부수= 豆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7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준4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トウ, (ズ) |일본어 훈독= まめ, たかつき |간체자= - |표준 중국어= dòu |이체 = }} ==개요== <b>豆</b>(콩 두)는 부수가 豆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7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 2025년 5월 4일 (일) 19:2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谷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谷 |훈음= 골 곡 |부수= 谷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7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준3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コク |일본어 훈독= たに, やつ |간체자= - |표준 중국어= gǔ |이체 = }} ==개요== <b>谷</b>(골 곡)는 부수가 谷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7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급...)
- 2025년 5월 4일 (일) 19:2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言 |훈음= 말씀 언 |부수= 言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7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ゲン, ゴン |일본어 훈독= い-う, こと, ことば |간체자= 言[1] |표준 중국어= yán |이체 = }} ==개요== <b>言</b>(말씀 언)는 부수가 言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7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 2025년 5월 4일 (일) 19:2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見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見 |훈음= 볼 견, 뵈올 현 |부수= 見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7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준5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ケン, ゲン |일본어 훈독= み-る, み-える, み-せる, |간체자= 0 |표준 중국어= 见 |이체 = }} ==개요== <b>見</b>(볼 견, 뵈올 현)는 부수가 見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7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
- 2025년 5월 4일 (일) 19:23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襾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襾 |훈음= 덮을 아 |부수= 襾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6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미배정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ア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yà |이체 = }} ==개요== <b>襾</b>(덮을 아)는 부수가 襾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6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미...)
- 2025년 5월 4일 (일) 19:23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衣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衣 |훈음= 옷 의 |부수= 衣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6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イ, エ |일본어 훈독= ころも, きぬ, き-る |간체자= 衣 |표준 중국어= yī |이체 = }} ==개요== <b>衣</b>(옷 의)는 부수가 衣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6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 2025년 5월 4일 (일) 19:2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行 |훈음= 다닐 행, 항렬 항 |부수= 行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6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コウ, ギョウ, (アン) |일본어 훈독= い-く, ゆ-く, おこな-う |간체자= - |표준 중국어= háng, héng, xíng |이체 = }} ==개요== <b>行</b>(다닐 행, 항렬 항)는 부수가 行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6획으로 이루어...)
- 2025년 5월 4일 (일) 19:2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血 |훈음= 피 혈 |부수= 血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6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준4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ケツ |일본어 훈독= ち |간체자= - |표준 중국어= xiě, xuè |이체 = }} ==개요== <b>血</b>(피 혈)는 부수가 血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6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 2025년 5월 4일 (일) 19:2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虫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虫 |훈음= 벌레 훼 |부수= 虫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6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チュウ |일본어 훈독= むし |간체자= - |표준 중국어= chóng |이체 = }} ==개요== <b>虫</b>(벌레 훼)는 부수가 虫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6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 2025년 5월 4일 (일) 19:2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虍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虍 |훈음= 호피무늬 호 |부수= 虍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6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미배정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コ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hū |이체 = }} ==개요== <b>虍</b>(호피무늬 호)는 부수가 虍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6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 2025년 5월 4일 (일) 19:2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艸 |훈음= 풀 초 |부수= 艸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6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草 |일본어 음독= ソウ |일본어 훈독= くさ |간체자= 草 |표준 중국어= cǎo |이체 = }} ==개요== <b>艸</b>(풀 초)는 부수가 艸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6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
- 2025년 5월 4일 (일) 19:2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艮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艮 |훈음= 괘이름 간 |부수= 艮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6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2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コン, ゴン |일본어 훈독= うしとら |간체자= - |표준 중국어= gěn, gèn |이체 = }} ==개요== <b>艮</b>(괘이름 간)는 부수가 艮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6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
- 2025년 5월 4일 (일) 19:22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舟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舟 |훈음= 배 주 |부수= 舟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6획 |교육용= 고등학교 |어문회 급수= 3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シュウ |일본어 훈독= ふね, (ふな) |간체자= - |표준 중국어= zhōu |이체 = }} ==개요== <b>舟</b>(배 주)는 부수가 舟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6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고등학교 한자이고, 어...)
- 2025년 5월 4일 (일) 19:21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舛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舛 |훈음= 어그러질 천 |부수= 舛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6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セン |일본어 훈독= いりま-じる, そむ-く |간체자= - |표준 중국어= chuǎn |이체 = }} ==개요== <b>舛</b>(어그러질 천)는 부수가 舛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6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 2025년 5월 4일 (일) 19:2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舌 |훈음= 혀 설 |부수= 舌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6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4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ゼツ, セツ |일본어 훈독= した, ことば |간체자= - |표준 중국어= shé |이체 = }} ==개요== <b>舌</b>(혀 설)는 부수가 舌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6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
- 2025년 5월 4일 (일) 19:2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臼 |훈음= 절구 구 |부수= 臼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6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1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ュウ |일본어 훈독= うす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iù |이체 = }} ==개요== <b>臼</b>(절구 구)는 부수가 臼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6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
- 2025년 5월 4일 (일) 19:20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至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至 |훈음= 이를 지 |부수= 至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6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준4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シ |일본어 훈독= いた-る |간체자= - |표준 중국어= zhì |이체 = }} ==개요== <b>至</b>(이를 지)는 부수가 至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6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급...)
- 2025년 5월 4일 (일) 19:1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臣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臣 |훈음= 신하 신 |부수= 臣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6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준5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シン, ジン |일본어 훈독= おみ |간체자= - |표준 중국어= chén |이체 = }} ==개요== <b>臣</b>(신하 신)는 부수가 臣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6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
- 2025년 5월 4일 (일) 19:1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肉 |훈음= 고기 육 |부수= 肉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6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준4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ニク, ジク |일본어 훈독= しし |간체자= - |표준 중국어= ròu |이체 = }} ==개요== <b>肉</b>(고기 육)는 부수가 肉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6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
- 2025년 5월 4일 (일) 19:1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聿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聿 |훈음= 붓 율 |부수= 聿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6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イチ, イツ |일본어 훈독= おさ-める, の-べる, ふで |간체자= - |표준 중국어= yù |이체 = }} ==개요== <b>聿</b>(붓 율)는 부수가 聿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6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 2025년 5월 4일 (일) 19:17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耒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耒 |훈음= 가래 뢰 |부수= 耒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6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ライ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lěi |이체 = }} ==개요== <b>耒</b>(가래 뢰)는 부수가 耒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6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 2025년 5월 4일 (일) 19:1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而 |훈음= 말이을 이 |부수= 而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6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3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ジ |일본어 훈독= しこう-して, なんじ |간체자= - |표준 중국어= ér |이체 = }} ==개요== <b>而</b>(말이을 이)는 부수가 而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6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
- 2025년 5월 4일 (일) 19:1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羽 |훈음= 깃 우 |부수= 羽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6획 |교육용= 고등학교 |어문회 급수= 준3급 |신자체= 羽[A] |일본어 음독= ウ |일본어 훈독= は, はね |간체자= 羽[A] |표준 중국어= yǔ |이체 = }} ==개요== <b>羽</b>(깃 우)는 부수가 羽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6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고등학교 한자이고, 어...)
- 2025년 5월 4일 (일) 19:1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羊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羊 |훈음= 양 양 |부수= 羊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6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준4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ヨウ |일본어 훈독= ひつじ |간체자= - |표준 중국어= yáng |이체 = }} ==개요== <b>羊</b>(양 양)는 부수가 羊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6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
- 2025년 5월 4일 (일) 19:1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网 |훈음= 그물 망 |부수= 网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6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미배정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ボウ, モウ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wǎng |이체 = }} ==개요== <b>网</b>(그물 망)는 부수가 网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6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 2025년 5월 4일 (일) 19:1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缶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缶 |훈음= 장군 부 |부수= 缶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6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フ(かん) |일본어 훈독= ほとぎ |간체자= - |표준 중국어= fǒu |이체 = }} ==개요== <b>缶</b>(장군 부)는 부수가 缶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6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
- 2025년 5월 4일 (일) 19:1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糸 |훈음= 실 사, 가는실 멱 |부수= 糸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6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ベキ |일본어 훈독= いと |간체자= 纟 |표준 중국어= sī, mì |이체 = }} ==개요== <b>糸</b>(실 사, 가는실 멱)는 부수가 糸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6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 2025년 5월 4일 (일) 19:1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米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米 |훈음= 쌀 미 |부수= 米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6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ベイ, マイ |일본어 훈독= こめ, メートル, よね |간체자= - |표준 중국어= mǐ |이체 = }} ==개요== <b>米</b>(쌀 미)는 부수가 米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6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
- 2025년 5월 4일 (일) 19:15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竹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竹 |훈음= 대 죽 |부수= 竹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6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준4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チク |일본어 훈독= たけ |간체자= - |표준 중국어= zhú |이체 = }} ==개요== <b>竹</b>(대 죽)는 대나무를 의미하는 한자다. 부수가 竹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6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
- 2025년 5월 3일 (토) 11:3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非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非 |훈음= 아닐 비 |부수= 非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8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준4급 |신자체= 非 |일본어 음독= ヒ |일본어 훈독= あら-ず, そし-る, わる-い |간체자= 非 |표준 중국어= fēi |이체 = }} ==개요== <b>非</b>(아닐 비)는 부수가 非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8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 2025년 5월 3일 (토) 11:3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隹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隹 |훈음= 새 추 |부수= 隹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8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미배정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スイ |일본어 훈독= - |간체자= 隹 [1] |표준 중국어= zhuī |이체 = }} ==개요== <b>隹</b>(새 추)는 부수가 隹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8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
- 2025년 5월 3일 (토) 11:34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隶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隶 |훈음= 미칠 이/대 |부수= 隶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8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미배정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タイ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dài |이체 = }} ==개요== <b>隶</b>(미칠 이/대)는 부수가 隶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8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 2025년 5월 3일 (토) 11:33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阜 |훈음= 언덕 부 |부수= 阜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8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2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フ) |일본어 훈독= おか, ゆたか |간체자= - |표준 중국어= fù |이체 = }} ==개요== <b>阜</b>(언덕 부)는 부수가 阜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8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
- 2025년 5월 3일 (토) 11:1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穴 |훈음= 구멍 혈 |부수= 穴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5획 |교육용= 고등학교 |어문회 급수= 준3급 |신자체= 穴 |일본어 음독= ケツ |일본어 훈독= あな |간체자= 穴 |표준 중국어= xué |이체 = }} ==개요== <b>穴</b>(구멍 혈)는 부수가 穴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5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고등학교 한자이고, 어문...)
- 2025년 5월 3일 (토) 11:1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禾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禾 |훈음= 벼 화 |부수= 禾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5획 |교육용= 고등학교 |어문회 급수= 3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 |일본어 훈독= いね, のぎ |간체자= - |표준 중국어= hé |이체 = }} ==개요== <b>禾</b>(벼 화)는 부수가 禾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5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고등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급...)
- 2025년 5월 3일 (토) 11:1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禸 |훈음= 발자국 유 |부수= 禸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5획 |교육용= 미배정 |어문회 급수= 미배정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ジュウ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róu |이체 = }} ==개요== <b>禸</b>(발자국 유)는 부수가 禸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5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미배정 한자이고, 어문회...)
- 2025년 5월 3일 (토) 11:1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示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示 |훈음= 보일 시 |부수= 示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5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5급 |신자체= ネ |일본어 음독= ジ, シ |일본어 훈독= しめ-す |간체자= ネ |표준 중국어= shì |이체 = }} ==개요== <b>示</b>(보일 시)는 부수가 示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5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 한자이고, 어문회...)
- 2025년 5월 3일 (토) 11:16 사이먼킹 토론 기여님이 石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자 정보 |한자= 石 |훈음= 돌 석 |부수= 石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 5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6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セキ, (シャク, コク), ジャク |일본어 훈독= いし |간체자= - |표준 중국어= dàn, shí |이체 = }} ==개요== <b>石</b>(돌 석)는 부수가 石이고 나머지 획수는 0획이다. 총 획수는 5획으로 이루어진 제부수 한자다. 교육용으로 중학교...)